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올라도 문제, 내려도 문제?…물가가 뭐길래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인다’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라면, 치킨, 햄버거, 빵, 맥주, 음료, 빙과 등의 가격 인상이 줄을 이었고 긴 가뭄 탓에 채소와 과일값도 부쩍 올랐다고 한다. “안 오르는 게 없다”는 볼멘소리도 들린다. 그런데 몇 달 전만 해도 ‘물가가 안 오르는 디플레이션이 걱정’이라는 뉴스가 봇물을 이뤘다. 물가상승률이 계속 0%대에 머물자 “이러다 저...
-
커버스토리
소비자물가지수는 대표적 '인플레 지표'죠
■ NIE 포인트 소비자물가지수·가격차별·빅맥지수 등 물가에 관련된 용어들을 더 구체적으로 공부해보자. 환율과 물가 관계도 생각해보자. 물가는 한 나라 경제를 이해하는 데 주요지표 역할을 한다. 물가를 알면 경제가 보인다. 물가는 가격의 종합적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개개의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화폐단위로 나타낸 것을 가격이라고 한다. 물가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을 중요도에 따라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
-
경제 기타
입사지원서에 학력·스펙 기재 금지시키려 한다는데…
더불어민주당이 6월 임시국회 처리를 목표로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기업 입사지원서에 얼굴 사진 부착을 금지하고 출신 지역, 학력, 스펙 등의 기재 금지를 의무화하는 내용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블라인드 채용 강화’ 공약을 이행한다는 차원이다. 지원자의 외모나 학력 대신 능력만 보고 뽑자는 취지다. 하지만 지원자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도 없이 어떻게 평가와 선발이 가능...
-
경제 기타
7년 되면 줄줄이 해체하는 아이돌…공정거래위원회와 관련 있다고요?
금주의 시사용어 - 공정거래위원회 독점과 불공정거래에 관한 사안을 다루는 중앙행정기관. 기업을 조사하고 제재 수위를 심의·의결하는 권한을 갖고 있어 일명 ‘경제검찰’이라 불리기도 한다. 요즘 가요계에선 아이돌의 ‘7년차 징크스’라는 말이 회자된다. 데뷔 후 7년을 채운 아이돌 그룹들이 약속이나 한듯 줄줄이 해체 선언을 하고 있어서다. 최근 씨스타를 비롯해 2NE1, 원더걸스, 포미닛,...
-
커버스토리
물가 상승은 악(惡)?…적당히 올라야 좋아요
■ NIE 포인트 최근 국내 물가 동향이 어땠는지 통계 자료를 파악해 보자. 정부가 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수단은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물가 상승은 ‘양날의 검’에 비유되곤 한다. 물가가 적당히 오르는 것은 경기가 좋다는 신호다. 경제가 살아나면 가계와 기업의 소득이 늘고 수요가 증가해 물가가 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도하게 뛰면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진다. 지출이 줄고 경기가 꺾일 수 있다. 정부와...
-
경제 기타
(18) '수송왕' 조중훈과 한진그룹
■ 기억해 주세요^^ 한진그룹 창업자 조중훈은 독특하게 수송 부문에서 사업 기회를 포착했다. 대한항공, (주)한진, 한진고속은 대한민국의 물류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산증인’이다. 우리나라의 성공한 기업들은 대개 제조업이 주력이다. 삼성과 LG는 전자제품이 주력이고 현대는 건설과 더불어 자동차와 조선을 주력으로 했다. 독특하게도 한진은 수송부문을 전문화해서 성공했다. 대한항공, 진에어, (주)한진, 한진관광 같은 곳이...
-
경제 기타
최승노 박사의 시장경제 이야기 (6) 큰 정부는 최선인가?
1805년, 이집트 오토만 제국의 장군이던 무함마드 알리는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았다. ‘이집트의 아버지’로 불리는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를 오스만튀르크 제국에서 독립된 근대 국가로 발전시키고 싶었다. 그리하여 국가 차원에서 대대적인 이집트의 산업화를 시도했다. 대부분 토지를 몰수하여, 주멜 면화의 재배지로 활용했다. 이집트산 주멜 면화는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며 비싼 가격에 팔렸다.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산 주멜 면화를 ...
-
경제 기타
'최저임금 1만 원' 공약, 부작용도 꼼꼼히 살펴야
최저임금 수준이 너무 높게 결정된다면, 취약계층 고용이 감소하고, 평균 임금에 인상 압력을 가하며 기업에 전반적인 고용 감소를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문재인 취임 이후 사회 곳곳에서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날 국정과제 1호인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시작으로,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등을 잇달아 지시했다. 19대 대선 경쟁자였던 홍준표, 안철수 후보가 모두 안보 관련 공약을 최우선으로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