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두드리면 울리고, 두드리지 않으면 울리지 않는다 - 묵자
▶‘묵자’의 ‘공맹(公孟)’편에 있는 글로, ‘공맹자가 묵자에게 말했다. “군자는 자기를 공손히 하고 기다리며, 물으면 답하고 묻지 않으면 그친다. 비유하면 종과 같다. 두드리면 울리고, 두드리지 않으면 울리지 않는다.”’의 일부예요. 유가(儒家)인 공맹자의 말에 묵자는 말해요. 군자라면 기다리기보다 좀 더 적극적으로 세상을 변혁하는 데 나서야 한다고 말이죠...
-
학습 길잡이 기타
고려 멸망과 조선 건국 이유가 된 조세제도
미국의 독립선언문 작성에 기여한 정치가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은 일찍이 "이 세상에서 죽음과 세금 이외에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하였다.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죽음과 세금은 회피하려 하여도 언젠가는 반드시 맞닥뜨리게 된다는 의미이다. 죽음은 인간이 지닌 숙명이니 피할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 손치더라도 세금도 과연 그럴까? 소득이 있는 일국(一國)의 국민이라면 세금을 납부할 의무를 지닌다. 물...
-
경제 기타
혁신적 회계시스템으로 상권 장악한 조선의 개성상인
오늘날 우리 사회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인재를 필요로 한다. 저성장 기조의 경기상황과 치열한 경쟁구조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인재를 원하고 있다. 최근 들어 기업가정신이 대두되고 있는 이유도 이러한 맥락에서 비롯된 것이다. 기업가정신은 주어진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기회를 탐색하고, 창의적인 사고와 행위로 가치를 창조하는 정신을 말한다. 세련된 수식어로 현시대의 모습을 반영하는 이 단어는 한국의 고도성장을 가능하게 한 우리기업의 신념과 일맥...
-
학습 길잡이 기타
최적의 위치 찾기 - 시야각 문제
최준원 <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오랑캐가 전해준 ‘호주머니’ “뷔페식당은 특성상 ‘한복 소매’에 음식이 묻어 위생 문제가 제기되는 등 한복과 관련된 고객불만 사례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고객 편의를 위해 안내한다는 것이 미숙한 대응으로 엉뚱한 오해를 받은 것 같다.” 몇 해 전 국내 한 유명호텔 뷔페식당에서 손님이 한복을 입었다는 이유로 입장을 거부한 일이 벌어져 논란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맛이 있다고 많이 먹으면 병이 생기는 법 -소옹
▶ 송대(宋代)의 유학자 소옹이 어진 사람에 대해 읊은 ‘인자음(仁者吟)’에 있는 구절로, ‘어진 사람도 일정한 생각을 가지기란 어려운 것. 평생을 조심하여 다치지 않을 것이라 믿지 말라. 앞을 다투는 길은 수레가 쉽게 상하고 가까워진 후에 하는 말은 재미가 있다. 맛이 있다고 많이 먹으면 병이 생기고 기쁜 일이 지나치면 재앙이 따르는 법이다. 병든 후에 약을 구하는 것보다는 병들기 전에 막는 것이 좋지 않은가?...
-
학습 길잡이 기타
의심하면서 일을 하면 공을 세우지 못하고, 의심하면서 행동을 하면 이름을 얻지 못한다. -사기
▶ 조나라의 개혁군주 무령왕이 실용적인 호복(胡服)을 입으려 하자 여러 신하들이 반대했어요. 이에 비의가 말했어요. “신이 듣건대 의심하면서 일을 하면 공을 세우지 못하고, 의심하면서 행동을 하면 이름을 얻지 못한다고 합니다. 왕께서는 이미 옛 풍속을 거슬렸다는 비난을 받으셨으니, 천하 사람들이 논의하는 것을 결코 돌아봐서는 안 됩니다. 무릇 지극한 덕을 논하는 자는 세속적인 것에 부화뇌동하지 않으며, 큰 공을 이루고자 하는 자는 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아랫사람은 ‘세배’하고 어른은 ‘덕담’한다 ‘남녀 어린이들은 모두 새 옷으로 단장하는데 이것을 세장(歲粧)이라고 하고 우리말로는 설빔이라고 한다. 집안 친척 어른들을 찾아뵙고 인사드리는 것을 세배(歲拜)라고 한다. 이날 찾아온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만든 시절 음식을 세찬(歲饌)이라 하고, 대접하는 술을 세주(歲酒)라고 한다.’ 조선 순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