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지의 역사가 오래된 도시에는 대개 멋진 가로수들이 있다. 더울 때는 시원한 그늘을 선사해주고, 가을에는 단풍으로 도시의 멋을 더해준다. 서울 시내에도 약 30만 그루의 가로수가 있어 밀집 도시의 삭막함을 줄이고 통행자와 시민에게 청량감을 안겨준다. 한여름에는 아스팔트 거리나 콘크리트 건물들의 뜨거운 열기를 식혀준다. 하지만 나무를 학대하는 것 아니냐고 할 정도로 가지치기를 심하게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전신주 접촉으로 인한 감전 위험, 태풍·폭우 시 넘어짐 대비, 꽃가루 날림, 간판을 비롯한 건물 가림 등 이유도 여러 가지다. 하지만 강전지(가지를 과도하게 많이 치는 것 또는 무리한 수형 축소)는 거리 미관을 망치고 가로수를 심는 취지와 맞지 않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가지를 마구 자르는 강전지 방식의 가로수 관리에 문제점은 없나.[찬성] 태풍·폭우 대비, 간판 가림 민원 대응…가지 많이 쳐도 바로 자라 '적극관리'잘 가꾼 가로수가 주는 장점과 이점이 적지 않다. 하지만 가로수가 늘 편의와 편리만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한번 잘못 심은 가로수는 관리하기가 어려울 때도 있고, ‘부작용’이 생기는 사례도 적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안전에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다. 도심 가로수는 대개 잘 자라는 수종을 선택하는데, 키가 커지면 가로의 전신주에 닿게 된다. 전신주의 고압전선에 나뭇가지가 닿으면 전선이 끊어질 수도 있다. 태풍이나 폭우가 쏟아질 때 무성한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면서 전선을 흔들어 전기 합선이 일어날 수도 있다. 1년에 몇 차례나 반복되는 태풍에 대한 대비도 중요하다. 폭우와 비바람이 몰아치면 덩치 큰 가로수도 버티지 못할 때가 허다하다. 넘어지는 가로수는 지나치는 행인이나 차량을 덮칠 수도 있고, 가로변 건물로 넘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비한 안전관리 차원이다.
시민들이나 가로수 주변의 주민 민원도 적지 않다. 대표적 가로수인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는 봄철 꽃가루를 많이 날리는데, 이로 인해 알레르기 고통을 호소하는 이도 적지 않다. 가지를 많이 치면 아무래도 꽃가루가 적게 날린다. 좋지 않은 냄새를 유발하는 가로수도 있다. 은행나무는 가을철 열매가 떨어지면 특유의 과육으로 거리에 얼룩이 생기고 냄새도 좋지 않다. 이런 향에 민감한 시민들은 지방자치단체에 계속 관리 민원을 제기한다.
막 자란 가로수가 1·2층 등 저층 상가의 영업에 지장을 받는다는 민원도 적지 않다. 멋 부려 만든 간판을 가로막고 장사를 방해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건물의 유리창에까지 가지가 자라 벌레가 실내로 들어와 직원과 손님이 놀라는 일도 생긴다. 1층 상가의 불편 때문에 왕성한 가로수를 완전히 베어버릴 수도 없는 만큼 가지를 확실하게 치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다. 가지를 쳐도 대부분 가로수가 잘 자라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몇 년 지나면 대개 수형을 되찾는다.[반대] 청량 그늘 주는 가로수는 도시의 품격…공들여 다듬거나 필요시 수종 개선을대도시일수록 가로수의 이점은 크다. 갈수록 뜨거워지는 여름철, 가로수는 천연 그늘로 보행자에게 시원함을 선사한다. 서울 중구와 마포구 일대에서 현장 조사한 결과 가로수 아래 그늘은 주변의 땡볕 아래보다 15.4℃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봄에는 새싹과 꽃으로, 가을에는 각종 열매와 단풍, 때로는 낙엽으로 삭막한 도시에 멋과 여유를 선사한다.
