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사즉생(死卽生)’으로 쓰지만, 이는 ‘사즉생(死則生)’을 잘못 쓴 것이다. 이순신 장군이 난중일기에서 ‘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則生 必生則死)’, 즉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반드시 살고자 하면 죽으리라”라고 한 데서 따온 말이다.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얼마 전 임원들에게 “삼성다운 저력을 잃었다. ‘사즉생’의 각오로 과감하게 행동할 때”라며 ‘독한 삼성인’으로 거듭날 것을 당부했다. 삼성 전 계열사 임원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이달 말까지 진행하는 ‘삼성다움 복원을 위한 가치 교육’ 자리에서다. 반도체를 비롯해 TV, 가전, 스마트폰 등 주력 사업 전 부문에서 시장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비상 선언인 셈이다. ‘死卽生’은 틀린 말…‘死則生’이 맞아그의 발언은 곧바로 언론의 대대적 보도로 이어지면서 ‘사즉생’도 함께 화두로 떠올랐다. 이 말은 ‘죽기로 마음먹으면 산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해 각오가 아주 대단함을 이를 때 쓴다. 애초 이순신 장군이 임전무퇴의 각오를 다지며 쓴 말이다. 현대에 와서는 정치 지도자나 기업 CEO들이 눈앞에 닥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종종 인용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의외로 이 말의 정체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대부분 ‘사즉생(死卽生)’으로 쓰지만, 이는 ‘사즉생(死則生)’을 잘못 쓴 것이다. 이순신 장군이 난중일기에서 ‘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則生 必生則死)’, 즉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반드시 살고자 하면 죽으리라”라고 한 데서 따온 말이다. 이를 줄인 게 ‘사즉생 생즉사(死則生 生則死)’다. ‘필사(必死)’는 “죽을힘을 다함”이다. 그래서 ‘필사적’이라고 하면 “죽음을 각오할 정도로 있는 힘을 다하는 것”을 말한다. 원전이 있는 말이라 원전 그대로 써야 한다.

이 표현은 이순신 장군이 만든 것이 아니라 오기(吳起)의 병법서 <오자(吳子)>가 원전이다. 중국 전국시대 병법가인 오기는 <오자>에서 ‘필사즉생 행생즉사(必死則生 幸生則死)’라고 했다. ‘반드시 죽기로 각오하면 살 것이요, 요행히 살려고 한다면 죽을 것이다’라는 뜻이다. 이것을 이순신이 약간 변형해 자신의 방식으로 쓴 것이 ‘필사즉생 필생즉사’다.

‘則’은 우리말에서 ‘곧 즉’과 ‘법칙 칙’ 두 가지로 읽힌다. 하지만 주로 ‘법칙 칙’으로 알려져 있다. ‘원칙(原則), 규칙(規則), 벌칙(罰則)’ 등이 다 ‘칙’으로 읽는 말이다. 이에 비해 則을 ‘즉’으로 쓰는 용례는 그리 많지 않다. ‘사즉생’에서처럼 어조사로 쓸 때 ‘즉’으로 읽는다. 이는 ‘~한즉’이란 뜻으로, ‘만약 ~하면 ~한다’로 새긴다. 사즉생 말고는 ‘궁즉통(窮則通)’이 비교적 널리 알려진 말이다. ‘궁하면 곧 통한다’, 즉 극단의 상황에 이르면 되레 해결할 방법이 생긴다는 뜻이다. ‘궁즉변 변즉통(窮則變 變則通)’의 줄임말로, 이때도 則을 썼다. ‘난중일기’에서 유래…원전대로 써야우리말에서 ‘곧, 즉시, 바로’라는 뜻의 말로는 ‘즉(卽)’이 좀 더 익숙하다. ‘則’과 함께 뜻풀이는 같지만, 용법이 좀 다르다. ‘~이 바로 ~이다’로 새긴다. 불교에서 말하는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에 이 ‘卽’이 쓰였다. ‘색이 곧 공이요, 공이 즉 색이다’라는 의미로, 색과 공이 본래 한가지임을 말한다.

우리말에서는 ‘곧 즉’으로 사용한 則의 용례가 많지 않은 데 비해 卽은 ‘즉(卽, 다시 말해), 즉시(卽時), 즉각(卽刻), 즉사(卽死), 즉결처분(卽決處分), 즉흥적(卽興的)’ 등 수많은 단어를 만들어냈다. 그만큼 ‘즉’ 자 하면 ‘卽’을 떠올리기 십상이다. 이순신의 ‘사즉생(死則生)’이 ‘사즉생(死卽生)’으로 와전된 데는 우리말 용법의 이런 차이에서 비롯한 것이 아닐까 싶다.

홍성호 이투데이 기사심사위원·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홍성호 이투데이 기사심사위원·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정리하면, ‘사즉생(死則生)’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서 따온 말이므로 원문 그대로 쓰는 게 맞다(김영봉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위원). 이를 ‘사즉생(死卽生)’이라고 하면 안 된다는 뜻이다. 다만 문법적·의미적 용법으로 보면 ‘卽’을 쓸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한자는 문맥에 따라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령 “죽으려고 하면 ‘곧’ 살 것이다”라고 해석해 방점이 ‘곧’에 있는 것으로 푼다면 ‘死卽生’이라고 쓸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순신이 쓴 말은 ‘死則生’이다. 이는 “‘죽으려고 하면’ 곧 살 것이다”로 방점이 앞에 있는 말이다. 그러니 이를 ‘死卽生’으로 바꿔 쓸 이유가 없다. 원전이 있는 말을 인용할 때는 원전 그대로 쓰는 게 원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