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아편은 서구제국의 고수익 사업…중국 4000만명 중독
‘아편(opium)’은 메소포타미아가 원산지로, 중국에선 아랍어 ‘아프염(af-yum)’이나 ‘아푸용(a-fu-yong)’을 음역해 ‘아편’ 또는 ‘아부용’이라고 표기했다. 아편은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 삼은 뒤 동인도회사를 매개로 주요 교역 품목이 됐다. 애초에 포르투갈인들이 인도 중부에서 생산되던 아편을 인도 고아를 통해 마카오로 운...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한 사람의 거룩한 꿈이 이룬 아름다운 숲
올여름 세계가 이상 기온으로 큰 곤욕을 치렀다. 석 달 동안 폭우가 내린 파키스탄은 전 국토의 3분의 1이 물에 잠겼고, 500년 만에 닥친 최악의 가뭄으로 저수지가 말라붙은 유럽에서는 유적이 발견되는 뜻밖의 일이 벌어졌다. 우리나라는 115년 만의 폭우로 서울 강남이 물에 잠기고, 힌남노 태풍으로 경북 포항지역이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지구를 위협하는 온난화는 가시광선은 통과시키지만 적외선은 흡수해버리는 이산화탄소의 증가 때문에 일어나는 현...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시간표에 맞춰 공부시간 균형을
수능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제 경험상 수능까지 남은 시간은 순식간에 사라집니다. 그런 만큼 수능을 준비하는 데 계획이 중요합니다. 수능에서는 여덟 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영역 2과목, 제2외국어 영역)을 봅니다. 이 많은 과목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공부 계획을 세우는 저만의 방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우선 실제 수능 시간표를 이행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조금 의아할 수 있습니다. ‘수능 시간표에 맞춰 공부하...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짝수 반대는 홀수, 그렇다면 남학교 반대말은 여학교?
정답은 여학교가 아니라 ‘적어도 한 명의 여학생이 다니는 학교’이다. 남학교의 반대말을 명제화해 생각하면 ‘우리 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모두 남학생이다’라는 명제에 대한 부정이며 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여학생이 적어도 한 명은 존재한다는 뜻이 된다. 이처럼 명제의 조건이나 결론을 부정할 때 ‘임의성’과 ‘존재성’의 관계를 잘 파악해야 올바른 증명을 할 수...
-
대입전략
인문 합격선 288.3~229.5점, 자연계 285.8~238.2점…인문 수학 4등급도 인서울, 수학 포기하지 말아야
통합수능 2년차, 국어와 수학에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고착화되면서 이과생 강세는 올해도 반복될 전망이다. 인문계 학과의 정시 합격선은 주저앉은 반면, 이공계 학과는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통합수능 전후 주요 대학의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하고, 남은 기간 학습전략을 소개한다.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통해 발표된 2022학년도 주요 19개 대학 정시 합격선(국어, 수학, 탐구(2) 백분위 합, 300점 만점, 학과별 7...
-
테샛 공부합시다
수상자 발표 고교 1위 구암고 김예결·주니어 1위 해강중 표하민
테샛관리위원회는 76회 테샛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테샛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대학생 대상 구자욱·신호성, 일반인 최우수상 김찬억 씨 만점 테샛 76회 고교 개인 1등은 구암고 3학년에 재학 중인 김예결 학생이 수상했다. 황재혁(여수충무고 3년) 장시우 이주하(동화고 2년) 학생은 우수상을 차지했다. 권동욱(윈체스터칼리지 VI Book 2) 유채운(비전고 3년) 학생은 장려상을 받았다. 대학생 개인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추석에 송편 빚으셨나요?
추석을 며칠 앞두고 남부지방을 할퀸 태풍 힌남노가 많은 인명 피해를 남긴 채 동해로 빠져나갔다. 그래도 100년 만에 가장 둥글었다는 보름달이 찾아와 전국을 포근하게 비췄다. ‘사랑의 송편 만들기’ 행사도 곳곳에서 열려 한가위 넉넉함을 더하는 데 한몫했다. “7일 오전 경기도 OOO에서 열린 송편 만들기 봉사활동에서 참가자들이 관내 취약계층에 전달할 송편을 포장하고 있다.” ‘만들다&rsq...
-
생글기자
청주의 자랑, 일신여고 근대 문화유산 '양관'
충북 청주 일신여고에는 11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한 ‘양관’이 있다. 양관은 ‘서양식으로 지은 집’이라는 뜻이다. 1904년 청주에 선교 활동을 하러 온 민노아(프레드릭 밀러) 목사가 주도해 지은 건물이다. 1907년부터 1911년까지 총 7개 동을 완공했는데, 현재 6개 동이 남아 있다. 그중 4개는 일신여고에 있다. 양관은 건물 외벽을 붉은 벽돌로 짓고, 유리창은 서양식 아치형으로 한 것이 특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