그런데 적절한 관리 차원을 넘어 학대를 하고 있다. 매년 전국의 가로수 1만6000여 그루가 고사(枯死)하는데, 그 원인이 과도한 가지치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와 있다. 가로수나 나무도 하나의 생명체다. 오죽하면 ‘닭발 가로수’라는 말이 나오겠나. 기둥만 남기는 식으로 마구 자르니 건강하게 살 수가 없다. 가지를 치더라도 싹둑싹둑 마구 자르는 강전지가 아니라 부드럽게 다듬는 정도의 약전지가 옳다. 나무 전문가들이 나무의 수형을 다듬으며 멋있게 가꾸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파리·도쿄 등 세계 굴지의 오래된 도시에 가보면 정성 들여 가꾼 가로수가 많아 좋은 관광거리가 된다. 식물 생장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가로수를 연구하고 공들여 다듬으며 키워야 한다. 그렇게 도시 자산으로 가꾸어야 도시의 품격도 올라간다. 전기 합선 같은 안전 문제에 대비하더라도 필요한 곳에 정교한 전지를 해야 하는데, 특정 거리 전체를 난도질하는 것 같은 만행이 드물지 않다. 획일적인 저급 자치행정이다.
꽃가루 알레르기나 악취 유발 수종이라면 체계적인 수종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 임기응변의 즉흥적 가지치기로 마구 관리할 대상이 아니다. 가로수의 품종 관리 및 개량 같은 세심한 지자체 행정이 절실하다. 정원수 관리도 한번 해본 적 없는 비전문가들이 고층 사다리를 동원해 전기톱을 마구 휘두르는 방식은 곤란하다. 가로수도 제대로 관리 못 하면 후진국의 야만 행정 아닌가.√ 생각하기 - '도시숲법' 가지 25% 못 자르게 권고…전문가가 가꿔야 할 도시 인프라 현대의 도시국가에서는 가로수도 무시 못 할 대도시 인프라다. 수목에 대한 전문성도, 안목도 없는 사람들이 ‘대충대충’ 잘라버릴 대상이 아니다. 가로수를 심고 가꾸며 관리하는 것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도시숲법)’에 따라 관할 지자체가 맡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2023년 3월 나뭇잎이 달린 가지가 25% 이상 잘려나가지 않도록 지자체에 권고한 바도 있다. 산림청은 가지치기 작업 시 절차를 지키며 신중하게 하라는 내용의 ‘도시 숲·생활 숲·가로수 조성관리 기준’을 고시하기도 했다. 가로수를 함부로 마구 다루지 말라는 취지에서다. 각급 지자체의 지방의회에서 이런 문제를 놓고 즉흥 행정과 비숙련 관리를 막고, 좋은 가로수로 가꿔나가는 합리적 기준을 마련하면 좋겠다. 가로수 관리도 주민 편의와 연결되는 행정이다. 방문객에게 도시 이미지를 좌우할 수도 있다. 자치행정의 갈 길이 멀다.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수석논설위원 huhws@hankyung.com
시민들이나 가로수 주변의 주민 민원도 적지 않다. 대표적 가로수인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는 봄철 꽃가루를 많이 날리는데, 이로 인해 알레르기 고통을 호소하는 이도 적지 않다. 가지를 많이 치면 아무래도 꽃가루가 적게 날린다. 좋지 않은 냄새를 유발하는 가로수도 있다. 은행나무는 가을철 열매가 떨어지면 특유의 과육으로 거리에 얼룩이 생기고 냄새도 좋지 않다. 이런 향에 민감한 시민들은 지방자치단체에 계속 관리 민원을 제기한다.
