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49. 종합 실전문제 ②
뭐니뭐니해도 실전!!! 지난 회에 이어 어법에 관한 필수적인 내용들을 실전문제를 통해 총 복습해 보도록 하자.이 문제를 풀며 혹시 틀린 것이 있다면 가볍게 여기지 말고 관련 어법 사항을 꼭 확인하여 나의 것으로 만들자. ♣다음 빈 칸에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라. 1.The old man ______ at the script seems to be a producer of the popular program. ① looks ② looked ...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36)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생글생글을 휴대폰으로도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를 통해 실력을 겨뤄보세요. [문제]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용병은 군주가 전쟁을 하지 않을 때는 군주를 위해 기꺼이 봉사하려하지만 전쟁이 일어나면 도망가거나 탈영해버리고 말 것이다. ②그런데 이 중 용병과 원군은 무익할 뿐만 아니라 위험하기까지 하다. ③왜냐면 용병은 군주에게 아무런 애정이 없으며 금전적 보상 외에는 군주를 위해 ...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9월 3일자
1.다음 중 관세 철폐뿐 아니라 투자,인적교류,비즈니스 환경 개선 등 폭넓은 분야에서 경제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맺는 협정은 무엇인가? ①경제연대협정(EPA) ②자유무역협정(FTA) ③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 ④최혜국대우(MFN) 2.다음 중 적대적 인수·합병(M&A)으로부터 기업의 경영권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어 수단이 아닌 것은? ①황금알 매각 ②팩맨 전략 ③백기사 전략 ④그린메일 3.'세계경제대통령'이라고 불...
-
커버스토리
금융위기, 어떻게 전세계로 퍼져나가나?
중국 베이징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한 달 후 미국 뉴욕에서 폭풍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소위 '나비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걸까. 나비효과는 그나마 한 달이라는 여유를 주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에서 촉발한 금융위기는 빛의 속도로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했다. 미국의 영향력이 아무리 절대적이라고 하지만 미국 금융자산의 1%도 안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그것도 아주 일부에 생긴 문제가 낳은 결과로는 너무나 엄청나다. 어떻게 이런 일...
-
경제 기타
서울 주요대 수시 1학기 논술이 당락 가른다
연ㆍ고대 등 논술 반영 비율 50% 넘어…7일부터 접수 전국 185개 4년제 대학이 다음 달 7일부터 2008학년도 수시 2학기 모집에 나선다. 선발 인원은 2008학년도 전체 선발 인원의 50%인 18만9300명으로 정시 모집 인원을 넘어섰다. 수시 2학기 모집 인원이 정시를 추월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장무 서울대 총장·이하 대교협)는 지난 20일 전국 4년제 대학의 수시 2학기 입시전형 계획을 취합해 발표했다...
-
경제 기타
청약 가점제 내달 17일 첫 시행 外
◆청약 가점제 내달 17일 첫 시행 무주택 기간,부양가족수,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에 따라 가점을 주어 총점(만점은 84점)으로 아파트 당첨자를 가리는 청약가점제가 9월부터 시행된다. 실제 가점제가 적용되는 아파트의 청약은 9월17일부터 개시된다. 건설교통부는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주택을 우선 분양하기 위한 청약가점제를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 주택공급규칙 개정안을 23일 고시했다. 청약가점제는 청약예금·부금 가입자가 민영아파트를 청약할 때 무주택...
-
생글논술대회 접수 서두르세요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름방학은 모두 건강하게 잘 마무리했는지요. 2학기에는 수시 정시 수능 등 굵직한 입시 행사들이 줄지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미 2학기 수시는 다음 달 7일부터 접수한다고 발표가 됐지요. 생글이 여러분 모두 좋은 결실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생글생글은 이미 예고해 드린대로 4회 논술 경시대회 참가 접수를 다음 달 3일(개인은 7일)에 마감합니다. 아직까지 신청하지 않은 단체 학교와 개인 참가자들은 신청을 서둘러...
-
경제 기타
한나라 전당대회 경선이 남긴 것들
패배후보의 깨끗한 승복 절차적 민주주의 이뤄내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이다. 정치에 있어 절차적 민주주의가 존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잣대는 여러 가지가 있다. 직접선거 또는 국민에 의해 위임받은 조직 등을 통해 정치가 이뤄지는지,권력에 도전하는 많은 정당들이 있는지,정당한 선거에 의해 합법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정권교체가 이뤄지는지,법치주의에 입각한 공정한 통치가 되고 있는지 등이다. 정당이 공직에 나서려는 사람을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