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은 왜 '두 번 피는' 꽃일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동백꽃

이수복


동백꽃은
훗시집간 순아 누님이
매양 보며 울던 꽃

눈 녹은 양지쪽에 피어
집에 온 누님을 울리던 꽃.

홍치마에 지던
하늘 비친 눈물도
가녈피고 씁쓸하던 누님의 한숨도
오늘토록 나는 몰라 …

울어야던 누님도 누님을 울리던 동백꽃도
나는 몰라
오늘토록 나는 몰라 …

지금은 하이얀 촉루가 된
누님이 매양 보며 울던 꽃
빨간 동백꽃.

* 이수복(1924~1986) : 전남 함평 출생.
1954년 서정주 추천으로 등단. 시집 <봄비> 출간.

동백나무는 다산(多産)의 상징이지요. 열매가 풍성하게 맺혀서 그렇답니다. 동백은 추위 속에서 망울을 터뜨리는 꽃이어서인지 꽃잎도 두껍습니다. 그 속에 향기 대신 꿀을 잔뜩 머금고 있지요.‘훗시집간 누님’의 홍치마에 지던…추위 속에 피는 동백의 꽃가루는 누가 옮기는 걸까요? 뜻밖에도 벌·나비 등의 곤충이 아니라 텃새입니다. 남부 해안이나 섬에 서식하는 동박새가 그 주인공이죠. 꿀을 유난히 좋아하는 동박새는 귀엽고 앙증맞은 몸으로 동백나무 꽃가루를 이리저리 옮기며 중매쟁이 노릇을 합니다.

남부 지방에서는 혼례식 초례상에 송죽 대신 동백나무를 주로 꽂았습니다. 사철 푸른 동백잎처럼 변하지 않고 오래 살며 풍요롭기를 바라는 뜻에서였지요. 시집가고 장가갈 때 아이들이 동백나무 가지에 오색종이를 붙여 흔드는 풍습도 이런 축복의 뜻을 담은 것입니다.

이수복 시 ‘동백꽃’에는 축복보다 눈물이 먼저 아롱거립니다. 친정 부모 형제와 정든 집을 떠나 출가하는 것만으로는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슬픔이 그 속에 녹아 있지요. 그 이유는 바로 ‘훗시집’에 있습니다.

처녀가 총각과 결혼하는 게 아니라 남의 집 후처나 재취로 가는 훗시집이니 어찌 마음이 편하겠습니까. “홍치마에 지던/ 하늘 비친 눈물도/ 가녈피고 씁쓸하던 누님의 한숨도” 그래서 더 애잔하게 다가옵니다.

동백은 질 때 봉오리째 뚝 떨어지지요. 그 낙화의 눈물이 누님을 울리고, 누님은 그 꽃 때문에 또 눈물짓습니다. 시인은 그런 아픔의 깊이를 오늘토록 모른다며 짐짓 딴청을 부리지만 그 속 깊은 마음 때문에 우리 가슴이 더욱 먹먹해집니다.

이런 분위기는 어디에서 비롯되는 걸까요? 서정적인 시어와 부드러운 운율에서 나옵니다. 미당 서정주는 1954년 <문예>지 3월호에 이 시 ‘동백꽃’을 추천하면서 이렇게 썼습니다.

“상(想)에 헷것이 묻지 않은 게 첫째 좋고 그 배치와 표현에도 성공했으려니와 요즘 시단 시인의 대부분이 뜻면을 찾다가 시에 감동이나 지혜의 움직이는 모양을 주어야 할 것까지를 잊어버리고 천편일률로 ‘이다’ ‘이었다’ ‘하였다’만 되풀이하고 있는 실상에 비해 자기 시의 몸놀림이나마 뜻과 아울러 같이 가져보려고 노력한 점도 요새 일로서는 귀한 작품이다.”땅에 떨어져서도 여전히 붉은 자태그의 시에서는 동백이 ‘눈물 젖은 꽃’이 됐지만, 사실 동백은 몸 전체가 버릴 것 없는 나무입니다. 열매로 짠 기름은 옛 여인들의 머리에 윤기를 더해주는 ‘동백기름’으로 애용됐지요. 나무도 재질이 단단해서 빗이나 가구 등 갖가지 생활 용구로 쓰였습니다. 동백나무로 만든 망치는 병마를 막아준다고 해서 집마다 마루에 걸어놓기도 했지요.

이처럼 우리 생활 속에 깊숙하게 들어와 있는 동백이 이른 봄이면 꽃 잔치를 벌입니다. 여수 오동도 동백은 물론이고 정약용의 다산초당 초입에 있는 강진 백련사 동백숲, 섬 모양이 마음 심(心) 자를 닮은 거제 지심도, <별에서 온 그대> 촬영지인 통영 장사도에도 지천으로 피고지고 하지요.

미당의 시구처럼 가장 늦게 피는 선운사 동백은 내달 하순까지 볼 수 있습니다. 동백나무 자생지의 북방한계선에 있어 4월 중순에야 느릿느릿 망울을 내미니까요.

동백이 자라지 않는 강원도에서는 생강나무를 동백이라고 부릅니다. 김유정 단편소설 ‘동백꽃’에 나오는 ‘노란 동백꽃’의 ‘알싸한’ 향기와 ‘정선아리랑’ 가사 속 ‘싸리골 올동백’도 동백이 아니라 생강나무를 가리키죠.

동백꽃은 하늘을 보지 않고 옆이나 아래를 향해 다소곳이 벙급니다. 열정적인 색깔과 달리 자태가 겸손하지요. 꽃이 질 때는 바람에 한 잎씩 날리지 않고 온몸이 통째로 떨어집니다. 시들기 전에 떨어진 동백 꽃송이는 바닥에서도 여전히 붉게 빛나지요. 그래서 ‘두 번 피는 꽃’이라는 애칭을 얻었습니다.√ 음미해 보세요
시인
시인
동백꽃은 하늘을 보지 않고 옆이나 아래를 향해 다소곳이 벙급니다. 열정적인 색깔과 달리 자태가 겸손하지요. 꽃이 질 때는 바람에 한 잎씩 날리지 않고 온몸이 통째로 떨어집니다. 시들기 전에 떨어진 동백 꽃송이는 바닥에서도 여전히 붉게 빛나지요. 그래서 ‘두 번 피는 꽃’이라는 애칭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