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영감'에 깃든 우리말 변천사
"영감 (왜불러) 뒤뜰에 뛰어놀던 병아리 한 쌍을 보았소 (보았지) 어쨌소 (이 몸이 늙어서 몸보신 하려고 먹었지) 잘했군 잘했어 잘했군 잘했군 잘했어 그러게 내 영감이라지~." 가수 하춘화가 불러 우리에게 익숙해진 대중가요 '잘했군 잘했어'의 도입부이다. 나이 지긋한 아내가 남편을 '영감' 하고 부르는데, 그 맛이 친근하고 구수하다. 그런데 다음 글에 나오는 또 다른 '영감'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7일 대법원은 여지껏 판사를 영감...
-
학습 길잡이 기타
169. 접속구문 쓰기
말에도 경제성의 원칙이 적용된다. 특히 '-고' '-며' '-나' 같은 등위 접속어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접속어 앞뒤로 같은 값의 말이 오게 되므로 자칫 같은 표현을 반복해 쓰기 쉽다. 가령 '-고'는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대등하게 벌여 놓는 연결 어미다. "여름에는 비가 내리고 겨울에는 눈이 내린다" 식으로 쓰인다. "이것은 감이며 저것은 사과다"처럼 쓰이는 '-며'도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나 상태 따위를 나열할 때 쓰는 연결 어미다....
-
진학 길잡이 기타
지난해 정시 주요 대학 재수생이 40~60% 합격
고3 재학생은 수시모집 적극 공략해야 2012학년도 정시모집에서는 전체 대입정원의 약 38%인 14만 5133명을 선발한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하여 정시 모집인원이 5628명 감소한 인원이다. 지난해 정시 결과에서 서울 주요대학 합격자의 40~60% 이상이 재수생들이고 금년 입시부터 수시 추가합격으로 인한 정시모집 이월인원의 축소를 고려한다면 올해 고3 수험생이 정시로 대학가기는 더욱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정시에서는 지난해와...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02>
전자기 유도와 뉴턴의 방법 [2010 경희대학교 수시 자연계 논술고사 문제 중]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호림의 S몰입 수학 <63>
고교생이 꼭 알아야 할 수능형 문제 63
-
학습 길잡이 기타
신을 찾아간 코뿔소
角 者 無 齒 뿔 각 놈 자 없을 무 이빨 치 코뿔소가 신(神)을 찾아갔다. 코뿔소는 사자와 같이 날카로운 이빨을 달라고 졸랐다. 신은 코뿔소에게서 나뭇잎과 풀을 잘게 씹어서 먹을 수 있는 이빨과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뿔을 거두어가고,날카로운 이빨을 주었다. 얼마 후 코뿔소가 다시 신을 찾아왔다. 코뿔소는 신 앞에 무릎을 꿇고 눈물을 뚝뚝 흘렸다. 그는 보기에 딱할 정도로 몹시 말라 있었다. 神 : 어째서 우느냐? 네...
-
학습 길잡이 기타
2011 서울대 정시모집 논술고사 문제풀이 (下)
좋은 음악이란 무엇인가? ⊙ 설명하고, 견주고, 비판하고, 종합하는 사고 과정 보여줘야 서울대 정시논술고사 문항3의 주제는 예술이다. '좋은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단순한 논제다. 제시문은 모두 우리 고전인데, 하나는 학생들에게 익숙한 김만중의 <구운몽>이고, 다른 하나는 유득공의 평전인 <유우춘전>이다. 조건은 "제시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음악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포함시킬 것"이다. 논제의 분량은 1600±1...
-
학습 길잡이 기타
(52) “결론에 부합하는 제시문 요약을 시도할 것”
⊙ 공통점 찾기문제의 풀이 문제는 283호에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드리다 보니 어느새 연재가 많이 지나갔군요. 이번 호부터 좀 더 속도를 올려서 공통점 찾기 유형부터 해결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호에 (가)와 (나)를 관통하는 하나의 단어로 통념(通念)이 있다고 말씀드렸지요. 물론 이 단어가 생각나지 않더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상식이라든지, '널리 알려져 있는 지식' 정도만 하셔도 훌륭합니다. 대신 이제 술어를 정해야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