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스 솔라노 <한국에 삽니다>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서울을 다녀간 해외 유튜버들이 “깨끗하다. 질서를 잘 지킨다. 안전하다. 음식이 맛있다”고 칭찬하면서 “고대와 현대가 잘 어우러진 점, 도심에서 바로 산에 오를 수 있는 점, 깨끗하고 편리한 지하철, 빠른 통신”에 놀라움을 표한다.

사계절을 지낸 외국인은 어떻게 생각할까. <한국에 삽니다>를 쓴 안드레스 솔라노는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태어난 작가로, 영국 문학잡지 ‘그랜타’가 2010년 ‘스페인어권 최고의 젊은 작가 22인’ 중 1명으로 선정한 인물이다.

콜롬비아는 한국전쟁 때 남미에서 유일하게 군인을 파병한 나라다. 안드레스는 2007년 첫 장편소설 <나를 구해줘, 조 루이스>를 발표한 이후 한국전쟁 콜롬비아 참전용사를 다룬 <네온사인 공동묘지>를 펴낸 바 있다.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사계절 속 서울…이방인이 포착한 우리의 삶
<한국에 삽니다>는 콜롬비아에서 먼저 발간되어 2016년 ‘콜롬비아 도서관 소설문학상’을 받았다. 한국에서는 안드레스의 아내인 이수정 씨가 번역해 2018년 출간됐다. ‘서울 이태원 4계절 체험기’부터 책과 영화, 작가와 작품에 대한 평, 세계 여행 기록, 콜롬비아에서의 삶까지 광범위하게 담겨 있다. “버스는 오전 일곱 시에 부산 터미널을 출발했다. 흰 벽에 붓을 칠하듯 경부고속도로를 활주했다”로 시작하는 첫 문장부터 문학적 향취를 듬뿍 풍기는 책이다. 이태원에서 사계절 보내기서울 이태원에 도착한 30대 중반의 안드레스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집 앞에 짐을 내려놓고 부동산 중개소로 열쇠를 가지러 간 것이다. “보고타였다면 광장의 비둘기가 떼로 몰려와 한 줌의 쌀알들을 먹어 치우는 사이에 이미 가방은 없어졌을 것이다”라고 감탄한다.

서울에 살면서 안드레스는 “남자들이 발목 양말을 엄청 많이 신는다, 남자 회사원들에게 매일의 면도는 불문율이다, 아이들이 혼자 걸어서 하교한다, 지하철의 고요가 교회의 고요 같다, 길에 쓰레기통이 거의 없는데도 비교적 깨끗하다” 같은 점을 신기하게 느낀다.

‘40대 이상 남성의 국민 스포츠는 길바닥에 침 뱉기’ ‘20대 커플이 카페에 프린터를 갖고 와서 탁자에 놓고 콘센트를 연결하는 것’이 그의 눈에 좋지 않게 보였다.

중국집에서 그릇을 수거해 가는 일을 ‘한국이 세계에 물려줄 최고의 발명’으로 꼽았으나, 요즘 일회용 용기가 쏟아져 나오는 걸 보면 뭐라고 할까. 배우나 가수가 대마초 한 대를 피운 죄로 감옥에 간다는 사실에 놀라며 마약이 “음악과 문학과 영화의 소재가 되는 그 세계가 한국에선 명함도 못 내민다”고 기술했다. 10년 전과 달리 마약 청정국 지위를 상실한 현재의 상황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안드레스는 버스에서 검은 연기가 나는데도 승객들이 교통카드를 찍으며 차례로 내리는 장면을 가장 놀란 일로 꼽았다. 다른 나라였다면 소리 지르고 창문으로 내렸을 거라면서.

한국에서 강의나 방송 출연 같은 부정기적인 일을 하며 해외에 글을 기고했던 안드레스는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의 교수로 재직하게 됐다. 그 과정에서 휴대전화를 갖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자기 명함’이라는 걸 깨달았다. 성공 집착 가득한 서울북한에서 미사일을 쏘거나 과도한 협박을 할 때 해외 친구들이 “방독면은 샀는지, 일본에 피난할 곳이 있는지”를 묻는 안부 문자가 쏟아진다고 해 씁쓸함이 몰려왔다.

“하이힐에 큼지막한 명품 가방을 든, 과도하게 여성스러운 한국 여자” “남성들이 눈썹을 정리하고 여드름 자국을 숨기며 스킨 토너에 돈을 쓴다. 많은 남자가 머리를 염색한다. 백발은 거의 없다” “특별할 것도 없는 화요일 밤 10시에 한 점 부끄러움도 없이 길에서 갈지자로 흐느적대는 한국 회사원”이라는 문장에서 한국의 풍속도가 드러난다.

김치찌개에 중독된 그는 이제 양반다리로 15분 이상 앉아 있어도 쥐가 나지 않고 면을 먹을 때 후루룩 소리를 낸다. 아내와 가끔 다투기도 하는데, 아이를 낳으면 “보고타의 빈부격차와 대혼란 가운데서 키울 것인지, 아니면 외모·계급·경제적 성공에 대한 역겨운 집착을 보내는 서울에서 키울 것인지”도 사안에 들어 있다.

이근미 작가
이근미 작가
안드레스는 보고타를 “너무도 인색하고 알량하며, 절망과 마약으로 가득 찬 도시. 사람들의 영혼을 파먹는, 감초처럼 시커먼 강물이 지하에서 흐르는 도시. 폭력은 바로 눈앞에 있다”라고 묘사했다. 우리는 서울을 어떻게 소개할 것인가. 인문적이고 자기 계발적이며 문학적 이야기가 풍성하게 담긴 <한국에 삽니다>를 읽으며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