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343)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 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342회 스도쿠여행 정답 : ⓐ-3 ⓑ-2 ⓒ-1 ⓓ-6 ⓔ-4 ⓕ-5 ⓖ-6 ⓗ-2 ⓘ-4 ★ 340회 당첨자 : 한창용 김다니 박선영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9일자

    1. 가구업계의 ‘공룡’으로 불리는 이 스웨덴 회사가 최근 경기 광명에 1호점을 연 이후 국내 가구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소비자가 가구를 직접 조립해야 해 일명 ‘불편함을 파는’ 콘셉트로 유명한 이곳은? (1) 테스코 (2) 이케아 (3) 타오바오 (4) 무인양품 2. 중국에서 온라인으로 해외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중국의 해외 직구족’을 뜻하는 신조어다. 해외 네티...

  • 학습 길잡이 기타

    결단해야 할 때 결단하지 않으면 도리어 화를 당한다 - 사기

    『사기』 ‘제도혜왕세가’에 실려 있는 글로, “아! 도가(道家)의 말 중에 ‘결단해야 할 때 결단하지 않으면 도리어 화를 당한다.’는 말이 이것이구나!”의 일부예요. ‘칼자루를 쥐다’라는 말이 있어요. 어떤 일에 실제적인 권한을 갖는다는 뜻이죠. 이 말은 싸움의 주도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알려줄 때 써요. 내가 칼자루를 쥐었다면 내 뜻대로, 상대가 쥐었다면 상...

  • 커버스토리

    오류와 왜곡…통계를 맹신하지 마라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다. 그럴듯한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그리고 통계다.” ‘영국의 황금시대’를 이끈 빅토리아 여왕(재위기간 1837~1901년) 시대 총리였던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말이다. 다양한 통계를 인용해 국민과 정치권을 설득한 사람의 말이라서 그런지 통계의 함정이 더 크게 느껴진다. 미국 작가 대럴 허프의 <How to lie with statistics>는 우리나라에...

  • 경제 기타

    생글선생님 인사이동때 인수인계 잘 해주세요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새 학년을 앞두고 봄방학에 들어갔을 학교현장, 요즘 어떤지요? 그래도 방학을 잊고 학교에 나와 공부하는 학생들도 있겠지요. 다음주 설 연휴 주간이 끝나면 새 학년도 1주일 앞으로 다가옵니다. 봄방학 동안 1년 계획을 잘 세우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 생글 통신은 생글 선생님께 드리는 부탁의 말씀으로 대신하려 합니다. 생글생글은 각 학교에 무료로 발행, 배포하는 대신 생글 선생님을 지정해 관리와 운영을 맡아주도록...

  • 경제 기타

    명문대 여는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2월28일 동국대학교에서 만나요!

    “경제 이해는 물론 자기소개서 쓰기와 면접에도 큰 팁을 받았습니다. 멘토 선배들과의 대화를 통해 대학 진학에 스스로 의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도 깨달았습니다.”(11회 캠프 참가 김근아 양·영복여고 2년)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하는 제12회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오는 28일 동국대(경영관 L101)에서 열린다. 기업인, 최고경영자(CEO), 경제·경영학자 등을 꿈꾸는 고교생을...

  • 경제 기타

    초당 광고료 15만弗…'슈퍼볼'의 경제학

    슈퍼볼(Super Ball)은 1964년 노먼 스팅리가 개발한 작은 고무공이다. 이 공은 미국에서 출시되자마자 어린이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루 최고 판매량 17만개, 출시 첫해 600만개 넘게 팔리며 어린이들의 사랑을 독차지했다. 미식축구 양대 콘퍼런스 우승 팀이 맞붙는 최종전을 ‘슈퍼볼(Super Bowl)’로 명명한 이유다. 미식축구 캔자스시티 치프스의 구단주였던 라마 헌트의 아이들도 슈퍼볼을 가지고 놀았다....

  • 커버스토리

    4대그룹의 매출이 GDP의 50%나 된다고?

    통계는 판단기준을 제시한다. 하늘에 떠 있는 북극성과 비슷하다. 북극성을 보고 항해하면 방향을 잃지 않는다. 문제는 다른 별을 보고 북극성이라고 우길 때다. 북극성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속는다. 애초부터 오류가 포함된 통계를 만들어내거나, 서로 비교 대상이 안 되는 통계를 비교한 뒤 특정 주장을 내세울 경우 일반인은 쉽게 주장에 편승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나도는 엉터리 통계 해석은 어처구니없는 사회적 갈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