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48) 자본주의와 도덕

    자본주의가 도덕적이지 않다며 비난하는 사람이 많다. 자본주의가 도덕적이지 않은 이유로는 자본주의가 개인의 이익만을 강조한다는 점을 든다. 자본주의에서는 사람들이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사회적 협동이 일어나지 않고 불평등이 심화되며 사회정의가 실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런 숭고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이익을 배제하고 이타심이 주가 되는 공동체 윤리로 대체할 것을 주장한다. 자본주의가 개인의 이익을 강...

  • 경제 기타

    미술품 대작(代作) 허용해야 할까요

    유명 가수이자 화가인 조영남 씨가 대작(代作) 논란에 휩싸였다. 오랫동안 그의 부탁을 받아 그림을 대신 그려왔다는 A모씨가 검찰에 그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기 때문이다. 그는 조씨의 그림 90%를 자신이 대신 그려줬고 조씨는 덧칠하고 사인을 넣어 자신의 작품으로 발표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조씨는 몇년 전부터 조수 몇 명을 쓴 것은 맞지만 아이디어는 내 머리에서 나온 것이며 조수를 쓰는 건 오래된 미술계 관행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논란을 두고...

  • 경제 기타

    '한국판 양적완화' 찬반 지상토론

    최근 ‘한국판 양적완화’가 이슈다. 미국·일본·유럽국가들처럼 중앙은행(한국은행)이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자는 게 골자다. 하지만 이에 대해선 정치권은 물론 경제전문가들도 찬반이 갈린다. 생글기자들도 각자 견해가 다르다. 생글기자 지상 찬반 토론을 통해 한국판 양적완화의 내용을 정리해두자. 찬 : 위기의 조선·해운업…돈 풀어서라도 살려야 작년 한 해에만 조선 3사...

  • 경제 기타

    SNS 시대에 부상하는 '관심의 경제학' 등

    SNS 시대에 부상하는 '관심의 경제학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인간이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을 때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인터넷, SNS 등 대중매체 등장 후 많은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서 의사결정 모델의 초점이 크게 달라졌다. 정보는 풍부하나, 그 정보를 다룰 시간이 부족한 관계로 모든 정보에 집중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런 변화를 바탕으로 새로이 등장한 것이 바로 ‘관심의 경...

  • 경제 기타

    경제인의 꿈을 키워요…중학생 경제캠프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는 ‘중학생 경제캠프’가 다음주 토요일, 28일(토) 고려대학교 현대자동차경영관에서 개최된다.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한경 중학생 경제캠프는 5월, 10월 연 2회 열린다. 중학생 경제캠프의 특징은 경제 기초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고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경제의 기본 원리와 금융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췄다. 국책연구기관인 KDI의 박정호 연구위원이 ‘...

  • 경제 기타

    중·고교 생글기자를 선발합니다~~^^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 중·고교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제12기 고교 생글기자와 제5기 중학생 생글기자를 선발합니다. 선발 인원은 모두 100명으로 고교 70명, 중학생 30명입니다. 생글기자는 학창시절의 멋진 무대입니다. 훗날 기자를 꿈꾸는 학생이라면 생글기자는 더없이 소중한 경험이자 기회입니다. 설령 기자를 꿈꾸지 않더라도 생각과 글쓰기 실력을 ...

  • 경제 기타

    탄산수 가격이 비싸다고?

    국내 탄산수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제조원가보다 과도하게 비싼 탄산수 가격 거품 논란이 일고 있다. 탄산수의 원재료는 대부분 정제수와 탄산가스로 특별할 것이 없는 데다 영양성분이 거의 함유돼 있지 않아 일반 생수보다 가격이 크게 비쌀 이유가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3년간 네 배 성장한 탄산수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탄산수 시장은 최근 3년간 빠르게 성장했다. 2013년 200억원, 2014년 400억원이던 국내 탄산수 판매액은 800억원...

  • 경제 기타

    정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추진

    ☞ 정부가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공공부문의 생산성을 높이려면 보상(연봉)이 업무 성과와 연계돼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이에 대해 노동계 일각은 반발하고 있다. 성과연봉제가 무엇이고 어떤 효과가 있을지 알아보자. 직원들의 급여를 결정하는 방식에는 크게 △연공서열형과 △성과형이 있다. 연공서열형은 근무연수와 직급에 따라 급여를 결정하는 체계, 즉 일한 기간이 길고 직급이 올라가면 급여도 자동적으로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