막 자란 가로수가 1·2층 등 저층 상가의 영업에 지장을 받는다는 민원도 적지 않다. 멋 부려 만든 간판을 가로막고 장사를 방해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건물의 유리창에까지 가지가 자라 벌레가 실내로 들어와 직원과 손님이 놀라는 일도 생긴다. 1층 상가의 불편 때문에 왕성한 가로수를 완전히 베어버릴 수도 없는 만큼 가지를 확실하게 치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다. 가지를 쳐도 대부분 가로수가 잘 자라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몇 년 지나면 대개 수형을 되찾는다.[반대] 청량 그늘 주는 가로수는 도시의 품격…공들여 다듬거나 필요시 수종 개선을대도시일수록 가로수의 이점은 크다. 갈수록 뜨거워지는 여름철, 가로수는 천연 그늘로 보행자에게 시원함을 선사한다. 서울 중구와 마포구 일대에서 현장 조사한 결과 가로수 아래 그늘은 주변의 땡볕 아래보다 15.4℃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봄에는 새싹과 꽃으로, 가을에는 각종 열매와 단풍, 때로는 낙엽으로 삭막한 도시에 멋과 여유를 선사한다.
그런데 적절한 관리 차원을 넘어 학대를 하고 있다. 매년 전국의 가로수 1만6000여 그루가 고사(枯死)하는데, 그 원인이 과도한 가지치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와 있다. 가로수나 나무도 하나의 생명체다. 오죽하면 ‘닭발 가로수’라는 말이 나오겠나. 기둥만 남기는 식으로 마구 자르니 건강하게 살 수가 없다. 가지를 치더라도 싹둑싹둑 마구 자르는 강전지가 아니라 부드럽게 다듬는 정도의 약전지가 옳다. 나무 전문가들이 나무의 수형을 다듬으며 멋있게 가꾸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파리·도쿄 등 세계 굴지의 오래된 도시에 가보면 정성 들여 가꾼 가로수가 많아 좋은 관광거리가 된다. 식물 생장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가로수를 연구하고 공들여 다듬으며 키워야 한다. 그렇게 도시 자산으로 가꾸어야 도시의 품격도 올라간다. 전기 합선 같은 안전 문제에 대비하더라도 필요한 곳에 정교한 전지를 해야 하는데, 특정 거리 전체를 난도질하는 것 같은 만행이 드물지 않다. 획일적인 저급 자치행정이다.
꽃가루 알레르기나 악취 유발 수종이라면 체계적인 수종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 임기응변의 즉흥적 가지치기로 마구 관리할 대상이 아니다. 가로수의 품종 관리 및 개량 같은 세심한 지자체 행정이 절실하다. 정원수 관리도 한번 해본 적 없는 비전문가들이 고층 사다리를 동원해 전기톱을 마구 휘두르는 방식은 곤란하다. 가로수도 제대로 관리 못 하면 후진국의 야만 행정 아닌가.√ 생각하기 - '도시숲법' 가지 25% 못 자르게 권고…전문가가 가꿔야 할 도시 인프라 현대의 도시국가에서는 가로수도 무시 못 할 대도시 인프라다. 수목에 대한 전문성도, 안목도 없는 사람들이 ‘대충대충’ 잘라버릴 대상이 아니다. 가로수를 심고 가꾸며 관리하는 것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도시숲법)’에 따라 관할 지자체가 맡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2023년 3월 나뭇잎이 달린 가지가 25% 이상 잘려나가지 않도록 지자체에 권고한 바도 있다. 산림청은 가지치기 작업 시 절차를 지키며 신중하게 하라는 내용의 ‘도시 숲·생활 숲·가로수 조성관리 기준’을 고시하기도 했다. 가로수를 함부로 마구 다루지 말라는 취지에서다. 각급 지자체의 지방의회에서 이런 문제를 놓고 즉흥 행정과 비숙련 관리를 막고, 좋은 가로수로 가꿔나가는 합리적 기준을 마련하면 좋겠다. 가로수 관리도 주민 편의와 연결되는 행정이다. 방문객에게 도시 이미지를 좌우할 수도 있다. 자치행정의 갈 길이 멀다.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수석논설위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