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고전학파·케인스학파·오스트리아학파…경제 성장을 달성하는 방법·철학이 다르죠

    경제학자들은 경제학파를 나눌 때 출발점을 18세기 고전학파로 삼습니다. 비록 경제학(economics)이라는 말이 고대 그리스 철학자 크세노폰의 ‘오이코노미코스(Oikonomikos: 가정 살림 관리)’에서 오긴 했지만, 거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진 않죠. 그 시대엔 경제학 같은 사회과학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당대의 대철학자였던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조차 경제학에 대해 언급한 게 거의 없죠. 교회가 모든...

  • 키워드 시사경제

    유독 서울에 많은 'banjiha'…20년 안에 없앤다는데

    남북 대치와 초고속 성장이라는 한국적 특수성이 낳은 주거 형태인 반지하는 사라질 수 있을까. 서울시가 침수 피해 우려가 큰 지하·반지하를 주거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내용의 안전 대책을 지난 10일 발표했다. 새로 짓는 집엔 전면 금지하고, 이미 사람이 사는 곳엔 기존 세입자의 거주만 허용하는 방식으로 10~20년에 걸쳐 없앤다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지하·반지하 주택은 32만7320가구로...

  • 숫자로 읽는 세상

    카카오 前 CEO, 300억대 스톡옵션 '잭팟'

    “성과 있는 곳에 보상 있다.” 올 상반기 SK 계열사 경영진이 업계 최고 수준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 인텔 낸드플래시사업부 인수에 성공하면서 최고경영진에 30억~40억원대 성과급을 지급한 영향이다. 카카오 전 대표(CEO)들은 주식매수권(스톡옵션)을 행사해 300억원 넘는 보수를 챙겼다. SK하이닉스 성과 커 지난 16일 국내 상장사들이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스무 마리 동물 속에 인간의 모습이 담겨 있다

    《넌 동물이야, 비스코비츠!》는 매우 독특한 소설이다. 모두 스무 종류의 동물이 등장하는 짧은 소설 모음인데, 주인공 이름은 동일하게 ‘비스코비츠’다. 잘생겼거나 용감한 수컷 비스코비츠가 좋아하는 상대의 이름은 리우바, ‘꿈결처럼 아름답고, 하품처럼 달콤하고, 베개처럼 부드러워’ 매우 매혹적이다. 그리고 친구 페트로빅, 주코빅, 로페즈가 수시로 등장해 다양한 상황을 만든다. 돼지, 사자, 앵무새 같이...

  • 과학과 놀자

    아삭한 채소를 개발한 한국 대표 농학자 우장춘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12)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식 김치는 배추와 무 등 신선한 채소가 있어야 제맛을 낼 수 있다.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배추와 무의 식감이 김치 맛을 더해 준다. 그런데 우리가 먹는 배추와 무가 원래부터 그렇게 아삭아삭했던 것은 아니다. 그런 배추와 무를 개발해 보급한 사람은 한국을 대표하는 농학자 우장춘(1898~1959)이다. 우장춘 이전에 과학자들은 생물 종의 탄생을 진화론으로 설명했다. 19세기 ...

  • 커버스토리

    경제 예측은 왜 틀릴까?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 국가 경제를 관리 조정하는 기획재정부는 2019년 말 ‘2020년 경제성장률 예측치’를 발표했어요. 한은과 KDI는 “경제가 전년에 비해 2.3% 성장할 것”이라고 했고, 기재부는 “2.6%는 될 것”이라고 낙관했었죠. 그런데 말입니다~. 2020년이 열리자마자 코로나19 팬데믹이 터졌습니다. 그해 경제성장...

  • 경제 기타

    커지는 반려동물 산업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 주 커버스토리에서 반려동물 산업에 대해 다뤘습니다. 댕댕이, 냥집사, 펫팸족, 펫티켓, 펫로스 증후군…. 반려동물 수만큼 신조어도 다양합니다. 이런 단어는 모두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새로운 수요에 따라 생겨난 반려동물 관련 산업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이면에 동물권, 유기동물 문제에 대해서도 이야기했습니다. 또 세...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일본군 파죽지세에 한양서 임금 탈출하며 '아비규환'…핍박받던 농민·노비 등 의병으로 궐기 전국서 유격전

    의병(義兵) 의승(義僧) 의기(義妓) 의곡(義穀). 이런 선조들을 생각하면 희망의 불씨가 피어오르고 생기가 돈다. 우리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이 강해지고 자랑스러움을 느낀다. 하지만 사실은 비상시국이었고, 정부와 군대의 무능과 부재 현상을 알리는 안타까운 증거들이기도 하다. 의병들의 활동과 전적 1592년 4월 13일 17시경 ‘임진왜란’ 또는 ‘임진조국전쟁’이 발발했다. 일본군은 상륙 후 두 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