-
경제 기타
미세먼지 없는 '보통 날들'의 소중함
미세먼지는 일회성 공기오염이 아니다. 요즘 미세먼지가 주춤한다고 결코 방심할 일이 아니다. 미세먼지는 일상생활은 물론 산업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세먼지(PM2.5)는 2.5㎛ 크기의 먼지이다. 이는 모래알의 40분의 1, 머리카락 굵기의 30분의 1에 해당하는 크기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 1997년 PM2.5 환경기준을 설정한 미국 환경보호청에 따르면 ‘대기오염물질의 입자가 작을수록 인체에 끼치는 영향이 ...
-
경제 기타
특목고 폐지는 바람직한 정책일까?
학교 간 격차는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그리고 학생은 자신이 원하는 분야를 발전시킬 수 있는 학교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은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다. 하지만 공부하는 학생들은 괴롭다. 학생들이 대학만을 바라보고 창의성과 독창성은 배제한 채 성적만을 올리기 위한 공부를 하도록 무한 경쟁 사회가 부추기고 있다. 특목고 폐지 찬성 측은, 특목고는 입시 위주 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의 본질이 퇴색되며, 사교...
-
경제 기타
학생들의 이해 부족한 대전광역시 트램 설치
대전광역시 2호선이 트램으로 정해졌다는 사실을 모르는 학생이 37%로 상당수의 학생이 아직 트램이 대전광역시 2호선으로 정해졌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난 6월 22일 대전시는 대전트램포럼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전국 최초 트램 설치 도시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나섰다. 이번 토론회는 트램 도입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트램이 어느 정도...
-
경제 기타
"인간은 원래 행복하도록 설계돼 있다"…구글X 공학자가 부팅하는 '행복 알고리즘'
한 성공한 공학자가 있다. 그의 이름은 모 가댓. ‘구글 최고의 브레인 집단’ 구글X를 지휘하는 총책임자다. 가댓은 오래전부터 행복을 ‘재부팅’하는 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자신이 너무나 불행하다고 여겼던 탓이다. 사회생활을 시작한 뒤 큰 성공과 부를 거뒀지만 그는 불행이란 덫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물질적 풍요가 더해질수록 행복의 수준은 떨어져만 갔다. 2014년 가댓은 대학생이던 아들 알리를 의료사고로...
-
경제 기타
은행이 지점 줄일 때도 정부 허가 받으라는데…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을 중심으로 은행이 점포(지점)를 정리할 때 정부 허가를 받도록 은행법을 개정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입법활동의 하나로 ‘은행법개정 정책 토론회’까지 열렸다. 발단은 한국씨티은행이 경영합리화 차원에서 126개 점포가운데 많은 부분을 없애겠다는 계획이었다. 이 은행 노조를 중심으로 상급의 금융노조가 나서면서 정치권과 노동계가 공조를 취하는 상황이 됐다. 이게 새로운 형태의 관치(官治)금융으로 시대...
-
커버스토리
"중국이 원유공급 끊으면 북한은 3개월도 못버텨"
NIE 포인트 중국이 북한을 지원하는 정치·외교적 배경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인도적 차원의 대북 지원 재개에 대해 각자의 생각을 토론해보자. 북한 경제는 중국이 없으면 와르르 무너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유(原油) 공급의 50%, 대외 무역의 9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서다. 대한민국이 52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는 등 경제 영토를 넓혀 가는 동안 북한은 정반대 길을 택했다. 문을 꽁꽁 걸어 잠근 채 &ls...
-
경제 기타
죄지은 자의 고독한 심리를 묘사한 '주홍글씨'
금욕주의인 청교도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청교도란 기존의 가톨릭 전통을 부정하고 엄격한 도덕과 금욕, 향락 금지 등의 생활을 주장하고 실천하는 신도들의 종교다. 주홍글씨라는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세계사 시간에 배운 청교도의 엄격한 계율과 좋아하는 장르인 사랑이 나와 있다고 하여 교과목과 연관시켜보기 위하여 읽게 되었다. 헤스터라는 여자가 남편이 2년 동안 실종되어 다른 남자와 사랑을 나눠 사랑하는 딸을 낳아 간음죄를 짓게 되어 재판...
-
경제 기타
석유고갈론의 오류…"기술발전 몰랐다"
체크포인트 석유가 고갈될 것이라는 주장이 끊이지 않지만 석유 매장량은 기술발전에 힘입어 매년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석유고갈론 같은 잘못된 주장이 계속 제기되는 이유를 토론해보자. 끊이지 않는 석유고갈론 도로 위에 차가 넘친다. 이 차를 움직이는 것은 석유를 정제한 휘발유와 경유다. 많은 사람은 기름을 이처럼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석유가 고갈될 시기가 점점 다가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1914년 미국의 광산국도 10년 내 미국의 석유 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