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급 스타의 높은 연봉 왜
압도적 실력으로 관중 불러모아
평범한 선수들로는 대체 불가능
유튜브 등 전파…시청자 무한 확대
왜 '스타 미용사'는 없나
많은 사람에게 서비스 제공 한계
한계생산비용 많이 들 수밖에
실력과 보상 정비례하진 않아
올해 미국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에서 MVP를 차지한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몸값은 무려 3억2500만 달러(약 4707억 원)에 이른다. 계약 기간이 12년으로 길지만, 총액 기준으로 메이저리그 투수 역대 최고액이다. 이렇듯 스타들의 몸값은 상상을 초월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축구선수 손흥민의 연봉도 1152만 달러(약 166억 원)으로 한국 프로축구 K리그 선수들의 작년 평균 연봉(3억499만 원)의 50배가 넘는다. 슈퍼스타의 몸값은 왜 그렇게 비쌀까?대체 불가능한 실력자
압도적 실력으로 관중 불러모아
평범한 선수들로는 대체 불가능
유튜브 등 전파…시청자 무한 확대
왜 '스타 미용사'는 없나
많은 사람에게 서비스 제공 한계
한계생산비용 많이 들 수밖에
실력과 보상 정비례하진 않아
첫째는 슈퍼스타의 대체 불가능성이다. 다른 사람이 대신할 수 없을 만큼 압도적인 실력을 갖춘 사람이 슈퍼스타가 된다. 야마모토는 이번 월드시리즈에서 3승을 올렸다. 우승에 필요한 4승 중 3승을 혼자 책임지며 팀을 정상으로 이끌었다. 연봉이 비싸다고 해서 야마모토 대신 다른 선수를 샀다면 LA다저스는 우승에 실패했을지도 모른다. 대체 불가능한 선수라면 비싼 값을 주고라도 잡아야 한다. 야구팬들에게 평범한 투수가 나오는 경기를 두 번 보는 것과 야마모토가 나오는 경기를 한 번 보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야마모토의 경기를 택할 것이다.
둘째로 슈퍼스타가 제공하는 재화나 서비스는 여러 사람이 함께 소비할 수 있어야 하고,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 즉 한계생산비용이 제로(0)에 가까워야 한다. 야마모토의 투구는 경기장은 물론 TV, SNS, 유튜브 등을 통해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다. 그의 경기를 새로운 소비자 한 명에게 더 보여준다고 해서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는 않는다.‘스타 미용사’가 없는 이유슈퍼스타 경제의 두 가지 조건은 이런 현상이 스포츠와 연예계에서 두드러지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스포츠와 연예계에선 대체 불가능한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사람이 종종 등장한다. 또한 운동 경기와 영화, 음악 등은 추가적인 비용 없이 거의 무한대로 전파될 수 있다.
다른 직업과 비교해 보면 이런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미용사는 실력이 아무리 뛰어나도 많은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려면 미용사의 노동과 미용 재료 등을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 한계생산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다.
디지털 혁명은 슈퍼스타 현상을 강화한다. 또한 스포츠와 연예계를 넘어 다른 분야로까지 슈퍼스타 현상을 확산하고 있다. 인터넷 강의가 등장하면서 유명 강사는 더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게 됐다. 옛날엔 물리적 거리 때문에라도 학생들이 가까운 학원에 다녔지만 이제는 동네 학원을 놔두고 유명 강사의 인터넷 강의를 듣는다. 이 덕분에 슈퍼스타급 강사가 탄생한다. 플랫폼 산업을 중심으로 1등 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높아지고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천문학적인 연봉을 받는 것도 슈퍼스타 현상으로 볼 수 있다.슈퍼스타의 실력과 운슈퍼스타 현상은 일견 불공정해 보이기도 한다. 실력과 보상이 꼭 정비례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프로골프대회에선 불과 한 타 차이로 승부가 갈려도 우승 상금이 준우승 상금보다 서너 배씩 많다. 그러나 프로의 세계에선 작은 차이를 무시할 수 없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했던 이영표는 저서 <생각이 내가 된다>에서 “똑같이 90분을 뛰는 선수들의 연봉이 엄청나게 차이 나는 것에 대해 불공평하다고 생각했지만, 승부의 세계에선 0.1% 차이가 하늘과 땅 차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며 특급 선수들이 높은 연봉을 받는 이유를 설명했다.
‘먹튀’ 비판도 있다. 고연봉을 받자마자 경기력이 급락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스타 반열에 일단 오르면 더 잘해야 할 인센티브는 반감한다. 자유계약(FA) 선수가 되기 직전까지 잘했던 선수가 계약 후 잘하지 못하는 사례는 많다. 또 슈퍼스타를 많이 영입한 팀이 늘 우승하지는 않는다. 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스가 대표적인 사례다. 승자독식의 슈퍼스타 경제가 낳는 양극화와 불평등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NIE 포인트
2. 한계생산비용의 개념을 설명해보자.
3. 실력과 보상이 정비례하지 않는 사례를 찾아보자.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신용 좋은 사람일수록 대출금리가 싼 이유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924.3.jpg)
![[경제학 원론 산책] 선진국은 자본시장, 신흥국은 은행의 역할 크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907.3.jpg)
![[경제야 놀자] 응급실 뺑뺑이…문제는 '의료시장 가격상한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9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