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아래 지문에 나온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와 성격이 다른 기관을 고르면?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tandard & Poor’s, S&P)는 A국의 신용등급을 ‘BB-’에서 ‘B+’로 한 계단 내렸다고 발표했다. A국의 국채는 이미 투기 등급이지만 한 계단 더 아래로 끌어내린 것이다. S&P는 “A국 화폐가치 급락이 A국 대외 부채를 확대하고 민간 기업에 대한 압력을 키워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등급 강등 이유를 밝혔다.
① 피치 ② 무디스 ③ NICE신용평가
④ 골드만삭스 ⑤ 한국기업평가
[해설] 신용평가는 증권이나 채권을 발행하는 국가·기업·금융기관 등의 재무 상황, 경제적 여건 등 정치·경제적 요소를 고려해 발행 주체의 신인도를 등급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신용평가는 투자자와 금융상품 발행 주체 간 정보 비대칭을 완화해준다. 이때 신용평가를 수행하는 기관을 ‘신용평가사’라고 한다. S&P는 대표적인 세계 3대 신용평가사다. 무디스(Moody’s), 피치(Fitch), NICE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등도 신용평가사에 속한다. 정답 ④
[문제] 더 좋은 일자리를 찾아 직장을 떠나는 근로자가 늘어나고 있다. 해당하는 실업의 유형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발적 실업에 해당한다.
② 산업구조의 변화로 발생하는 실업이다.
③ 해당 실업의 존재로 노동시장에서 실업률이 0이 될 수 없다.
④ 실업급여 지급 조건 완화와 지급 기간 확대는 이 실업을 증가시킬 수 있다.
⑤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의 정보 비대칭이 해당 실업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다.
[해설] 마찰적 실업은 근로자가 새로운 직장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 정보 비대칭 때문에 아직 새 직장을 찾지 못할 때 발생하는 실업이다. 지역적으로 근로자가 일자리를 바꾸는 등 경제활동을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이 일시적으로 불균형 상태인 정상적이고 회피 불가능한 실업이다. 자발적·탐색적 실업이라고도 한다. 완전고용 상태의 자연 실업률 상태이더라도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 때문에 실업률이 0이 될 순 없다. 실업급여 지급 조건이 완화되고 지급 기간이 늘어나면, 근로자가 새로운 직장을 찾는 시간을 더 가지므로 마찰적 실업이 증가할 수 있다. 정답 ②
[문제] 화폐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폐 때문에 물가가 불안해지기도 한다.
② 화폐로 가치를 저장하는 것이 편리해졌다.
③ 화폐 공급을 늘리면 단기적으로 실업률을 낮출 수도 있다.
④ 화폐로 상품의 가치를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이 편리해졌다.
⑤ 화폐 공급을 늘리면 물가상승 없는 경제성장이 가능하다.
[해설] 화폐는 지불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자산을 지칭한다. 화폐를 사용하면 재화와 서비스의 교환가치는 화폐로 표시된다. 화폐를 사용하면 모든 상품의 가격을 동일한 화폐 단위로 표시할 수 있어 거래비용이 줄고 교역이 늘어난다. 화폐를 저장하는 것은 그만큼의 교환가치 또는 부를 저장하는 것으로 가치저장 수단의 기능도 있다. 화폐 공급을 늘리면 실업률이 하락하고 물가는 상승하는데, 이를 단기 필립스 곡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중앙은행이 화폐 공급을 급격히 늘리면 물가도 급격히 상승한다. 정답 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https://img.hankyung.com/photo/202503/01.3996990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