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이는 물류 전문 업체가 물건을 판매하려는 업체들의 위탁을 받아 보관, 포장, 배송, 재고관리, 교환·환불 서비스 등의 모든 과정을 담당하는 물류 일괄 대행 서비스를 의미한다. 대표적 기업으로는 미국의 아마존, 한국의 쿠팡 등이 있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① 서플라이체인
② 이커머스
③ 마이스
④ 팬더스트리
⑤ 풀필먼트
[해설] 풀필먼트는 물류 전문 업체가 판매자를 대신해 상품이 물류 창고를 거쳐 고객에게 배달이 완료되기까지 보관, 포장, 배송하는 전 과정을 일괄 처리하는 물류 일괄 대행 서비스다. 물류 아웃소싱의 일종으로, 이커머스 기업의 물류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대표적 기업으로는 미국의 아마존, 한국의 쿠팡 등이 있다. 마이스는 기업 회의(Meeting), 포상 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 전시 박람회와 이벤트(Exhibition) 등의 영문 앞 글자를 딴 용어다. 좁은 의미로는 국제회의와 전시회를 주축으로 한 산업을 뜻하며, 넓은 의미로는 참여자 간 교류를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보상 관광, 메가이벤트 등 융·복합 산업을 포함한다. 정답 ⑤
[문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다고 하자. 이때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① 기업의 투자가 증가한다.
②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 민간의 소비가 증가한다.
③ 해외자본이 유출돼 국내 통화의 가치가 상승한다.
④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상승해 수출이 감소한다.
⑤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상승한다.
[해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은행은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해 대출금리를 올린다.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이나 가계는 자금 조달 비용이 커져 자금 수요를 줄인다. 이에 따라 민간의 소비와 투자 등이 감소하며, 부동산 가격에도 하락 압력이 가해진다. 한국의 금리가 외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외국인투자자는 더 높은 이자 수익을 얻기 위해 한국에 투자하려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해외자본이 국내로 유입돼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하락(원화 가치 상승)한다. 환율이 하락하면 국내에서 생산한 제품의 수출 가격경쟁력이 낮아져 수출이 감소할 수 있다. 정답 ⑤
[문제] 물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이 다른 것은?
① 순수출 증가
② 소득세 인하
③ 국제유가 상승
④ 생산기술의 발달
⑤ 정부의 재정지출 증가
[해설] 총수요(AD)와 총공급(AS) 이론은 한 나라의 물가(P)와 국내총생산(Y)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분석하는 이론이다. 시장의 수요·공급곡선과 마찬가지로 총수요곡선은 각 물가수준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이 구입하려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총공급곡선은 각 물가수준에서 기업이 판매하고자 하는 산출량을 보여준다. 어떤 요인들에 의해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이 이동하면 물가수준이 변한다. 소득세 인하, 순수출 증가, 정부의 재정지출 증가 등은 총수요가 증가하는 요인이다. 총수요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해 물가가 상승한다. 국제유가가 오르면 기업의 생산비용 부담이 커져 총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해 물가가 상승한다. 반대로 생산기술의 발달에 따른 생산성 향상은 총공급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물가가 하락한다. 정답 ④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https://img.hankyung.com/photo/202503/01.3996990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