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25. 준동사(Verbals)
한 문장에서 접속사 · 관계사없이 동사 두개는 못써!! ♣한 문장 내에 접속사나 관계사 없이 두 개의 동사가 함께 쓰일 수 없다. 한 문장 내에 동사가 두 개 이상이라면 반드시 그 문장에는 절과 절을 잇는 접속사나 관계사가 필요하다. 접속사가 없는데 한 문장 내에 동사가 두 개 이상 보인다면 둘 중 하나는 준동사의 형태를 한다. 다음 예문을 보자. My friend was embarrassed and hurriedly left the ...
-
학습 길잡이 기타
19. 민들레 홀씨 … 민들레에는 홀씨가 없다
10여년 전 한 침대회사에서 만든 광고."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한국광고대상을 받기도 한 이 광고 문구는 광고로서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일반 언어생활에 끼친 부작용도 컸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초등학생들이 시험 때 '다음 중 가구가 아닌 것은?'이란 질문에 줄줄이 '침대'를 골랐다는 웃지 못할 얘기다. 대중매체 못지 않게 노랫말도 언중의 말글살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달빛 부서지는 강둑에 홀로 앉아 있네~ 소리 없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시론) 플리바게닝, 합법과 불법사이
하태훈 < 고려대 교수ㆍ법학 > 요즈음 우리는 전문가에게도 어려운 법률용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공판중심주의'가 한동안 화두(話頭)이더니 이제는 '플리바게닝(Plea Bargaining)'이다. 유죄협상제도라고도 불리는 플리바게닝은 피의자가 유죄자백을 하는 대가로 검사가 불기소 또는 가벼운 죄명으로 기소하거나 낮은 구형을 약속하는 것이다. 피해액이 사상 최고라는 제이유그룹 사건 수사과정에서 검사가 피의자에게 거짓 진술을 강...
-
학습 길잡이 기타
동짓달 · 섣달 그리고 정월
지난 18일은 음력으로 1월1일,설이었다. '설'이란 새해의 첫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새해 첫날을 나타내는 말로는 한자로 '으뜸 원(元)'이나 '머리 수(首)''처음 초(初)'자를 써서 '원단(元旦:설날 아침),원일(元日),신원(新元),세수(歲首),정초(正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설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말은 '정월 초하루'일 것이다. '정월(正月)'은 음력으로 한 해의 첫째 달이다. 그 첫째 달 첫날을 '정월 ...
-
진학 길잡이 기타
(3)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1.선생님의 역할 흔히 교과목을 넘나드는 통합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쪽은 학생보다는 선생님들이라고 한다. 학생들은 하루에도 여러 과목을 공부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미 과목 통합적 환경에 노출돼 있는 반면,선생님들은 본인이 일부러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이런 문제의식은 그 자체가 토론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오해에서 생기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선생님은 배경 지식은 물론 예시문제에 대한 접근법 제시,정확한 사고의 전개를 ...
-
진학 길잡이 기타
서울대 2008학년도 모의 논술 해설
◆서울대 논술 유형-방향은 정해졌다 지난 22일 실시된 서울대 모의 논술고사는 인문계의 경우 지난해 예시문항들보다 문제로서의 완결성이 다소 보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수험생들이 전보다 편하게 느낄 수 있게 구성되었다는 점도 특징이다. 지난해 발표된 1,2차 예시문항이 한 개의 대단히 긴 제시문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묻는 등 형태 면에서의 실험성이 그 특징이었던 데 반해,이번 모의고사에서는 교과서 제시문을 통해 논리적 상상력과 비판력 등을 ...
-
진학 길잡이 기타
대학별 전형 및 지원전략 분석 ② 연세대
연세대 수시 2학기 서류평가ㆍ면접이 논술로 대체 논술 모의고사 실시 … 내달 16일 우수답안ㆍ이유 등 공개 연세대의 2008학년도 입학전형의 전체적인 틀은 2007학년도와 유사하다. 다만 대입제도 변경으로 인해 불가피한 부분의 전형요소와 평가방법이 일부 조정되었을 뿐이다. 이는 갑작스런 변화로 인한 수험생의 혼란을 줄이고 △창의력,다양한 재능 및 잠재력을 지닌 우수학생을 선발 △고등교육 정상화 실현 △사회적 소외계층에게 고등교육을 받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23. 준동사(Verbals) ③
'to 부정사' '동명사'를 받는 동사 외우느라 애쓰지마!! ♣'to 부정사'는 미래성을,동명사는 현재성이나 과거성을 내포한다. 대부분의 영문법 책에서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받는 동사와 동명사를 목적어로 받는 동사를 분리해서 암기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실상 무수히 많은 동사를 모두 그렇게 암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많이 쓰이는 동사라 할지라도 이를 일일이 암기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동사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