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학·대기업계약 신입생 여학생 비율
전통적 남초 학과로 꼽히던 의대에서 남녀 비중에 변화가 감지된다. 의대 신입생 중 여학생 비중은 최근 5년간 꾸준하게 증가하며 올해 38.4%까지 상승했다. 약대 여학생 비중은 58.1%에 달한다. 의약학 전반에서 여학생들의 활약은 점점 더 도드라지는 모양새다. 반면 첨단 및 반도체 등 대기업 계약학과에선 여전히 남학생 비중이 압도적이다. 최상위권 대표 학과인 의약학 및 대기업 계약학과 신입생 남녀 비중을 분석해본다.
상승세는 지방권 의대에서 뚜렷하다. 서울권은 2021학년도 38.3%에서 2025학년도 38.4%로 0.1%포인트 상승에 그쳤지만, 지방권 의대는 같은 기간 33.0%에서 39.8%로 6.8%포인트 상승하며 전체 상승을 이끌었다. 여학생 비중이 40.0%를 넘긴 대학 수는 이화여대를 포함해 2021학년도 5개교에서 2025학년도 16개교까지 크게 늘어났다. 5대 의대 중 한 곳으로 꼽히는 울산대의 경우 여학생 비중이 2024학년도 60.0%, 2025학년도 50.0%로 남녀 입학 비중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의대 대학별로는 경상국립대가 27.6%에서 44.9%로 17.3%포인트가 늘면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다음으로 계명대 16.9%P(28.9% → 45.8%), 강원대 16.5%P(28.6% → 45.1%), 대구가톨릭대 16.3%P(25.0% → 41.3%), 연세대(미래) 16.2%P(25.8% → 42.0%), 울산대 15.9%P(34.1% → 50.0%) 순으로 여학생 비중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지방권에서 여학생 강세는 지역인재 확대와 내신 영향력 강화 등이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방권 의대 지역인재 비중은 2022학년도까진 30% 수준을 유지하다 2023학년도 40%, 2025학년도 60%까지 확대됐다. 같은 기간 수시 학생부 전형에선 자기소개서 폐지, 비교과 비중 축소 등의 변화로 내신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여학생 강세가 나타났다는 해석이다. 여학생들이 꼼꼼한 성격 덕분에 내신 관리에선 더 앞서 있다는 고교 교사들의 전언과 현장 분위기를 고려해보면 꽤나 수긍되는 해석이라고 볼 수 있다.
동시에 의대 정원 확대와 의대 열풍 상황에서 여학생 사이 전문직으로 의약학 계열에 대한 선호도 자체가 높아진 것 또한 주요한 배경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학생 증가는 의대뿐 아니라 약대, 수의대, 한의대, 치대까지 의약학 계열 전반에서 관찰된다. 약대 여학생 비중은 학부 선발로 전환한 2022학년도 54.9%에서 올해 58.1%까지 상승했고, 수의대는 2021학년도 42.5%에서 올해 50.4%까지 늘어났다. 치대는 같은 기간 33.0%에서 38.1%로 상승했다. 다만, 한의대는 같은 기간 43.5%에서 43.6%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근 의약학과 함께 최상위권 학과로 급부상한 첨단 및 반도체 등 대기업 계약학과는 어떨까.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등 첨단 및 대기업 계약학과 13개 대학, 17개 학과의 신입생 남녀 비중을 분석해보면 의약학과는 반대 상황이다. 여학생 비중은 2023학년도 13.3%에서 2024학년도 17.7%로 늘었다가 올해 15.8%로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확인된다. 최근 3년 모두 남학생 비중이 80%를 넘기면서 남학생 비중이 압도적이다. 대기업 취업 보장 등 파격적 혜택에도 여학생 사이 선호도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차이는 학생부 반영 방법 차이에 따른 결과라는 해석이 힘을 얻는다. 첨단 및 반도체 등 대기업 계약학과는 대부분 핵심 및 권장 과목으로 과학 과목 중 물리학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핵심 및 권장 과목은 해당 모집 단위에서 수험생에게 고교 재학 중 학교 수업을 통해 이수하기를 권하는 과목이다. 수시 학생부종합은 물론 정시 교과평가 등 학생부 정성평가가 반영되는 전형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자리매김했다. 첨단 및 대기업 계약학과를 목표한다면 학교에서 물리학 등을 이수하는 것이 아무래도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여학생들의 물리학 기피는 심각한 수준이다. 2025학년도 수능에서 여학생들의 물리학Ⅰ 응시 비중은 21.6%, 물리학Ⅱ 응시 비중은 18.0%에 불과했다. 여학생들의 물리학 기피는 수능뿐 아니라 학교 수업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의대 등에서 핵심 및 권장 과목으로 많이 지정하는 생명과학은 수능에서 여학생 응시 비중이 50% 내외로 남녀 차이가 크지 않다. 의대의 경우 여학생 입장에서 학교 수업 선택이 더 수월한 셈이다. 현 고1부터 전면 적용된 고교학점제하에서도 이 같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상위권 대학 상당수는 2028학년도 대입에서도 첨단 및 대기업 계약학과에서 여전히 물리학 등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다.
![[2026학년도 대입 전략] 의대 298~292점·치대 295~292점 목표해 볼 만…SKY 인문 293~283점, 자연 294~288점 지원 가능](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51.3.jpg)
![[2026학년도 대입 전략] 인문-자유전공, 자연-반도체·AI학과 인기몰이, 전자·전기 약세…빅데이터 영향 통계학과 상승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934.3.jpg)
![[2027학년도 대입 전략] 2027 수능 사탐 응시 80%대로 사상 최대 전망…고2 사탐런 이미 진행 중…내년 대입 최대 변수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438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