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입 전략
주요 대학 대부분 정시로 40% 이상 선발…수시 '수능 최저' 감안하면 수능 반영 62%
올해도 주요 대학 대부분이 정시를 40% 이상 선발한다. 정시뿐 아니라 수시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까지 감안하면 주요 대학 입시에서 수능 영향력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서울대에 이어 고려대도 정시 일부 전형에서 내신을 반영한다. 서울대, 고려대 정시에선 내신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2024학년도 주요 21개 대학 선발 규모 및 정시 변화를 분석해본다. 주요 21개 대학 정시로 2만5685명 선발 종로학원이 전형계획안 정원...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진로 고려해 인문·예체능 논술전형 살펴보자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겨울방학 알차게 보내고 있나요? 이제 고3이 될 수험생 여러분과 새롭게 고 1, 2학년으로 진학해 입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시작할 새내기들을 위해 이번 호부터 2024학년도 대입 인문논술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1. 논술전형 총 145명 증가 2024학년도 논술전형에서 한양대 에리카캠퍼스와 울산대가 논술전형을 폐지했습니다. 그러나 총인원은 145명 증가했습니다. 2개 학교가 논술전형을 없애고 27...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일망타진 (一網打盡)
▶한자 풀이 一: 한 일 網: 그물 망 打: 칠 타 盡: 다할 진 한 번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다 잡다 범인이나 무리를 한꺼번에 모두 잡음 -<송사(宋史)> 송나라 인종은 온유한 성품으로 학문을 숭상하며 선정을 베풀었다. 인재를 널리 등용해 문치를 폄으로써 이른바 ‘경력의 치’로 불리는 군주 정치의 모범을 보였다. 당시 명신인 범중엄(范仲淹)을 비롯해 구양수(歐陽脩), 사마광(司馬光), 주돈이(周敦...
-
진로 길잡이 기타
"'인문학 버스' 타고 미디어·기업 현장 투어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개인이 물을 절약하고 스위치 끄는 것을 습관화한다면 기업은 도구와 기계를 만들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일조합니다.” 지난 18일 서울 퇴계로 댄포스코리아에 모인 고교생들은 김성엽 동북아총괄대표의 설명에 호기심을 보이며 귀를 쫑긋 세웠다. 김 대표는 “환경문제는 10년 뒤 여러분의 현실이 될 것”이라며 “ESG에 대해 남과 다른 사고...
-
대학 생글이 통신
고교 입학 전 성취감과 재미 다 잡는 방학 보내기
1월 말입니다. 학업 걱정으로 머릿속이 복잡할 예비 고1 친구들에게 고등학교 입학 전 남은 방학 기간을 알차게 보낼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 과목별 학습 목표량 정하기 공부하는 과정에서 학습량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선 시작하기에 앞서 방학 동안의 학습 목표량을 정확히 정해둘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국어 5개년 기출문제집 한 권 끝내고 기본서 한 권과 인강 병행하기.’ ‘수학 상에서 부...
-
대학 생글이 통신
새 학년, 아노미 상태에서 벗어나는 법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모두 한 학년씩 올라가는 시기입니다. 새 학년이 되기 전 방학에 무엇을 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부족한 과목 집중적으로 공부하기 학기가 시작되면 수업 시간에 집중해야 하고, 다가오는 내신 공부와 다양한 학교 활동에 집중해야 합니다. 따라서 내신 공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방학을 이용해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찾아 채울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겨울방학을 이용해 시간을 재며 다음 학년도의 모의고사를 풀어보았습니다...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험생활 시작은 마인드 컨트롤·진로 탐색부터
이번에 수시로 이화여대 기독교학과에 입학하게 됐습니다. 예비 고3 여러분께 제 수험생활을 토대로 몇 가지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수험생활 마인드 컨트롤 많은 수험생이 가장 걱정할 만한 부분이 ‘마인드 컨트롤’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예비 고3 시절, 앞으로 있을 많은 시험을 걱정하며 시간을 보낸 기억이 있습니다. 다양한 글을 읽으며 마음을 다잡던 중 가장 도움이 됐던 글귀를 여러분에게 공유하고자 합니다. &ls...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추상적인 지문 내용의 이해도를 측정하는 문제
비판적 합리주의는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의 관찰로부터 새로운 과학 이론이 비롯된다고 보았다. 이때 기존 과학 이론은 즉시 버려지고 기존 과학 이론을 수정하여 쓸 수는 없다. 과학자들은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이 발견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새로 수립하고, 가설을 시험할 수 있는 사례를 떠올린다. 만약 그러한 사례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그 가설은 잠정적 과학 이론의 지위를 부여받는다. 비판적 합리주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