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숫자로 읽는 세상
900조 굴리는 국민연금 수익률 -7%…2년치 지급액 한꺼번에 날렸다
국민 노후자금 900조원가량을 굴리는 국민연금의 기금운용 수익률이 올 들어 9월까지 -7%대를 기록했다. 이 기간 손실액은 총 68조원에 달했다. 국민연금이 수급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이 올해 30조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점을 감안하면 기금 운용 손실로 2년치 지급액을 한꺼번에 날린 셈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지난 9월 말 기준 적립금이 896조6000억원이며 올 들어 9월 말까지 수익률은 -7.06%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지금 추세가...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요구사항에 집중…논술의 본질인 '추론'을 이해할 것
[문제] (가)를 토대로 ‘지도란 무엇인가?’에 대해 답하고, (나)의 추론 방식을 참조하여 (다)의 지도 [A]와 [B]에 나타난 제작자의 관점을 각각 설명하시오. (1200자, 100점 / 제시문은 2022년 11월21일자 16면 참조 ) [해설] 답안을 작성할 때는 요구사항에 대한 답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하면서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적절한 표현을 선택해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에서 첫 번...
-
생글기자
2022 글로벌 인재포럼을 통해 배운 점
지난 11월 2~3일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2022 글로벌 인재포럼’이 열렸다. 올해 주제는 ‘The Next: 대전환 시대의 인재’로, 각국 정부 및 국제기구 고위 인사,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 세계 각 대학의 교수 및 전문가들이 모여 차세대 인재의 미래를 논했다. 나는 2일 프로그램에 참석했다. 첫 번째 기조연설은 조제 마누엘 바호주 골드만삭스 회장이 ‘세계 대전환과 탈세...
-
소득분배
[문제1] 소득분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지니계수가 1이면 완전 평등하다. (2) 소득분배가 완전히 불평등하다면 지니계수는 0이 된다. (3) 소득분배가 평등할수록 로렌츠 곡선은 대각선에서 멀어진다. (4) 십분위분배율은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사이의 소득불균형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5) 십분위분배율과 지니계수 및 소득 5분위 배율의 값이 커질수록 소득분배가 평등하다. [해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
-
나누면 더 행복해져요
주니어 생글생글 40호에선 커버스토리를 통해 기부의 의미를 생각해봤다. 헌옷 기부, 착한 소비 등 어린이와 청소년도 쉽고 즐겁게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부 방법을 제시하며 기부는 무겁고 거창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초등학생 대상의 인공지능(AI) 교육 프로그램 ‘AICE 퓨처 캠프’와 전국 초·중학교 각 학급이 참여한 ‘우리반 신문 만들기 공모전’ 소식도 실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
수능 경제와 테샛…'쌍둥이 시험' 같네
779호 생글생글은 수능 경제 과목과 한경 테샛(TESAT)의 유사성을 분석했다. 수능 경제 20문항 중 절반인 10문항이 높은 유사성을 보였고, 이 중 7개 문항은 쌍둥이 문제라고 할 정도로 일치율을 나타냈다. 테샛은 한국경제신문이 시행하는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이다. 수능 경제가 단순 암기보다 이론과 실생활을 연계해 이해하는지를 묻듯 테샛도 마찬가지다. 테샛을 경험한 수험생이라면 수능 경제에 익숙함을 느꼈을 가능성이 높다. 대입전략은 가채점을 ...
-
커버스토리
수능 경제·테샛 유사성…상상 이상으로 높았어요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에서 경제 과목을 선택하는 수험생은 전체의 2% 정도입니다. 9개 사탐과목(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사회문화, 경제,정치와 법, 세계사, 동아시아사) 중 가장 낮은 비율입니다. 경제를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수험생들에게 물어보면 대답은 한결같습니다. “어려워서요.” 국어, 영어, 수학을 공부하기도 바쁜데 그래프와 표가 많이 나오는 경제까지 공부하기 버겁다는 거죠.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因果應報 (인과응보)
▶한자풀이 因: 원인 인 果: 결과 과 應: 응할 응 報: 갚을 보 행한 대로 대가를 받는다 결과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음 -《대당자은사삼장법사전(大唐慈恩寺三藏法師傳)》 ‘선(善)을 쌓는 집에는 경사로움이 있다.’ <역경>에 나오는 말로, 행한 대로 그 대가를 받는다는 뜻이다. 선행에는 좋은 결과가, 악행에는 나쁜 결과가 따른다는 말이다. 인과응보(因果應報)는 불교 용어로 <역경>에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