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파티가 무르익을 때 펀치볼을 치우는 것"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이 길어져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수난을 겪고 있다. 태국에선 총리가 공개적으로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가 하면 미국 의회에서는 중앙은행을 폐지하는 법안이 나왔다. 브라질 중앙은행(BCB) 총재는 여당이 제기한 소송에 휘말렸다. 학계에서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것이야말로 “인플레이션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2024년 6월 21일 자 한국경제신문 -고(高)물가가 이어지고 선거철이 다가오면서 세계 곳곳에서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도전받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현대 국가는 대부분 중앙은행에 정부의 간섭 없이 통화정책의 핵심 운용 수단인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독립적 권한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자본주의 금융시스템의 중심지인 미국에서 중앙은행 폐지 법안이 나올 정도로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도전받고 있습니다. 무슨 이유로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 걸까요.“중앙은행의 역할은 파티가 무르익을 때 펀치볼을 치우는 것이다.” 중앙은행의 역할은 1951년부터 1970년까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을 지낸 윌리엄 마틴의 이 한 문장으로 요약됩니다. 펀치볼은 과일 칵테일인 펀치를 담는 그릇으로, 미국 파티에선 빠지지 않는 단골 메뉴입니다. 펀치볼을 치운다는 것은 중앙은행이 경기가 과열되기 전 금리를 올려 시장의 과열을 막는다는 의미입니다. 경기가 한창 좋은데 그릇을 치우는 것을 좋아할 정부는 많지 않겠지요.중앙은행이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통화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것입니다. 중앙은행은 ‘은행의 은행’이라 불리지요. 통상적으로 중앙은행이 이자율(기준금리
-
경제 기타
5배 뛴 공연 티켓값…암표에 순기능도 있다는데
“모든 아이돌과 젊은 가수들은 나훈아 선생님의 콘서트를 교본 삼아 필수 시청하고 반성해라.”나훈아의 <라스트 콘서트>를 보고 온 한 관람객이 SNS에 올린 글이다. 시니어 팬은 말할 필요도 없고, 30~40대가 봐도 도파민이 폭발한다는 후기가 줄을 잇는다. 인기가 높은 만큼 암표도 기승을 부리는 법. 가장 비싼 R석 티켓이 정가 16만5000원의 다섯 배가 넘는 90만원에 거래됐다고 한다. 슈퍼스타의 공연과 스포츠 빅 매치마다 발생하는 암표. 한국에서 암표 판매는 불법이다. 그런데 암표는 과연 나쁘기만 한 것일까.암표는 사는 사람도 이득민지와 윤아가 있다. 둘 다 나훈아를 좋아한다. 다만 좋아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민지는 나훈아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10만원이 넘는 돈을 내면서까지 콘서트를 보러 가고 싶지는 않다. 반면 윤아는 나훈아 콘서트라면 100만원도 아깝지 않다고 생각한다.장당 10만원에 티켓 예매가 시작됐다. 두 사람 다 ‘피케팅’(피가 튀길 만큼 경쟁적으로 입장권을 구매하려는 행위)에 뛰어들었는데 민지는 성공했고, 윤아는 실패했다. 윤아가 민지에게 이렇게 제안한다. “너 그거 나한테 팔아. 값은 다섯 배로 쳐 줄게.”그래서 민지는 50만원을 받고 윤아한테 티켓을 팔았다. 암표를 거래한 것이다. 10만원짜리 티켓을 50만원에 팔았으니 불공정한 거래일까. 그렇지 않다. 민지는 10만원에 산 티켓을 50만원에 팔았으니 당연히 이득이다. 윤아도 손해를 봤다고 할 수는 없다. 100만원을 내고서라도 가고 싶었던 콘서트 티켓을 50만원에 샀으니 오히려 50만원 이득이라고 할 수 있다. 민지의 암표가 아니었으면 손에 넣을 수도 없던 티켓이다.배추와 암표의 공통점
-
생글기자
환경 개선하는 신기술 '에어로겔' 주목된다
