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증권사, '천수답' 수익 구조 바꿔야 산다
위기의 증권업계 여의도 증권가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지난해부터 실시된 감원, 지점 축소, 감봉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경영여건이 좀체 호전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몇몇 증권사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 7월 4일 한국경제TV ☞국내 증권산업은 주식시장이 외국인 투자자에게 개방된 1992년 이후 양적 측면에서 크게 성장했다. 유가증권시장의 상장기업 수는 1991년 말 686개에서 지난해 말 현재 784개...
-
경제 기타
이슬람 원리 - 세속주의 '뿌리 깊은 갈등'…정권 교체 혼란 악순환
무함마드 무르시 이집트 대통령이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겪으면서 지난 3일 1년 만에 권좌에서 밀려났다. 2011년 아랍 전체를 휩쓴 '아랍의 봄' 사태 이후 이집트는 물론 튀니지, 바레인, 리비아,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북아프리카 국가들은 크고 작은 시위와 내전에 끊임없이 시달리고 있다. 같은 이슬람 문화권인 터키에서도 최근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다. 범이슬람권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위 혹은 내전의 배경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이...
-
경제 기타
"빵을 달라" 글로벌 시위 화두는 민생…SNS 타고 빠르게 번졌다 쉽게 시들기도
인종도 지역도 경제 수준도 다른 국가들에서 적게는 수천명에서 많게는 수백만명이 거리로 나서고 있다. 과거엔 '민주화' 등 거대 담론이 반정부 시위의 주제였지만 최근엔 대중교통요금 인하, 인프라 건설 요구 등 생활 밀착형 이슈가 많다. 한마디로 '민생 문제'를 해결하라는 요구다. ○'중산층의 반란' 브라질에선 상파울루시(市) 정부의 버스요금 인상안에 항의하기 위한 시위가 시작됐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위대는 문제의 본질이 브라질의 부실한 교통 ...
-
경제 기타
메이저대회 3연승… LPGA 새역사 쓴 박인비
중압감을 이겨낸 한마디…"내 선택을 믿자" 박인비(25·KB금융그룹)가 세계 여자골프에서 63년 만에 메이저 대회 3회 연속 우승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세계 여자골프 랭킹 1위 박인비는 미국 뉴욕주 사우샘프턴의 서보낵CC에서 열린 제68회 US여자오픈 마지막 날 2오버파 74타를 쳐 최종합계 8언더파 280타로 정상에 올랐다. 시즌 6승(통산 9승)을 거둬 박세리가 2001년과 2002년에 세운 한국 선수 최대승 기록(5승)도 갈아치웠다. ...
-
경제 기타
속력내는 中 서부대개발…균형개발로 빈부격차 해소
지난달 29일 박근혜 대통령은 중국 베이징에 이어 산시성의 시안(西安)을 방문해 관심을 모았다. 한국 대통령들은 방중 때 전통적으로 상하이를 방문했기에 이번 시안 방문은 의외의 결정으로 받아들여졌다. 왜 하필 시안일까. 답은 서부대개발에 있다. #서부개발 전진기지는'시안' 중국은 2000년 1조1206억위안을 투자하는 서부대개발 계획을 발표해 세계의 관심을 모았다. 서부개발은 중서부의 풍부한 천연자원과 동부연안의 자본을 연계해 대륙의 균형발...
-
경제 기타
<115> 맹자 어머니의 교육열과 잠재 성장률
남편을 여의고 홀로 아들을 키워야 했던 맹자의 어머니는 아들 맹자와 함께 공동묘지 근처에서 기거했다. 그곳에서 놀거리가 마땅치 않았던 맹자는 눈에 보이는 것이 장례를 치르는 것인지라 이를 흉내 내며 시간을 보내곤 했다. 이를 본 맹자의 어머니는 묘지 근처가 자식을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시장 근처로 이사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그곳에서도 맹자는 물건을 사고파는 상인 흉내를 내기 일쑤였고, 그럴수록 어머니의 시름은 깊어만 갔다. 맹자의...
-
경제 기타
"인구과잉은 빈곤·기아 낳을 뿐" 다윈과 로마클럽에 영향
(29) 인구경제학의 창시자 토마스 맬서스 18세기 말 유럽은 감격에 휩싸였다. 산업혁명에 따른 생산 능력 확대 등의 영향으로 인류는 전쟁과 범죄도 없고 빈곤과 기아도 사라진 행복과 번영을 누릴 것이란 희망이 확산됐다. 그러나 그런 기대는 한낱 유토피아적 환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나선 인물이 있었다. 영국 출신의 정치경제학자 토마스 맬서스(Thomas Malthus)였다. 부유한 농장주 아들로 태어난 그는 숙명적인 인구과잉으로 인류의 미...
-
경제 기타
"美 출구전략 시행 따른 위기 발생 막아라"
브라질의 '토빈세' 폐지 브라질 등 주요 신흥국에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급해진 브라질 정부는 지난 4월과 5월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상한 데 이어 지난달 금융거래세(토빈세)까지 철폐하는 등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 7월1일 연합뉴스 ☞ 브라질 정부가 토빈세 부과 대상을 대폭 축소했다. 사실상 폐지나 다름없다. 2009년 10월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토빈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지 3년8개월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