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해나 <혼모노>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재미난 소설 일곱 편이 만든 '생각의 블랙홀'](https://img.hankyung.com/photo/202509/AA.41691985.1.jpg)
소설집 <혼모노>는 종합 베스트셀러 최상위권에 진입해 독자의 마음을 파고드는 중이다. 올해 3월에 출간해 단 3개월 만에 10쇄를 돌파했다. <혼모노>에는 7편의 단편소설이 실려 있는데, 띠지에 인쇄된 배우 박정민의 “넷플릭스 왜 보냐, 성해나 책 보면 되는데”라는 말처럼 정말 재미있다.
혼모노(진짜)와 니세모노(가짜)를 논하는 표제작 ‘혼모노’에는 흥미로운 인물들이 등장한다. 30년간 점을 치고 굿을 해온 문수의 앞집에 스무 살 정도 된 신애기가 이사 온다. 그간 이곳으로 이사 온 무당들이 대부분 몇 달 못 버티고 떠난 음침한 골목인지라 문수는 신애기도 곧 떠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런데 신애기가 문수에게 “신빨이 다했다더니 진짠가 보네. 할멈이 나한테 온 줄도 모르고”라며 조소하더니 살기 어린 눈으로 “하기야 존나 흉내만 내는 놈이 뭘 알겠냐만”이라는 독설을 날린다.진짜와 가짜, 혼모노와 니세모노‘혼모노’ 속에서는 진짜와 가짜가 계속 교차한다. 바나나 우유와 바나나 맛 우유, 보이차 판별법 등도 양념처럼 등장한다. 진짜 따져봐야 할 혼모노와 니세모노는 무당이 모신다는 신과 무당의 구도가 아닐까. 치성을 드리면 신이 무당을 조종해 점사를 보고 굿을 할 수 있게 한다는데, 둘 가운데 대체 누가 혼모노고, 누가 니세모노일까.
문수가 평생을 바쳐 정성껏 모신 장수할멈이 앞집 신애기한테로 옮겨가면서 문수는 아무것도 못 하는 허수아비가 되고 만다. 선거를 앞둔 정치꾼 황보가 문수를 버리고 앞집 신애기를 찾으면서 이야기는 절정으로 치닫는다.
평생 모신 장수할멈과 신애기 앞에서 문수는 오로지 자기 자신으로 맞설 결심을 한다. 굿판에 뛰어들어 “누구에게도 의탁하지 않고 도움을 구하지 않고” 작두 위에서 한발 한발 조심스럽게 발을 떼자 뜨겁고 끈적한 피가 흘러넘친다. 장수할멈의 도움으로 가뿐하게 작두를 타던 신애기가 그 모습에 아연실색하며 나가떨어진다. 그렇다면 과연 누가 진짜고, 누가 가짜인가. “존나 흉내만 내는 놈”들은 알 수 없다. 내가 흉내만 내는지, 진짜 나로 살고 있는지 한 번쯤 생각해볼 만한 주제다.무엇이 인간을 위한 공간인가‘구의 집: 갈월동 98번지’는 심도 깊은 작품이다. 굴곡 많은 현대사에서 결정을 강요당하며 살아온 기성세대를 잘 그려내 큰 울림을 안긴다.
여재화 교수는 선배 Y가 국책을 비판하다 타국으로 추방당할 때 국가산업훈장을 받으며 승승장구한다. 그러던 중 내무부장관으로부터 갈월동 부지 설계를 3개월 내에 마무리하라는 미션을 받는다. 대통령 사저 개축까지 동시에 해야 한다. 그래서 건축학부에서 “재능은 있는데 야망은 없는, 주무르기 쉬운” 구보승을 조교로 삼는다. 여재화는 설계할 건물에 대해 솔직하게 말한다. “고문받을 이들이 넘쳐나는 바람에 증설한 시설이자 취조를 해도 실토하지 않는 이들이 최후로 방문하는 밀실을 설계한다”는 사실을. 여재화가 손 떼고 싶으면 지금이라도 말하라고 하자 구보승은 수련원이든 고문실이든 “인간을 위한 공간”이니까 함께하겠다고 말한다.
갈등하는 여재화에게 구보승이 서슴없이 내뱉는 말들이 섬뜩하다.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이라는 스승의 말에 구보승은 “빛이 인간에게 희망뿐 아니라 두려움과 무력감을 안길 수도 있다”며 단 10분만 빛이 들어오도록 치밀하게 설계한다.
결코 인간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고 생각한 여재화는 완공된 건물의 설계자에 구보승을 박제한다. 나중에 자신의 이름을 발견한 구보승은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갈등하면서도 출세를 위해 설계를 선택한 교수, 교수의 가르침을 음미하며 인간을 위한 공간을 설계했다고 믿는 제자, 그들을 보며 무슨 생각을 할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