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대학별 적성평가 전형 분석 - <9> 서경대학교
올해 적성검사 전형 신설, 129명 선발 올해 처음 적성검사 전형이 신설된 대학이다. 학생부 50%+적성검사 50%로 수능 최저학력기준 없이 129명을 선발한다. 적성검사를 실시하는 대학 중에서 가장 적은 인원을 선발한다. 올해 실험적으로 적성검사를 치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올해 적성검사 전형인 일반학생전형이 44.36 대 1로 매우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적성검사는 60분에 총 100문항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1문항당 시간은 ...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47>- Failure is the Mother of Success!
지난 호까지 영작문을 쓸 때 주의해야 할 12가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 칼럼의 주목적은 '어떻게 하면 영작문을 잘 쓸 수 있을까'이다. 이렇게 써라,저렇게 써라 하는 수많은 책들이 서점에 쌓여 있으며 독자들 또한 몇 권씩은 가지고 있거나 공부하였으리라 생각한다. 저자는 어떻게 하면 영작문을 잘 쓸 것인가를 이제부터는 거꾸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영작문을 작성할 때 가장 쉽게 실수하는 것들을 찾아 볼 것이다. 물론 독자들의 대부분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26> 오가타 사다코 홀로코스트기념관 연설
Preventing future genocide and protecting refugees ⊙ 연설배경 이 연설은 '난민의 어머니'라고 불린 오가다 사다코 전 UN 고등난민 판무관이 1997년 4월30일 미국 워싱턴 홀로코스트 기념관에서 행한 연설이다. 그는 이 연설에서 세계적 난민을 돕기를 호소하고 있다. ⊙ 오가타 사다코 1927년 일본 도쿄 출생했다. 일본 세이신(聖心)여대를 졸업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립 버클리대에서 박사학위를...
-
학습 길잡이 기타
<33> 먹을 가까이 하면 검어지게 마련
近 墨 者 黑 가까울 근 먹 묵 사람 자 검을 흑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주위 환경이나 사귀는 사람의 영향을 받음. 진(晉)나라 부현(傅玄)이 지은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 붉은 물감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붉어지고,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소리가 조화로우면 울림도 맑고,형체가 바르면 그림자도 곧다. - 명심보감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어요. 선한 사람과 사귀면 향기로운 ...
-
학습 길잡이 기타
39. 존 캐리「지식의 원전」
“과학적 무지를 당당해 하지 말라” 연전에 어떤 공대생의 항변을 들은 적이 있다. 그의 말인즉슨, "문과생들은 왜 공대생을 '단순무식'하다고 하느냐,이는 편견에 찬 발언이다. 우리도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자연과학 내지 공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지식과 인문사회학을 전공한 사람의 지식 분야가 다르다는 것이다. 우리는 문과생이 공학적 지식을 모른다고 해서 무식하다며 비웃지 않는다. 하지만 문과생들은 우리가 인문학이나 사회과학에 대해...
-
학습 길잡이 기타
2010학년도 고려대학교 모의논술 문항 (上)
부끄러움은 도덕적 양심과는 무관하다? ※ 아래의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1 다윈에 따르면 부끄러움의 원천은 제3의 인물들의 이목이 자신의 신체적 현상에 집중되고 자신이 과도하게 주목 받는 데에 있다. 내가 보기에 이 생각은 일리가 있는 것 같다. 왜냐하면 부끄러움의 감정이 생길 때에는 언제나 자아 감정의 강한 부각과 위축이 일어나고 이는 타인의 시선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부끄러워할 때 다른 사람들의 주목을 받아서...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34>
운동량과 충격량 〔2010학년도 한국항공대학교 예시논술(공학계열) 〕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다'형 글,'-되다'형 문장
"문제가 되는 피동표현에는 우선 능동으로 표현해도 좋을 것을 피동으로 표현한 것이 있고,피동사에 다시 '-지다'를 첨가하는 등 이중피동의 표현을 한 것 등이 있다. 이러한 피동표현의 애용은 발상의 전환을 가져 온다. 그리하여 오늘날 국어의 표현은 주체적 표현이라기보다 객체적 표현,'위장된 객관'의 표현을 많이 보인다." 원로 국어학자인 한갑수 서울대 명예교수는 2006년 열린 한 학술모임에서 외래말투에 물든 우리말의 문제점을 이렇게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