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동성(同性)결혼' 인정해야 하나
동성(同性)간 결혼을 법적 혼인으로 인정해야 할까?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에선 동성혼을 인권의 하나로 인정하는 추세다. 물론 대부분의 나라는 여전히 이성 간 혼인만 인정한다. 우리나라도 그중 하나다. 생글기자 4명이 동성혼 찬반토론을 벌였다. 양측의 입장을 들어보자. 찬성 / “성소수자 권리도 인정해야 하는 시대 왔다” “왜 동성애자가 되었나요?” 동성애의 원인을 묻는 보편적인 표현이다. 이는...
-
경제 기타
중국 증시 폭락에서 배워야 할 점 등
중국 증시 폭락에서 배워야 할 점 지난 6월, 중국 상하이지수가 7.4% 추락한 데 이어 7월에 또다시 8.48% 폭락했다. 8월에도 큰 폭으로 떨어져 중국발 경고음이 연일 터져나오고 있다. 경제는 항상 순환하고, 상승기와 후퇴기를 반복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번 중국 증권시장의 증시폭락은 많은 사람에게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 격이 되었다. 세계 각지의 경제전문가들은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중국 증권시장의 전망을 긍정...
-
경제 기타
정부 개입은 경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자유시장경제냐 정부 개입에 의한 수정자본주의냐의 논쟁은 지금도 계속 진행 중이다. 케인스로 대표되는 정부개입주의는 레이건과 대처로 상징되는 신자유주의에 의해 위축되는가 싶더니 최근에 다시 세계적으로 위력을 떨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는 그 촉발제 역할을 했다. 지금 세계는 어떨까. 미국 자산운용사 스퀘어어드바이저의 매니징 파트너 로메인 햇철(Romain Hatchuel)은 지금 세계적으로 자유시장경제 원칙이 커다란 공격을 받고 있다고 진단한...
-
경제 기타
제3회 전국 고교생 금융경제 경진대회
안산대와 유비온이 주최하는 ‘제3회 전국 고교생 금융경제 경진대회’가 9월5일(토) 오후 2시 안산대에서 열린다. 금융과 경제 시사상식 등에서 총 80문항을 100분 내에 푸는 이 대회는 고교생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비용은 무료이며 개인 및 단체로 신청할 수 있다. 8월27일(목)까지 홈페이지( www.wowpass.com )에서 접수한다. 안산대(031-400-7173, finance@ansan.ac.kr...
-
경제 기타
몸값 뛴 모바일 액세서리
“액세서리가 예뻐 스마트폰을 사기도 한다. 혁신적인 액세서리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액세서리사업을 총괄하는 이영희 무선사업부 부사장의 말이다. 올해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갤럭시S6를 발표한 이 부사장은 행사가 끝나자마자 프랑스 파리로 날아갔다. 파리 패션위크에 참가한 세계적인 패션 언론과 유명 인사들을 대상으로 신제품을 소개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항상 착용하는 옷과 같...
-
경제 기타
해킹에 맥 못추는 IoT "자동차부터 드론까지 무방비 노출"
고속도로를 시속 110㎞로 질주하던 자동차의 계기판이 갑자기 작동을 멈춘다. 당황한 운전자는 브레이크를 밟지만 듣지 않는다. 자동차가 해킹을 당한 것이다. 운전 중인 자동차가 해킹을 당해 사고가 난 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자동차 해킹이 가상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지난달 이탈리아 자동차회사 피아트 크라이슬러는 차량 140만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지프 체로키 차량을 해킹해 운전대와 브레이크를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음을 보안전문가들...
-
경제 기타
법률가가 경제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
재판을 진행하고 최종 판결을 내리는 판사, 국가를 대표해 사건을 조사하고 재판을 청구하는 검사, 법정에서 사건 당사자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하고 옹호하는 변호사. 이런 사람들을 가리켜 우리는 흔히 법률가라고 한다. 법률을 연구하고 이해하여 이를 운용하는 사람을 법률가라고 부르는 것이다. 법률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존경과 선망의 직업이다. 이는 전문지식 없이는 이해하기 힘든 법의 특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또한 올바른 법질서 확립이 국가와 국...
-
경제 기타
무상복지는 미래 재화 끌어다 쓰는 것…무임승차 없애 '복지≠공짜' 확산시켜야
2014년 12월에는 12년 만에 법적 시한을 넘기지 않고 새해 예산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2015년 예산에는 복지예산이 늘어나 전체 예산의 30%를 차지한다. 최근 크게 논란이 됐던 누리과정(3~5세 대상 보육지원 사업)과 기초연금 등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원을 분담하는 복지 관련 국고보조사업 예산도 증액 편성됐다. 그러나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또는 지자체와 지방교육청 간 복지재정 분담에 대한 근본적 갈등구조는 여전히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