프랑스 패션 브랜드 ‘코페르니’가 파리에서 열린 2024 F/W 컬렉션에서 33g의 초경량 가방 에어 스와이프 백(Air Swipe bag)을 선보여 화제다.이 가방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공기 99%와 유리 1%로 만든 ‘실리카 에어로겔’이란 소재를 썼다. 지구상에서 가장 가벼운 물질로 만들었으니, 가방 또한 세상에서 가장 가볍다고 볼 수 있다. 가방 무게 33g은 A4 용지 약 7장 정도의 무게에 해당한다. 여기에 171g의 휴대폰을 담아도 무방하다고 한다.실리카 에어로겔은 ‘고체 연기’라고 할 정도로 매우 가볍지만, 섭씨 1000℃의 높은 온도에 자체 무게 4000배의 압력까지 견딜 수 있어 초단열재 등급을 받았다. 미국 NASA는 이 소재를 우주탐사 임무에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비슷한 사례로 싱가포르 국립대 연구진이 버려진 페트병을 이용해 에어로겔을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페트-에어로겔은 단열 성능이 뛰어나 소방관의 방화복 소재로 이용 가능하다. 이 밖에 의류 폐기물을 재활용한 코튼-에어로겔은 병원 등에서 출혈 제어장치로 활용되고 있다.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고체인 에어로겔이 페트병이나 폐기물을 이용해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앞으로 우주산업은 물론, 소방·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무궁무진하게 쓰일 가능성이 크다. 이런 친환경 기술들이 빠른 시일 안에 상용화되면 지구 환경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근거 없는 환경 비관주의나 환경 지상주의도 설 땅을 잃을 것이다.이다애 생글기자(성일정보고 3학년)
-
생글기자
청소년 노동권, 제대로 알아야 보장받는다
청소년이 노동할 기회나 근로관계, 임금 등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을 권리를 ‘청소년 노동권’이라 한다. 그런데 이런 청소년 노동권이 일상에서 침해당하는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미작성, 임금 미지급, 심한 욕설과 성희롱 등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그 원인이 무엇이고, 해결 방안은 무엇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먼저 청소년을 위한 일자리와 서비스가 적은 문제가 있다. 지역사회가 주도해 청소년 고용 창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구인하는 입장에선 양질의 노동력을 얻을 수 있고, 청소년은 안정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청소년 취업을 위한 교육이 모자라다는 점이다. 노동권 보호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이 부재해 청소년이 자신의 권리에 무지한 경우가 많다. 노동과 관련해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 노동법의 중요 내용, 직장에서 일하는 자세와 예의 등에 관한 수업이 필요하다. 세 번째는 인식의 개선이다. 청소년을 단순히 공부만 해야 하는 연령대로 생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자신의 경력을 개발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알아줬으면 한다. 청소년 취업의 모범 사례를 적극 소개하는 기사도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그런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예컨대 청소년참여위원회가 청소년의 시선에서 바라본 정책을 정책 제안서에 담는 것도 방법이다.“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는 말처럼 권리는 자신이 잘 알고 주장해야 보장받을 수 있다. 자신들의 권리를 정확히 알고 주장하는 청소년이 되어보자.권나린 생글기자(대구제일여상 2학년)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습관 키우면 삶도 달라져
“자주 불안한가요? 걱정이 많아서 우울한가요? 우울한 마음 때문에 자주 무기력한가요?”<우울한 마음도 습관입니다>의 박상미 작가가 던진 질문이다. 자주 불안하고, 걱정이 많아 우울하고, 자주 무기력했다는 작가는 자신의 체험과 상담을 통해 만난 사람들의 사례에서 깨달은 ‘긍정이라는 기쁨의 여행길에 오르는 법’을 잔잔하게 펼쳐 보인다.‘내 감정을 책임지고 행복한 삶을 사는 법’이라는 부제처럼 되길 바라지만 우울함에 빠져 무기력한 삶을 사는 이들이 많은 세상이다. “당신은 더 행복해져야 할 사람입니다”라고 격려하는 박상미 작가는 심리상담가이자 문화심리학자로 책과 방송을 통해 수많은 사람에게 체험에서 우러난 치유 비법을 전하고 있다.책은 2개 파트로 나뉘어 있다. 1부는 ‘핵심감정, 방어기제, 분노, 무력감, 우울, 불안, 분리불안, 열등감, 공포, 유능감, 고독력, 자비, 감사’라는 감정을 알아차릴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내 안에 어떤 감정이 있는지 들여다보고, 그것을 알아차린 뒤, 긍정 감정을 끌어올리는 것이 최상의 독서법이다.먼저 나의 삶에 지속해서 영향을 미치는 ‘핵심감정’을 아는 게 중요하다. 핵심감정은 내가 깨닫기 전까지, 나의 무의식에서 끊임없이 내 삶에 개입한다. 박상미 작가는 교도소에서 상담할 때 “나를 무시해서, 굴욕감을 느껴서 충동적으로 행동했다”고 말하는 재소자가 많았다고 한다. 이는 어떤 말이나 행동이 트리거(어떤 사건을 유발한 계기)가 되어 그 사람의 핵심감정을 건드렸다는 의미다. 나의 핵심감정을 파악하라의붓아버지에게 “제대로 하는 게 하나도 없다”고 늘 구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달 뒷면 샘플 세계 첫 채취…中 ‘창어 6호’ 귀환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한 중국 우주탐사선 ‘창어(嫦娥, 달의 여신 항아) 6호’가 53일 동안의 임무를 마치고 지난달 25일 지구로 복귀했다. 창어 6호가 가져온 달 뒷면 토양·암석 샘플은 달의 기원과 구조 등을 파악하는 연구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
