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책황이 자신이 위성보다 못한 점이 무엇이냐고 이극에게 따졌다. 이극은 “위성자는 자신이 받은 녹봉의 10분의 9를 밖에서 쓰고, 10분의 1만 집에서 사용했기에 복자하, 전자방, 단간목을 얻었고, 왕이 이 세 사람 모두 스승으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그대가 천거한 다섯 사람은 왕이 모두 신하로 삼았습니다. 그대가 어찌 위성자와 견줄 수 있단 말입니까?”라고 말했다. 이 말에 책황이 공손히 두 번 절을 하고 평생 제자가 되겠다고 했다.
사람을 친분이 아니라 원칙에 따라 천거하고 등용하는 점,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깊이 사과하는 모습을 보며 지금 우리를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한마디 속 한자 - 視(시) 보다
▷ 坐視(좌시) : 참견하지 아니하고 앉아서 보기만 함.
▷ 虎視眈眈(호시탐탐) : 범이 눈을 부릅뜨고 먹이를 노려본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해 형세를 살피며 가만히 기회를 엿봄. 또는 그런 모양.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재미있는 수학] '원뿔곡선=2차곡선'…수학언어로 짜여진 우주 비밀](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5231.3.jpg)
![[재미있는 수학] '장미 그림'으로 시각화…통계로 세상 구한 나이팅게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524.3.jpg)
![[재미있는 수학] 숫자 대할 때 1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05.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