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매우 낮다. 여러 통계를 종합해보면 여객기 사고로 사망할 확률은 1000만분의 1로, 벼락에 맞을 확률 100만분의 1보다 낮다.
![[생글기자 코너] 잇따른 항공기 참사…고인·유가족 비방 자제를](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AA.10525002.1.jpg)
항공사고가 잇따르자 시민들 사이에서 항공기 포비아(공포증)가 퍼지고 있다. 비행기 여행을 취소했다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러나 비행기 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매우 낮다. 여러 통계를 종합해보면 여객기 사고로 사망할 확률은 1000만분의 1로, 벼락에 맞을 확률 100만분의 1보다 낮다. 다만 비행기 사고는 일단 발생하면 대규모 인명 피해를 낳을 수 있어 큰 우려를 낳는다.
만약 비행기 사고가 발생한다면 탑승객은 무엇보다 승무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자의적으로 판단하기보다 비상 상황에 대비해 훈련받은 승무원의 안내를 우선시해야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비상구 위치도 출발 전 확인해두는 것이 좋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의를 지켜야 한다. 제주항공 비행기 사고 후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엔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비방과 모욕적인 글들이 올라왔다. 고인과 유가족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비행기 사고는 예기치 못한 참사지만, 불필요한 두려움이나 혐오가 확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지민 생글기자(대전관저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