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아래 내용들을 설명할 수 있는 알맞은 개념은?
 친구 따라 강남 간다.
 남들이 구매하는 제품은 나도 구매해야 한다.

① 피구 효과
② 피터팬 증후군
③ 밴드왜건 효과
④ 레버리지 효과
⑤ 스톡홀름 증후군

[해설] 위의 내용은 밴드왜건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밴드왜건은 행렬을 선도하는 악대차로, 악대차가 연주하며 지나가면 사람들이 모여든다. 이때 몰려가는 사람을 본 이들은 무언가 있다고 생각하며 뒤따라가면서 군중이 불어나는 현상을 비유한다. 미국의 경제학자 하비 라이벤스타인이 1950년에 제시한 소비자 행동 효과 중 하나로, 특정 상품에 대한 어떤 사람의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 현상이다. ‘소비자 편승 효과’라고도 부른다. 특정 상품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 희소성이 떨어져 차별화를 위해 다른 상품을 구매하려는 현상인 스놉 효과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레버리지 효과란 자기자본 외에 타인자본(차입금 등)을 활용해 투자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것이다. 정답 ③

[문제] 다양한 실업의 종류와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경기적 실업은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② 경기침체로 발생한 실업이 심각해지면 소비도 감소한다.
③ 구조적 실업은 노동조합, 최저임금제 등도 대표적 원인이다.
④ 마찰적 실업은 장기간 지속하는 실업이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⑤ 정부가 일자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마찰적 실업을 줄일 수 있다.

[해설] 근로자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직장을 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업을 ‘마찰적(탐색적) 실업’이라고 한다. 이는 정보 비대칭, 직업 적합성, 구직 과정에서의 시간 소요 등으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단기적 성격의 실업에 해당한다. 반면 경기적 실업은 경기변동과 관련 있어 경기가 침체하면 실업자가 늘어나고, 가계의 소득과 소비가 줄어들면서 전체 수요가 감소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구조적 실업은 산업구조 변화와 기술발전, 그리고 노동조합이나 최저임금제 같은 노동시장 제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장기적 성격의 실업이다. 정부가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면 마찰적 실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정답 ④

[문제] 가격차별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독점시장에서 주로 나타난다.
② 전기, 수도 등 공공서비스 요금에도 적용할 수 있다.
③ 같은 상품에 대해 구입자에 따라 다른 가격을 받는 행위를 말한다.
④ 영화관의 조조할인, 대중교통의 청소년·노인 가격 할인 등이 해당한다.
⑤ 소비자의 구입량에 따라 단위당 가격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은 1급 가격차별이다.

[해설] 가격차별이란 같은 상품에 대해 구입자에 따라 다른 가격을 받는 행위를 말한다. 가격차별은 독점시장에서 주로 나타난다. 영화관에 아침 일찍 가면 같은 영화를 보더라도 더 저렴하게 볼 수 있다. 이는 영화 티켓에 대해 낮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소비자 집단을 아침 일찍 오도록 해 저렴한 가격을 받는 3급 가격차별이다. 대중교통에서 청소년이나 노인에게 적용되는 요금 할인도 소비자의 집단 특성에 따라 가격을 달리 책정한 3급 가격차별이다. 소비자의 구입량에 따라 단위당 가격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은 2급 가격차별이다. 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