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로 길잡이 기타

    "카드가맹점은 본인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신용카드 가맹점이란? 신용카드 가맹점은 카드회원에게 신용카드로 물품 또는 용역을 제공하기로 한 카드사(은행) 또는 공동망 참여기관과 약정한 업체를 말한다. (가맹점 표준약관 ‘제2조 1항’ 참고) 가맹점과 관1`련된 흐름은 아래 그림을 통해 이해하면 쉽다. 가맹점은 어떻게 구분? 신용카드 가맹점을 이해했다면 이번에는 가맹점 구분이 필요할 것이다. 가맹점 구분은 계약 주체에 따른 분류, 매입 방법에 따른 구분, 가맹점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손모아장갑·엄지장갑… 우리말이 풍성해져요

    평창패럴림픽에서 인기를 끈 ' 손모아장갑 ' 같은 대체어는 의미도 살아 있을뿐더러 무엇보다 점잖은 표현이라 좋다. 또 다른 대체어인 ' 엄지장갑 '과 함께 일상어로 자리잡도록 힘을 모을 만하다. 2013년 9월 SBS 새 월화드라마 ‘수상한 가정부’ 제작진은 방영을 앞두고 제작발표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제작진은 좀 특별한 해명을 했다. “제목에 쓰인 ‘가정부&r...

  • 학습 길잡이 기타

    실패에 아파하는 학생들을 위한 영어 표현

    shame 은 '수치심'이란 뜻입니다. 그래서 feel shame at 은 '~을 부끄럽게 여기다'라는 뜻이고, blush with shame 은 '수치심으로 얼굴이 빨개지다'의 뜻이랍니다. Listening to Shame You know why this place is amazing? 이곳이 놀라운 이유가 뭔지 아십니까? Because very few people here are a...

  • 진학 길잡이 기타

    "학종은 대학 기준에 따른 정성평가로 신입생 선발하죠"

    2018년, 고3으로 올라와서 한 달이 지나가고 있다. 예년과 다르게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에 대한 구체적 질문이 많다. 고려대에서 보여주고 있는 Q&A를 중심으로 객관적으로 살펴본다. 1. 학교생활기록부에는 여러 활동항목이 있다. 어떤 활동이 평가에 비중이 있는지 질문이 많았다. 고려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서류평가에서는 학생부의 모든 학목에 대해 종합적, 정성적으로 평가한다”고 하면서 “학생부 항목별...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술우수전형으로 895명 선발

    성균관대학교는 올해 수시 논술우수자전형으로 895명을 선발한다. 작년보다 15명 감소했지만 이는 성균관대의 모든 전형 중 가장 많은 인원에 해당하고 정시 선발인원 705명보다도 많은 수이다. 논술우수자 전형에서는 학생부 40%, 논술성적 60%로 합격자를 선발하며 학생부는 교과 30, 비교과 10으로 반영한다. 교과등급에 따른 실질 반영점수 차이가 미미하며(1등급과 2등급 간 차이 0.1점이며 1등급과 6등급 간 차이는 1점에 불과) 비교과인 ...

  • 진로 길잡이 기타

    할인·가격·리볼빙·카드론·연회비 마케팅

    은행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학생에게 “카드회사에서는 어떤 마케팅 활동을 하나요?”라는 질문을 던지면 대부분 대답을 못하거나 얼버무린다. 금융자격증 이론은 잘 암기하고 있지만 막상 실무적 활용 부분을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늘은 카드사의 다양한 마케팅 유형을 알아보자. 유형별 마케팅 소개 지난호 말미에 간단하게 카드사의 유형별 마케팅 종류를 언급했다. 설명 없이 간단하게 언급된 사항이기에 적절한 설명과 예시를 통해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여럿이 한목소리를 내면 거짓도 진실인 듯 보인다 - 한비자 -

    ▶ 한자풀이 三 석 삼 人 사람 인 成 이룰 성 虎 호랑이 호 전국시대 위나라 대신 방총이 인질로 조나라 수도 한단에 가는 태자를 수행하게 됐다. 자신이 위나라에 없는 동안 신하들의 음해를 우려한 방총이 출발을 며칠 앞두고 혜왕에게 물었다. “전하, 지금 누가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믿으시겠습니까.” “믿지 않을 것이오.” 방총이 재차 물었다. “하오면, 두 사람이 똑...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장님'은 원래 낮춤말이 아니었죠

    1990년대 초까진 장님이 소경의 높임말이었다. 귀머거리와 벙어리에도 낮잡는다는 뜻이 없었다. 북한 사회과학출판사에서 1992년 펴낸 <조선말대사전> 도 마찬가지다. “KBS 방송심의위원회의 케이윌 ‘최면’ 방송불가 판정을 적극 환영한다. 소속사는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한 자신을 벙어리에 비유한 것일 뿐’이라며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대중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