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황폐화한 풀밭, 사라진 안전모…모두 공유지의 비극

    영국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는 개인의 이기심 추구가 시장을 통해 사회적 후생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밝혀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죠.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동하는데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사회의 질서와 조화가 이뤄지고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게 그의 핵심 논지입니다. 개인의 사적 이익 추구가 탐욕이 아니라 공적 이익도 향상시키고 도덕적으로 정당하다...

  • 숫자로 읽는 세상

    라면값 인상 놓고…"총대 누가 메나" 눈치싸움 치열

    식품업계는 통상 연말연초에 가격 인상을 발표한다. 원자재 가격 인상, 인건비 부담 상승 등을 이유로 든다. 한 업체가 총대를 메면 다른 기업이 뒤따르는 식이다. 올해도 햇반부터 빵 햄버거 통조림 등 주요 품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라면업계도 눈치를 보고 있다. 다른 품목보다 소비자의 심리적 저항이 커서 선뜻 못 나서고 있다. 인상 발표를 했다가 번복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올초 식료품 가격 인상도 예년과 다르지 않다. 국내 두부 시장 1...

  • 숫자로 읽는 세상

    "엄마, 장바구니 물가가 그렇게 많이 올랐다면서요!"

    오늘 저녁 집안에서 식료품 구매를 담당하는 분께 직접 물어봅시다. “요즘 장바구니 물가 어때요?” 이 기사의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엄마, 아빠, 누나, 형에게 직접 물어보는 것이다. 장바구니 물가 조사는 가장 빠르고 가장 정확한 물가 조사다. 품목별로 한 번 물어보자. 달걀은 어때요? 국수는 어때요? 라면은 어때요? 두부는 어때요? 여러분이 들을 수 있는 대답은 “많이 내렸어&rdquo...

  • 숫자로 읽는 세상

    코로나로 시민 발 묶이자…버스 판매 반토막

    지난해 고속·시내버스 판매량이 2019년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객과 관광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등록된 디젤버스는 2523대다. 전년보다 41.4% 줄었다. 이 중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고속버스다. 현대자동차의 유니버스, 기아의 그랜버드 등이 포함된 고속버스 판매량은 전년 대비 45.6% 감소했다. 출퇴근용으로 수요가 많은 도심형 버스도 전...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네이버·카카오 '페이'정보까지 정부가 관할·통제해야 하나

    [찬성] '빅테크' 금융거래 투명성·안전성…금융결제원 거쳐 관리·감독 강화 금융위원회는 빅테크 거래가 은행을 비롯한 기존 금융회사의 거래 못지않게 커지는 만큼 중앙은행과 정부가 함께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감독 업무에 더해 핀테크 기반의 신금융 기법과 거래에 대해서도 정부가 감시·감독할 필요가 있다는 논리다. 빅테크 기업이 혹시라도...

  • 경제 기타

    재무제표는 회사가 쓰는 '가계부'…경영성과를 볼 수 있죠

    어릴 적 어머니가 계산기를 두드리며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을 본 기억이 있는가? 돈을 잘 관리하기 위해 우리는 가계부를 쓰는데, 들어오고 나가는 돈을 잘 관리하면 돈을 낭비하지 않고 꼭 필요한 곳에 쓰는 데 도움이 된다. 개인들과 마찬가지로 회사도 돈을 잘 관리하기 위해 가계부를 작성하는데, 회사의 가계부를 '재무제표'라고 한다. 오늘은 재무제표의 개념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재무제표의 개념 &lsq...

  • 디지털 이코노미

    좁아 보이는 시장도 혁신을 거치면 광활해진다

    ‘사업가’와 ‘기업가’는 다르다. 종종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사업가는 모방을, 기업가는 변화를 추구한다. 모방은 많은 경쟁자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다듬어진 공식을 활용해 이른 시간 내에 경쟁자만큼의 수입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 모방만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성장을 위해서는 변화가 필수적이다. 경제나 산업은 물론이거니와 종(種)으로서, 사회로서의 인류 역시 변화 없이는 조금도 앞으로 나아...

  • 시네마노믹스

    '바키리크스'로 드러난 고위 성직자들의 비리…'주인-대리인'의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

    가톨릭 역사상 약 600년 만에 2013년 교황직에서 스스로 물러난 베네딕토 16세(요제프 알로이스 라칭거 추기경, 앤서니 홉킨스 분)와 그 뒤를 이은 현재의 교황 프란치스코(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추기경, 조너선 프라이스 분)의 실화를 다룬 영화 ‘두 교황’. 2005년 콘클라베를 통해 교황직에 오른 베네딕토 16세는 ‘바키리크스’ 등으로 바티칸이 추문에 휩싸이자 개혁파인 베르고글리오 추기경을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