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산림녹화와 우리 숲에 숨은 경제적 가치

    우리나라는 숲이 참 많다. 주위를 둘러보았을 때 가까이 혹은 저 멀리 푸른 산을 쉽게 볼 수 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네 번째로 산림비율이 높은, 숲이 많은 나라 중 하나이다. 실제로 국토면적의 약 63.7%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니 고개만 돌리면 산이 보이는 경관이 당연시될 만하다. 그런데 이 울창한 숲을 속속히 들여다보면 우리 눈에 띄지 않는 경제적 가치가 많이 숨어있다. 숲의 경제적 기능이라 하면 목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⑨ - 성공'률'과 실패'율'의 구별 두음법칙은 우리 맞춤법에서 사이시옷 규정과 함께 양대 난제 중 하나다. 두음법칙이란 말 그대로 단어의 첫머리에서 일부 소리를 피하는 현상이다. 규정 자체가 복잡한 데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 규정부터 살펴보자. 두음법칙은 한글맞춤법 57개항 가운데 제3장 ‘소리에 관한 것’으로, 제10항, 11항, 12항에 들어 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나만 못한 사람이 나를 헐뜯는 경우가 많다. - 청성잡기

    ▶ 「내 어려서부터 세상사 많은 경험을 하다 이제 백발의 노인이 되었다. 헐뜯고 칭찬하는 것은 늘 있는 일, 겪을 만큼 이미 겪었다. 대체로 나보다 뛰어난 사람은 나를 예뻐하고, 나와 비슷한 사람은 나를 좋아하고, 나만 못한 사람은 나를 헐뜯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나는 남을 헐뜯는 사람을 볼 때마다 말했다. “그대가 어찌 저 사람만 못하겠소. 무엇하러 그를 헐뜯는단 말이오!” 헐뜯던 자는 대부분 내 말을 듣고 그만두었다...

  • 경제 기타

    소비와 물류의 중요성 인식한 '박 제 가'

    광복 이후 우리나라에 경제학이 전래되기 전에 우리 자체적인 경제학적 토양이 있었는가라는 질문을 외국인으로부터 받는다면, 우리는 이 분 덕분에 흔쾌히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분은 다름 아니라 박제가다. 박제가는 경제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가 지적한 일련의 요인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경제원리들이다. 박제가는 원래 서자 출신으로 흔히 말해 과거(문과)에 응시할 자격조차 없...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이'모음 역행동화는 한마디로 뒤에 있는 '이'모음의 영향으로 앞음절에 '이'음이 첨가되는 현상이다. 수많은 단어를 일일이 외울 필요는 없다. 원칙을 알고 나면 나머지는 응용해 쓰면 된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우리말에서 '이'모음 역행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를 다른 말들에 적용해 보자. 아무것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은? '무지렁이'일까, '무지랭이'일까? 이 밖에도 헷갈리는 게 꽤 많다. 아기와 애기를 비롯해 ...

  • 학습 길잡이 기타

    곤경에 처했을 때 무엇을 하지 않았는지, 가난할 때 무엇을 취하지 않았는지 살펴보라. -사기

    ▶위(魏)나라 문후가 위성과 책황 중 누구를 재상으로 삼을지 이극(李克)에게 물었다. 이극은 “거처할 때 그가 누구를 가까이하는지, 부유할 때 그가 누구에게 베풀었는지, 높은 자리에 있을 때 그가 누구를 천거했는지, 곤경에 처했을 때 그가 무엇을 하지 않았는지, 가난할 때 그가 무엇을 취하지 않았는지, 이 다섯 가지만 살펴보면 충분히 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문후는 이 말을 듣고 위성을 재상으로 삼았다.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