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아래 나열한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알맞은 주식 용어는?

● 1주당 가격이 100만원이던 주식을 1주당 만원으로 분할했다.

● 1주당 가격이 낮아져서 소액 투자자도 살 수있게 되었다.

● 기존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가 가진 전체 주식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① 자사주 ② 액면분할 ③ 그린메일
④ 공매도 ⑤ 황금낙하산

[해설] 액면분할은 한 주를 여러 개의 소액 주식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5000원짜리 주식 1주를 500원짜리 10주로 나누거나 100원짜리 50주로 나누는 경우다. 주가가 너무 높으면 개인들이 쉽게 매매하기 어렵다. 그래서 해당 기업은 주식을 적정 가격으로 나눠 주식 거래를 활발하게 하고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액면분할을 실시한다. 공매도란 가격 하락을 예상해 주식이나 채권을 빌려 매도하는 투자 기법이다. 황금낙하산이란 인수 대상 기업의 임원이 인수합병으로 임기 전 사임할 경우를 대비해 거액의 퇴직금, 스톡옵션, 보너스 등을 받을 권리를 사전에 고용계약에 기재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해당 기업의 인수 비용을 높이는 경영권 방어 수단이다. 정답 ②

[문제]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플레이션은 채무자의 실질 부담을 낮춘다.
② 고정 금액으로 연금을 수령하는 사람의 실질 연금소득이 감소한다.
③ 화폐보다는 금,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의 선호가 이전보다 높아진다.
④ 명목이자율이 일정할 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실질이자율은 상승한다.
⑤ 인플레이션이 급격히 상승하면 저축의 실질 가치가 줄어 저축이 감소한다.

[해설]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제주체에 다양한 영향이 나타난다. 채무자는 빌린 돈을 갚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에 따른 화폐 가치 하락으로 실질 부담이 줄어든다. 명목이자율이 일정할 때 인플레이션의 발생은 실질이자율(명목이자율-인플레이션율)을 낮춘다. 또한 고정 금액으로 연금을 받는 사람들의 실질 연금소득도 화폐가치 하락으로 감소한다. 인플레이션으로 화폐의 구매력이 떨어지면 금,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 선호가 높아지고, 급격한 인플레이션은 저축의 실질 가치를 줄여 저축이 감소하게 된다. 정답 ④

[문제] A국 중앙은행은 막대한 부채와 통화량 증가에 따른 화폐가치 하락으로 화폐 기능을 상실한 자국 화폐의 액면가를 낮췄다. 이는 10000원을 10원이나 1원 등의 낮은 단위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① 리세션 ② 로스컷 ③ 윈도드레싱
④ 하이퍼인플레이션 ⑤ 리디노미네이션

[해설] 리디노미네이션이란 화폐의 액면가를 동일한 비율의 낮은 숫자로 변경하는 조치를 뜻한다. 리디노미네이션은 주로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단위가 지나치게 커져 거래나 회계 처리에 불편이 발생할 때 시행한다. 이론적으로는 소득이나 물가 등 경제의 실질 변수에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국민의 체감지수 변화로 인해 실제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 통화의 신뢰도와 대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리디노미네이션을 시행한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이 통제를 벗어난 상태로, 수백~수천 퍼센트 이상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하는 상황이다. 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