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취하자니 이익이 작고 버리자니 아까운 것 - 후한서 -

    ▶ 한자풀이 鷄 닭 계 肋 갈비 륵 계륵(鷄肋)은 누구나 아는 고사성어다. 말 그대로 닭(鷄)의 갈비(肋)니, 먹자니 먹을 게 없고 버리자니 왠지 좀 아까운 거다. 큰 쓸모나 이익은 없으나 그렇다고 팽개치기는 아까운 거다. 중국 후한시대가 저물어 가고 삼국시대에 접어들 무렵, 한중(漢中)은 위나라 조조와 촉나라 유비의 각축장이었다. 토지가 비옥하고 생산물이 풍부해 향후 ‘땅 싸움’을 가늠할 전략적 요충지였다. 유비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남에선 '깃발', 북에선 '기발'로 쓰죠

    우리 맞춤법은 형태주의를 기반으로 해 표음주의를 절충했다. 한글 맞춤법은 총칙 제1항에서 '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규정했다. 지난호에선 ‘한라산-한나산’의 사례를 통해 우리말 적기 방식인 표음주의와 형태주의의 차이를 살펴봤다. 표음주의란 단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뜻이다. 형태주의란 소리와 상관없이 같은 단어는 언제나 같은 형태로 적는다는 것이다. 그러면 ...

  • 학습 길잡이 기타

    단어는 다양한 색깔로 외워야 좋아요

    우리가 주로 '끌다'라고 외우는 draw 에도 '그리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런데 paint 가 주로 물감을 사용해서 그리는 것을 의미한다면, draw 는 보통 연필이나 펜으로 그리는 것을 뜻하는 단어랍니다. Paint my love From my youngest years till this moment here 어린 시절부터 지금 이 순간까지 I’ve never seen such a l...

  • 진학 길잡이 기타

    비판할 때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세요

    비판이란 어떤 주장을 지지 혹은 반박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견해에 따라 주어진 문제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 입장을 논리적으로 개진하는 것이다. 논리적이고 타당한 비판능력은 오늘날처럼 다원화한 사회, 다양성을 인정하고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는 사회에서 특히 필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여러 문제 상황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재구성해 소통하는 데 반드시 전제돼야 할 능력이기 때문이다. 논술시험을 치르는 대학에서 출제...

  • 진로 길잡이 기타

    신용카드 발급나이는 만 19세 이상이지만… 소득있는 경우엔 만 18세 이상도 받을 수 있죠

    신용카드 개인회원 모집, 기업회원 모집, 제휴 업무 등 모집 방법과 유형에 대해 지난 3주간 공부했다. 이번 주에는 모집된 회원을 대상으로 카드를 발급할 때 적용하는 심사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신용카드는 카드사가 개인에게 신용을 공여하는 것이므로 심사기준을 꼼꼼하게 적용해야 한다. 개인회원 심사의 법적 기준 개인들에겐 ‘법적 자격기준’과 ‘결제능력 확인 기준’을 적용한다. 법적 자격기준부터 살펴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비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해도 본질은 아주 다른 것 - 맹자 -

    ▶ 한자풀이 似 닮을 사 而 말 이을 이 非 아닐 중국 고전의 사서(四書) 중 하나인 《맹자》 ‘진심’편에 맹자가 제자 만장과 대화를 나누는 대목이 나온다. 만장이 스승 맹자에게 묻는다. “공자는 자기 고장에서 행세하는 선비인 향원(鄕原)을 덕을 해치는 자라 했습니다. 한 마을에서 칭송받으면 어디를 가나 마찬가지일 터인데 어째서 그들이 덕을 해친다 했는지요?” 맹자가 답한다. “향원은...

  • 진학 길잡이 기타

    중앙대, 올해부터 학교장추천전형 신설

    “눈이 녹기를 기다리지 말고, 눈을 밟고 길을 내라.”(필립 코틀러, 내인생10년후) 우리가 서 있는 곳은 늘 눈밭이다. 차다. 시리다. 눈이 녹기를 기다리더라도 끊임없이 발을 동동 구르며 움직여야 한다. 그럴바에야 길을 내며 걷자. 벌써 2월이 끝나간다. 10개월만 지나면 자신의 길 위에 서 있을까. 지금부터 자신의 길을 내보자. 이번 호에서도 2019학년도에 변하는 대학별 입시에 대해 알아보자. 1. 중앙대학교 중앙...

  • 진학 길잡이 기타

    공통점과 차이점 밝히는 비교분석은 논술에서 안 빠져요

    비교분석은 논술 시험을 치르는 모든 대학에서 반드시 출제되는 문제유형에 해당한다.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여러 제시문과 자료를 배치하는 논술문제의 특성에서 비교분석은 전체적인 공통주제, 제시문 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능력이다. 국어에서는 설명 방법 중 하나로 비교는 공통점을 밝히는 것, 대조는 차이점을 밝히는 것으로 배웠을 것이다. 그러나 논술에서 말하는 비교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