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진학 길잡이 기타
서울대 자기소개서 문항별 작성방법…문항1:학업 관련
Ⅰ. 들어가며 지난 23일 오전 3시18분. 싱가포르의 영광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일생을 불도저처럼 달려온 거인이 영면에 들었다. 싱가포르의 아버지(papa) 리콴유(1923~2015년, 91세). 36세부터 26년간 총리가 되었고, 그 이후에는 선임장관, 고문장관으로 2011년까지 싱가포르 국정에 자신의 철학인 ‘자유로운 경제와 마키아벨리식 통치’를 실현시켰다. 이는 명확한 미래에 대한 비젼, 정확한 정보수집, 객관...
-
테샛 공부합시다
제14회 주니어 테샛…제28회 테샛 원서 접수
한국경제신문은 ‘제28회 테샛’과 ‘제14회 주니어 테샛’ 원서를 5월4일(월)까지 접수합니다. 28회 테샛은 5월16일(토) 서울 부산 인천 수원 대전 대구 광주 전주 창원 울산 춘천 제주 등 전국 16개 고사장에서 시행됩니다. 학교나 동아리가 30명 이상의 응시자와 자체 고사장을 확보할 경우 감독관을 파견해 특별고사장을 마련, 시험을 치르는 것도 가능합니다. 14회 주니어 테샛은 같은 날 서울 부...
-
테샛 공부합시다
한국경제신문을 보조교재로 활용하는 건국대 장동한 교수…"한경만큼 좋은 경제교과서 없어요"
지난 19일 낮 12시 서울 능동로 건국대 상허연구관 220호 강의실. 장동한 교수(국제무역학)의 ‘재무와 회계’ 수업을 듣는 31명의 학생이 한국경제신문을 펼쳐들고 있었다. 강의 스크린에는 이 날짜 한국경제신문 1면 톱인 ‘AIIB 총재·본부 중국 반대’ 기사 제목과 본문이 큼직하게 떴다. “여러분, AIIB라고 들어봤나요? 아시아 지역 인프라 투자를 지원하는 은행을 중국 주...
-
테샛 공부합시다
27회 테샛 평균 성적 192점
지난 22일 시행된 27회 테샛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이 192점(300점 만점. 100점 만점 기준으론 64점)으로 나타났다. 26회 테샛 평균 점수(190점)와 비슷한 수준으로, 테샛위원회가 난이도 기준으로 삼는 180점을 다소 웃도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25일 27회 테샛 성적을 채점한 결과 응시자들의 평균 성적은 191.89점으로 집계됐다. 영역별로는 경제이론이 평균 62.6점, 시사경제·경영 63.4점, 상...
-
테샛 공부합시다
소비자 물가지수
뉴스에서 이번 달 물가가 1% 올랐다고 했지만 엄마는 고깃값이 많이 올랐다고 반찬을 확 줄인 경험있나요? 물가가 1% 올랐다면 용돈을 쓸 때나 우리 집 반찬 수 등 내 일상에서도 1%만 아쉬워야 하는데 왜 그 이상 더 아쉬울까요? 생필품 물가 ‘장바구니 지수’ 정부는 실생활에서 접하는 체감물가를 알아보기 위해 장바구니 물가지수라는 걸 만들었습니다. 장바구니 물가지수는 문자 그대로 장바구니 물가를 파악하는 지수입니다. 소...
-
경제 기타
뉴욕으로 날아간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지난 2013년 뉴욕에 있는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신라:한국의 황금 왕국’전이 개최되었습니다. 세계적인 박물관에 신라의 금관을 비롯 황금 유물이 당당히 소개된 것이지요. 여기에 전시된 유물 중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되었던 것은 바로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입니다. 도난과 훼손의 우려가 있어 반출할 것이냐 말 것이냐를 놓고 논쟁이 있었는데요. 결국 뉴욕 한복판에 그 진짜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습니다. 중생 구...
-
학습 길잡이 기타
서울과학고 김국인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서울과학고 김국인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미분가능과 연속 함수 y=f(x)가 x=α에서 극한값과 함수값이 모두 존재하고 그 값이 같을 때 x=α에서 함수 y=f(x)가 연속이라고 한다. 즉 수식1과 같으면 y=f(x)는 x=α에서 연속이다. 거꾸로 말하면 x=α에서 함수값 또는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거나 두 값이 존재하더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x=α에서 불연속이다. 고등학교 수준에서 연속...
-
경제 기타
'생글생글' 아직도 모르는 사람 있나요? 등
‘생글생글’ 아직도 모르는 사람 있나요? 순천강남여고에 재학 중인 필자는 작년부터 생글생글 10기 학생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필자는 생글생글 신문에 직접 쓴 기사가 실릴 때마다 친구들에게 보여주곤 한다. 주변 친구들은 가끔 놀라며 묻는다. “생글생글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생글생글’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이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는 친구는 드물다. 생글생글을 구독하는 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