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산림녹화와 우리 숲에 숨은 경제적 가치

    우리나라는 숲이 참 많다. 주위를 둘러보았을 때 가까이 혹은 저 멀리 푸른 산을 쉽게 볼 수 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네 번째로 산림비율이 높은, 숲이 많은 나라 중 하나이다. 실제로 국토면적의 약 63.7%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니 고개만 돌리면 산이 보이는 경관이 당연시될 만하다. 그런데 이 울창한 숲을 속속히 들여다보면 우리 눈에 띄지 않는 경제적 가치가 많이 숨어있다. 숲의 경제적 기능이라 하면 목재...

  • 경제 기타

    독립 예술가들의 축제: '제 19회 서울 프린지 페스티벌'

    “프린지는 누구든지 제약 없이 자유롭게 공연할 수 있는 곳이죠.” 2016년 7월22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제19회 서울 프린지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프린지 페스티벌은 1947년 스코틀랜드의 애든버러 국제페스티벌에 초대받지 못한 작은 공연단체들이 시작하였다. 이때 공연들은 독특하고 참신한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데 성공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간이 지날수록 축제에 참가하는 단체는 늘어...

  • 경제 기타

    역지사지로 되돌아봐야 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복지

    최근 일본에서 대항할 수 없는 사회적 약자에 대해 무자비한 폭력으로 많은 장애인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지난 7월26일,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 있는 한 장애인시설에 이 시설에서 직원으로 근무한 적이 있었던 범인이 모두가 잠든 새벽 2시께 침입해 흉기를 휘둘러 19명이 사망하고 26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 전후 최대의 살인 사건을 저지른 용의자는 평소 장애인을 극도로 혐오하며 장애인의 삶의 가치를...

  • 경제 기타

    '한경 생글 NIE 경진대회'10월 개최, 스크랩·경제신문 만들기…좋은 작품 기다립니다

    한국경제신문이 신문을 활용한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한경 생글 NIE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초·중·고·대학생이 신문과 친숙해져 올바른 경제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경제신문·시사경제 스크랩 △경제신문 만들기 △NIE 경제과목 우수 지도안 등 3개 분야로 나눠 치른다. NIE(newspaper in education...

  • 경제 기타

    생글생글에 힘 보태주실 기업·개인 후원 받습니다^^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생글생글이 올해로 열두 살이 됐습니다. 2005년 6월 제1호가 나온 뒤 벌써 이렇게 세월이 흘렀습니다. 생글생글은 ‘청소년들에게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가치를 가르쳐야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다’는 뜻에 따라 탄생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생글생글은 ‘생각하며 글쓰기’의 첫 글자를 땄습니다. 청소년들에게 시장경제 원리를 널리 알린다는 취지로 창간된 생글생글은 전국 중...

  • 경제 기타

    한국경제교육학회하계 학술대회

    한국경제교육학회(회장 한진수 경인교대 교수)는 오는 24일 오후 1~5시 충북 청주 한국교원대 교육관에서 2016년 하계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손정식 한양대 명예교수가 ‘흥미롭고 창의성을 기르는 수업 노하우(수요의 법칙과 공급의 법칙을 중심으로)’ 주제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아시아 금융교육 현황과 과제: 한국, 홍콩, 싱가포르 사례 비교 연구(최윤정 외 3인), 네거티브 금리의 이해(이윤호 순천대 교수), ...

  • 경제 기타

    세계1위 드론업체 중국 'DJI' 한국 진출

    2023년 13조 시장 드론…한국은 규제 중국 최대 드론업체인 DJI는 드론계의 애플이라 불린다. 일반 드론(무인항공기) 기준 전 세계 점유율 70%를 차지한다. DJI가 지난 16일 경기도 용인에 ‘DJI아레나’라는 실내 드론 비행장을 열었다. 국내 첫 실내 드론 비행장이다. 비행장 면적은 1395㎡(400평)에 달한다. 이곳에 조명이 달린 이동식 경주로와 드론이 통과할 고리 형태의 장애물 등을 설치해 다...

  • 경제 기타

    한국 노동시간 OECD 2위…생산성 낮아 실제론 미국 60% 수준

    ◆ 근로시간과 생산성 한국의 근로자 1인당 연간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실질임금은 22위로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15일 OECD의 ‘2016 고용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국내 취업자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은 2113시간으로, OECD 회원국 34개국 평균(1766시간)보다 347시간 많았다. 하루 법정 노동시간 8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한국 취업자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