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네마노믹스

    헤어진 연인이 말한다 "구독, 좋아요! 눌러주세요"…'원격'이 일상이 된 세상…이별도 단절이 아니네

    “삑. 정상입니다. 격리 수칙 확인하시고요.” 예기치 않은 코로나19 사태에 프랑스에서 급히 귀국한 성현(김주헌 분)은 14일간의 자가 격리에 들어간다. 넓지 않은 도심의 오피스텔에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리 많지 않다. 2주간 맞닥뜨려야 할 긴 자신과의 싸움이 막막하기만 하다. 그러던 중 친구로부터 옛 연인 수진(김고은 분)이 유튜브에서 브이로그(일상을 촬영한 영상 콘텐츠)를 운영한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지난 10...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중기적합업종 제도 10년…"효과 없다" 비판에도 지속해야 할까

    중소기업적합업종 제도가 만들어진 지 만 10년이 됐다.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 때 동반성장위원회를 앞세운 정부가 도입한 이 제도는 시행 때부터 적지 않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규모가 영세하고 열악한 중소기업의 사업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생계형 서비스 부문 14개 업종에 대기업 진출을 막은 게 시작이었다. 연도별로 상당수 업종이 추가로 지정을 받으며 보호 대상이 확대돼 왔다. 10년이 되면서 초창기 제도 시행 때 제기됐던 문제점이 다시 불거...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청소년 '투자 지식' 키워요

    고3 예비 졸업생과 대학생을 위한 투자강연회 ‘어서와~투자는 처음이지?’가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 주최로 21일 서울 중구 중림동 한경 다산홀에서 열렸다. 행사는 현장 강연회와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을 통한 온·오프라인 통합방식으로 진행됐다. 신경훈 한국경제신문 기자

  • 커버스토리

    비트코인·플랫폼…쉽고 재밌게 알려주네

    생글생글은 지난 1년간 ‘핫한’ 국내외 경제 이슈를 커버스토리로 참 많이 다뤘습니다. 여러분이 꼭 알아뒀으면 하는 주제들이죠. 겨울방학 동안 짬짬이 생글생글 홈페이지에 들어가 지난호를 찾아보는 것도 유익할 듯해요. 경제 분야에서 어떤 것들이 다뤄졌는지 살펴봅시다. #1. 끊이지 않는 투기…탐욕과 광풍의 역사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라고 불리는 비트코인이 한국은 물론 세계를 뒤흔든 1년이었습니...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PMI는 경기 전망, CPI는 인플레 가늠자로 쓰이죠

    모두 새해 목표 세우셨나요? 내년 제 목표는 체중 감량입니다. 다이어트에 앞서 가장 먼저 할 일은 현재 몸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주식투자도 똑같은 원리입니다. 지표들을 통해 내 몸 상태를 알고 있어야 다이어트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처럼, 주식시장을 둘러싼 환경을 파악하고 있어야 성공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식 초보들이 꼭 알아야 할 경제지표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경제지표의 종류와 역할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용어...

  • 디지털 이코노미

    상품·지식 이동비 줄인 신기술…빈부 격차 갈랐다

    오랜 기간 생산은 소비와 결합되어 있었다. 약 20만 년에 달하는 인류 역사 가운데 19만 년의 시간 동안 생산한다는 개념은 특정한 시기와 특정한 장소에서 식량을 생산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우연히 좋은 지역을 발견해 식량을 생산하더라도 이동할 방법이 없었던 탓에 소비는 생산을 향해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인류가 유목생활을 택한 이유이다. 산업혁명과 이동비용의 감소 생산과 소비의 결합이 분리되기 시작한 것은 1, 2차 산업혁명을 거치면서부터다...

  • 오철 교수의 복싱 경제학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따른다

    복싱경제학 제1강에서는 인간의 욕망을 효율성의 관점에서 다뤄 봤다. 인간이 가진 소유욕과 파괴욕은 욕망이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 함께 공존하는 개념이다. 이 욕망이라는 것은 거침이 없어서 그냥 두면 필연적으로 야만성을 드러내는데, 이 야만성을 통제한다는 점에서 경제와 복싱의 공통된 키워드가 바로 ‘효율성’이란 점을 첫 강좌에서 강조했었다. 이어서 이번 제2강에서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에 대해 강의한다. 첫 번째로 제대로 된 ...

  • 키워드 시사경제

    3대 신용평가사, 무디스·S&P·피치…주요 국가·기업 신용등급 매기죠

    2조위안(약 370조원) 넘는 빚에 휘청이던 중국의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이 공식적으로 디폴트(default·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헝다는 지난 6일까지 반드시 지급했어야 할 채권 이자를 내지 못했지만 직접적인 디폴트 선언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용평가사 피치가 9일 헝다를 ‘제한적 디폴트’ 등급으로 강등시키면서 국제 금융시장에서 헝다의 디폴트는 공식화됐다. 국가·기업 명운 좌우하는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