생글기자
낮은 청소년 행복지수, 생각해볼 문제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65.1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3년 연속 최하위권이다. 실제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학생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건이 심심찮게 일어난다.우리 사회에는 성공만 추구하는 성공 지상주의가 팽배해 있다. 어느 학교를 나왔는지, 누구와 어떤 인맥을 갖고 있는지가 무척이나 중요하다. 한정된 명문대에 들어가기 위해 몇백 배, 몇천 배에 달하는 학생들이 경쟁을 벌인다. 친구들마저 경쟁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명문 학교 입학을 위한 기회가 1년에 단 한 차례만 주어진다는 현실 또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키운다.내가 학교에서 직접 실시해본 설문조사에서 ‘당신이 생각하기에 행복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한 학생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누려야 하지만, 슬프게도 사람들은 방법을 몰라 잘 못 느끼는 감정”이라고 답했다. 행복은 어떤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수치로도 평가하기 어렵다. 행복은 그저 존재하는 것 자체만으로 자신이 가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삶의 동기부여이자 목표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또한 마음 한편에 ‘행복’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이를 누릴 권리가 있다. 한국 사회는 청소년에게 그런 행복을 찾아가는 방법을 알려주고 최고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할 의무가 있다. 학벌 중심의 사회가 아닌,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고, 자신의 가치관에 따른 생활을 하며, 국민 모두가 행복해하는 대한민국 사회를 기대해본다.김도경 생글기자(대원국제중 3학년)
-
역사 기타
분쟁의 역사엔 반드시 호전적 인물이 있었다
인간은 왜 전쟁할까. ‘그 책’을 읽기 전까지는 인간이 전쟁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별 이득도 없는데 그 일을 반복해서 한다면 그건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말 말고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꽤 괜찮은 전쟁 서적인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도 이런 표현이 등장한다. “전쟁이 그다지 싫지 않은 젊은이들.” 체험은 없고 기억은 영광에만 집중된, 전쟁 다음 세대가 팔다리가 떨어져나가는 고통과 어미들의 탄식이 잊힐 무렵 기꺼이 전쟁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분쟁의 역사를 꼼꼼히 들여다보면 공통점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 거기에는 반드시 호전적인 인물이 등장한다는 사실이다.이들은 세상의 질서를 바꾸는 것이 인생의 목표이며 교묘한 선동으로 그가 바꾸려는 질서가 얼마나 이익인지를 ‘희망’이라는 단어로 포장한다. 물론 이들은 옆집 김 씨나 회사 박 부장 같은 범인(凡人)이 아니다. 대부분 정치가와 군인이 직업인 이들은 인간을 지배하는 일에 쾌감을 느끼는 야심가들이다. 그럼 남자만? 야심이 성별을 가려가며 깃들 리 없다. 원폭 실험을 강행한 인도 총리도, 중동전쟁에서 한때 원자폭탄 사용을 결정한 이스라엘 총리도, 포클랜드전쟁을 강행한 영국 총리도 모두 여자였다. 이 야심가들에게는 성별도, 나이도, 국적도 큰 의미가 없다. 이들은 모두 ‘전쟁형 인간’이다. 그리고 이들이 벌인 전쟁은 전부 ‘개인적 의지’가 발휘된 결과였다. 이게 ‘그 책’이 설명하는 인간이 전쟁하는 이유다. 자, 그럼 실전 문제. 한국전쟁은 왜 일어났을까. 간단하다. 김일성의 의지다. 그의 개인적 의지가 3년 1개월 동안 한반도를 피비린내에 잠기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