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2026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전략
만일 1, 2, 3, … 과 같이 나열된 항의 k번째 항이 무엇인지를 묻는다면 누구나 쉽게 k라고 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n, n-1, n-2, … 와 같이 거꾸로 나열된 항의 k번째 항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약간의 논리적 추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순서를 세는 것, 즉 카운팅은 수리적 추론의 시작이다. 이러한 훈련이 잘되어 있을 경우 수리논술에서 수열, 순열, 조합 등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이들 단원에서 출제되는 문항은 간단한 기초 문항부터 매우 복잡한 문항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출제될 수 있으므로 이를 잘 연습해볼 필요가 있다.
2026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전략
![[수리논술 강의노트] 순서를 세는 것, 논리적 추론의 시작](https://img.hankyung.com/photo/202508/AA.41408097.1.jpg)
![[수리논술 강의노트] 순서를 세는 것, 논리적 추론의 시작](https://img.hankyung.com/photo/202508/AA.41408098.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