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가)와 (나)의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경제용어를 순서대로 알맞게 짝지으면?(가) 농산물 가격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가뭄으로 주요 농산물 가격이 급등세다. 농산물에서 시작된 물가상승이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나) 낙후된 구도심에 특색 있는 풍경을 만들었던 독립 상점과 문화 시설들이 치솟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그 지역을 떠나게 되었다. 그 자리를 프랜차이즈 상점들이 차지하고 있다.
① 애그플레이션 - 카니벌라이제이션
② 애그플레이션 - 젠트리피케이션
③ 스태그플레이션 - 카니벌라이제이션
④ 스태그플레이션 - 젠트리피케이션
⑤ 하이퍼인플레이션 - 글로컬라이제이션
[해설] (가)는 애그플레이션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애그플레이션은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용어다. 농산물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상승으로 이어지는 현상이다. (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낙후한 구도심이 개발돼 상권이 활성화하면서 원래 거주하던 주민이나 자영업자들이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다른 지역으로 내몰리는 현상이다. 카니벌라이제이션이란 새로 내놓는 제품이 기존 자사 주력 상품의 고객을 빼앗아가는 현상을 뜻한다. 정답 ②
[문제] 공동 목초지처럼 소유권이 분명하지 않은 공유자원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① 쿠즈네츠 곡선
② 투키디데스 함정
③ 스미스 역설
④ 피터팬 증후군
⑤ 공유지의 비극
[해설] 공유자원은 경합성과 비배제성을 지닌 자원이다. 그래서 공유자원은 소유권이 설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돼 고갈되는 ‘공유지의 비극’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공동으로 사용하는 목초지는 그곳에서 양이나 소를 키우는 사람이 자기 가축에게 풀을 마구잡이로 뜯어먹도록 해 폐허로 변할 우려가 크다. 어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어장이 물고기 남획으로 황폐해지는 사례도 공유지의 비극이다. 공유지의 비극은 소유권을 명확히 설정하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피터팬 증후군은 중소기업이 다양한 세금 감면이나 보조금 등의 혜택 때문에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하기를 포기하는 현상이다. 투키디데스 함정은 새로 부상하는 세력이 지배 세력의 자리를 빼앗으려고 할 때 극심한 구조적 긴장이 나타나는 상황이다. 정답 ⑤
[문제] 경기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지출 500억원이 증가했다. 한계소비성향이 3분의 2라고 할 때, 총수요 증가분으로 옳은 것은?
① 1200억원
② 1500억원
③ 1800억원
④ 2000억원
⑤ 2200억원
[해설] 승수효과란 정부지출을 늘리면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가 창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부가 한 기업에서 1억원의 재화를 구입하면 해당 기업의 고용과 이윤이 늘어나고, 그 기업 근로자의 소득과 주주들의 이윤이 증가해 이들의 소비가 증가한다. 이러한 소비의 증가는 다른 기업이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 증가로도 이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부가 처음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를 창출한다. 정부지출승수는 1/(1-한계소비성향)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지출승수는 3이다. 정부지출 500억원에 3을 곱한 1500억원이 총수요 증가분이다. 정답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