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최희영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희영의 신나는 수학여행 - 수학을 만든 도박꾼들의 위대함? 째깍, 째깍, 째깍, … '그만!! 자~, 이 3차방정식의 답은… XXX입니다! 네~! 타르탈리아의 승리입니다~!' 와~아~ 짝짝짝짝! 1553년께 두 수학자 피오르와 타르탈리아의 3차방정식의 해법에 대한 공개시합이 있었고, 위의 상황에서처럼 결국 타르탈리아가 이겼다. 그렇다! 15세기 중반 드디어 3차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을 타르탈리아가 찾아낸 것이다. 그런데 이게 웬일? 현재에...

  • 학습 길잡이 기타

    Smart한 논술의 법칙 (28) 문제를 정확히 읽어야 답 찾는다!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일부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원서 접수가 시작이 됐거나 혹은 어떤 대학은 끝이 났습니다. 평균 경쟁률은 작년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요. 이는 수시에서 지원할 수 있는 원서가 6개로 제한된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작년과 같은 경향이 나타나는 것은 학과 선호도입니다. 예를 들어 얼마 전 원서접수가 끝난 올해 건국대 자기추천전형의 경우 전체 경쟁률이 13.8 대 1이었지만, 커뮤니케이션학과의 경우는 52.33 대 1,...

  • 학습 길잡이 기타

    배경지식이 필요한 독해 유형

    더 이상 연재본을 배부하지 않으냐고 질문하는 분들이 종종 계시네요. 계속 배부하고 있습니다. 다만 분량관계로 그 안내문구가 편집된 것뿐입니다. 계속 배부하고 있으니 메일을 보내주셔도 됩니다. 성명과 학교, 전화번호를 꼭 기재해주세요. 다음주부터 8월분까지 정리된 연재분을 드릴 수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본격적인 상위권 대학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독해유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걸 유형이라고 말하기는 좀 어렵긴 합니다. 특정하게 요...

  • 학습 길잡이 기타

    <167> 상대속도와 만유인력

  • 학습 길잡이 기타

    <66> 나는 엄마예요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 맹모단기(孟母斷機): 맹자가 학업을 중단하고 돌아왔을 때에, 그 어머니가 짜던 베를 잘라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둔 것을 훈계한 일을 이르는 말. - 맹모삼천(孟母三遷):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

  • 학습 길잡이 기타

    최희영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희영의 신나는 수학여행 - 10진법이 가장 많이 쓰인다고?…천만에!! 현재 지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진법은 몇 진법일까? '훗, 그런 바보같은 질문을…. 당연히 10진법이지!'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정확히 아니다! 2진법이다! (16진법으로 볼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지구의 모든 컴퓨터와 계산기가 전부 2진법을 사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이다. 물론 사람이 사용하는 진법 중 제일 많이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

  • 학습 길잡이 기타

    Smart한 논술의 법칙 (27) '다름을 찾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야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주 5일 수업이 학생들에게 좋은 제도임에는 확실하지만 이로 인해 여름방학이 짧아진 불행한 사태가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벌써 여름방학이 끝났기 때문입니다. 그 어느 해보다 더웠던 여름을 잘 보낸 학생들은 9월 모의고사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지난호에 게재된 자기소개서편에 대해 선생님들과 학생들의 많은 문의가 있었습니다. 이번호에는 다시 논술로 돌아오려고 합니다. 대상 학교는 성신여자대학교...

  • 학습 길잡이 기타

    고급 통계 유형

    ▨ 서로 다른 해석의 존재, 고급 통계 우리는 지난 연재(342~343호)를 통해 기초적인 도표와 통계문제를 다루었습니다. 여기서는 이제 거기서 하나 더 나아간 '고급통계'를 다루게 됩니다. 굳이 '고급'이라는 단어를 앞에 붙인 이유는 문제의 유형이 다소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문제가 도표는 통계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외연과 내연을 도출해내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즉, 하나의 텍스트에 하나의 내연이 쏘옥- 들어가 있는 형태인 셈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