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상승하는 요인을 고르면?(단,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국제 거래는 미국 달러화로 결제한다.)

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② 내국인의 해외여행 수요 증가
③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의 국내 유입 증가
④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으로 미국 달러화 매도
⑤ 국내 수출기업이 벌어들인 달러화를 원화로 환전

[해설]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의 하락,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의 상승을 의미한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가 증가하면 달러화 유입이 늘어 환율은 하락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금리 차를 이용해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어 환율이 하락한다. 정부가 외환시장에 달러화 매도, 국내 수출기업이 벌어들인 달러화를 원화로 환전하면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공급이 늘어나 환율이 하락한다. 반면, 내국인의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 달러화 수요가 늘어 환율이 상승한다. 정답 ②

[문제] 총공급곡선(AS)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충격이 발생했다. 이와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생산요소 비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②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지출을 늘리면 물가가 더 상승한다.
③ 경기가 침체하지만, 물가가 오히려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난다.
④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을 감소시키면 국내총생산(GDP)은 더 하락한다.
⑤ 불경기 상황이므로 재정지출을 증가시키더라도 인플레이션은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해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 이를 공급 충격에 따른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이라 한다. 이에 대한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성 증가율보다 높은 임금인상 등이 있다. 이는 생산요소 비용을 상승시켜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상향 이동한다.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함께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이때 경기침체에 대응하고자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늘리거나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면 물가상승을 더욱 자극한다. 반면,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을 감소시키면 경기는 더 침체한다. 정답 ⑤

[문제] 어떤 제품에 대해 가격상한제를 시행할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해당 제품에 대한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② 아무도 해당 제품을 공급하려 하지 않는다.
③ 해당 제품을 파는 암시장이 형성될 것이다.
④ 해당 제품을 사기 위해 긴 줄이 늘어서게 된다.
⑤ 시장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품귀 현상이 나타난다.

[해설] 가격상한제는 최고가격제라고도 한다. 가격상한제의 목적은 물가안정과 소비자 보호다. 어떤 제품에 대해 시장가격보다 낮은 수준에서 가격의 상한선을 정하면 초과수요가 발생해 해당 제품의 품귀 현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판매자는 다수의 고객 가운데 일부를 선별해 제품을 할당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일찍부터 줄을 선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도 있고, 판매자 취향에 따라 친구나 친척에게만 제품을 공급할 수도 있다. 해당 제품을 높은 가격에 판매하는 암시장도 생겨난다. 가격상한제를 시행한다고 해서 아무도 공급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상한 가격보다 낮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는 제품을 공급할 것이다. 정답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