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동백은 왜 '두 번 피는' 꽃일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동백꽃이수복동백꽃은훗시집간 순아 누님이매양 보며 울던 꽃눈 녹은 양지쪽에 피어집에 온 누님을 울리던 꽃.홍치마에 지던하늘 비친 눈물도가녈피고 씁쓸하던 누님의 한숨도오늘토록 나는 몰라 …울어야던 누님도 누님을 울리던 동백꽃도나는 몰라오늘토록 나는 몰라 …지금은 하이얀 촉루가 된누님이 매양 보며 울던 꽃빨간 동백꽃.* 이수복(1924~1986) : 전남 함평 출생.1954년 서정주 추천으로 등단. 시집 <봄비> 출간.동백나무는 다산(多産)의 상징이지요. 열매가 풍성하게 맺혀서 그렇답니다. 동백은 추위 속에서 망울을 터뜨리는 꽃이어서인지 꽃잎도 두껍습니다. 그 속에 향기 대신 꿀을 잔뜩 머금고 있지요.‘훗시집간 누님’의 홍치마에 지던…추위 속에 피는 동백의 꽃가루는 누가 옮기는 걸까요? 뜻밖에도 벌·나비 등의 곤충이 아니라 텃새입니다. 남부 해안이나 섬에 서식하는 동박새가 그 주인공이죠. 꿀을 유난히 좋아하는 동박새는 귀엽고 앙증맞은 몸으로 동백나무 꽃가루를 이리저리 옮기며 중매쟁이 노릇을 합니다.남부 지방에서는 혼례식 초례상에 송죽 대신 동백나무를 주로 꽂았습니다. 사철 푸른 동백잎처럼 변하지 않고 오래 살며 풍요롭기를 바라는 뜻에서였지요. 시집가고 장가갈 때 아이들이 동백나무 가지에 오색종이를 붙여 흔드는 풍습도 이런 축복의 뜻을 담은 것입니다.이수복 시 ‘동백꽃’에는 축복보다 눈물이 먼저 아롱거립니다. 친정 부모 형제와 정든 집을 떠나 출가하는 것만으로는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슬픔이 그 속에 녹아 있지요. 그 이유는 바로 ‘훗시집’에 있습니다.처녀가 총각과 결혼하는 게 아니라 남의 집 후처나 재취로

  • 교양 기타

    (72) 김유정 '동백꽃'

    1930년대 17세 처녀의 사랑그 시대 풍경을 이야기와 함께 자연스럽게 익히면서 감동까지 받을 수 있는 장르로는 소설이 가장 적합하다. 2017년 대한민국 17세는 대학입시 준비로 많은 것을 절제하며 지낸다. 1930년대 17세는 어떤 압박을 받았을까.<동백꽃>의 17세 점순이는 동네 어른들로부터 “너 얼른 시집 가야지?”라는 얘기를 듣는다. 남자는 스무 살만 넘어도 노총각이라고 불렸으니 1930년대 17세의 관심은 온통 결혼이었을 듯하다.일제가 조선을 일본화하려고 총력을 기울이던 때, 학교에서 우리말도 배울 수 없고, 우리말로 문화 활동도 하기가 쉽지 않을 때 썼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동백꽃>을 읽기 바란다. <동백꽃>을 실은 <조광>이라는 잡지는 1940년대를 전후하여 일제의 강요에 의해 일본어로 글을 싣다가 끝내 종간되었다1908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난 김유정은 부모를 일찍 여의고 서울로 이주해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0년에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했다. 하지만 두 달 만에 ‘더 이상 공부할 게 없다’고 선언한 뒤 학교를 그만두었다. 그로부터 4년 동안 춘천과 서울을 오가며 야학과 간이학교를 운영하다가 방랑생활을 하거나 금광을 찾아다니기도 했다.2년 남짓만에 쓴 단편들그러다 소설가 안회남의 권유로 소설 습작을 시작했고 1935년에 <소낙비>와 <노다지>가 당선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그로부터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단 2년 동안 30여 편의 주옥같은 단편과 10여 편의 에세이를 남겼다. 나라 잃은 설움과 불우한 환경 속에서 김유정이 쓴 소설에는 작가의 시각으로 재조명한 그 시대 사람들이 잘 표현되어 있다.&ls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