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이수만 왕국' SM을 흔든 금융맨의 정체는

    재테크에 뛰어든 서준이와 하윤이는 나란히 OO전자 주식을 샀다. 서준이는 “OO전자 경영진을 믿는다”며 주가가 오를 날을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하윤이는 “회사가 잘되려면 우리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팔을 걷어붙였다. OO전자는 배당을 더 늘리고 적자 사업을 정리해야 주가가 오른다는 게 하윤이의 생각이다. 하윤이는 OO전자 대표에게 자신의 제안을 담은 편지를 보냈다. 답이 오지 않으면 다른 주주들을 ...

  • 과학과 놀자

    디카페인 커피 일등공신은 이산화탄소

    1700년대 초반 활동했던 바흐는 특별한 칸타타를 작곡했다. 주인공 리센은 '아, OO의 맛은 얼마나 기가 막히는가! 천 번의 키스보다 더 사랑스러우며 포도주보다 달콤하다네. 내게 즐거움을 주려거든 OO 한 잔을 따라줘요'라고 노래할 정도로 OO를 좋아한다. 하지만 당시 OO가 불임을 유발하고 피부를 검어지게 한다며 여성에게 금지됐기 때문에 아버지의 반대에 부딪힌다. 그러나 리센은 지혜를 발휘해 아버지와 화해하며 마음것 OO를 마...

  • 경제 기타

    시장 개방 확대하면 환율 변동성 낮출수 있어요

    정부가 내년 7월부터 외환시장 마감 시간을 새벽 2시로 연장한다. 해외 은행과 증권회사의 국내 외환시장 직접 참여도 허용한다. 1948년 건국 후 폐쇄적으로 운영해온 외환시장을 70여 년 만에 대폭 개방하기로 한 것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 같은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오전 9시~오후 3시30분인 외환시장 운영시간을 영국 런던 금융시장이 마치는 다음날 새벽 2시(한국...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골칫덩어리에서 희망덩어리로 변신하는 힘은 용기

    ‘나는 학교가 싫다. 나는 학교가 세상에서 제일 싫다. 아니 그 이상이다. … 내 인생이 끝장나고 말았다.’ <35㎏짜리 희망 덩어리>는 이렇게 시작한다. 바로 ‘세 살까지는 행복했다고 할 수 있다’라는 문장이 이어진다. 세 살 5개월 때부터 유아원에 다니게 되었기 때문이다. 단 몇 줄만 읽고도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학교가 좋고, 공부하는 일이 행복한 사...

  • 숫자로 읽는 세상

    '인공지능 유니콘' 미국 53곳 vs 한국 0곳

    한국 인공지능(AI) 관련 스타트업은 세계적 수준과는 아직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AI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사)은 91곳이나 있지만 한국은 한 곳도 없다. AI 기술 고도화에 필수인 데이터 확보가 어렵고 관련 투자도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6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츠에 따르면 미국은 스케일AI, 페어 등 53개 AI 유니콘 기업을 보유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중국(19개)...

  • 디지털 이코노미

    애플페이가 성공하기 위한 근본 과제는?

    애플페이의 국내 상륙 소식이 뜨겁다. 삼성페이 외에는 스마트폰을 가져다대면 바로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이 없었던 터라 아이폰 사용자들의 기대가 한층 커지고 있다. 게다가 애플페이의 국내 출시를 준비한 현대카드가 독점 계약을 포기하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결제의 정의 오늘날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가 이뤄질 수 있는 근간에는 ‘결제’라는 과정이 존재한다. 결제 수단은 기술 변화에 따라...

  • 경제 기타

    상호작용에 따른 전략적 상황을 게임이라고 해요

    전략적 상황이란 어떤 사람이 결정한 행동의 결과가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완전경쟁시장은 거의 사라지고 불완전경쟁시장이 보편적인 형태로 자리 잡으면서 전략적 상황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시장이 완전경쟁적이라면 시장 참여자인 수요자나 공급자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변수를 보고 상품, 노동력 등을 공급하거나 구매하는 의사결정을 하면 될 뿐, 다른 수요자나 공급자의 행...

  • 커버스토리

    급등락하는 '가격 발작'…소비·생산 힘들어져요

    가격이 춤추고 있습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아파트 가격이 급락하고, 국제 가스와 석유 가격이 급등·급락을 반복하고, 매우 낮았던 금리가 천정부지로 오르고, 햄버거·떡볶이·짜장면 같은 외식 물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우리는 가격이 단기간에 크게 요동치는 ‘가격 발작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야겠습니다. 한 치 앞을 예상하기 어렵게 하는 가격 급변동은 지구촌 경제가 극도로 불안한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