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이슈 찬반토론] 추경예산 남발 지자체, 중앙정부가 더 통제해야 하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AA.33465444.1.jpg)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5월 초 현재 17개 광역단체 가운데 12곳이 2023년도 예산의 추경을 짜고 있다. 정부가 지방재정법에 따라 내국세의 19.24%와 종합부동산세를 지방교부세로 내려주면서 비롯된 일이다. 가만히 있어도 전년도에 많이 걷힌 국세의 상당 부분이 내려가니 이를 다 써버리기 위해 예산 집행 계획을 다시 짜는 것이다. 12개 광역시가 당초 짜둔 지출예산은 총 115조원가량인데, 추경을 통해 4조5517억원(4%)을 더 쓰려고 한다. 매년 내국세의 20.79%를 각 지방교육청에 무조건 보내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과는 완전히 별개의 돈이다.
이러니 지자체나 지방교육청으로 가면 건전 재정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인구 감소 시대, 지방 인구는 더 심각하게 줄고 있다. 그런데도 지출은 그대로다. 그나마도 의미있는 사업에 제대로 사용을 못하고 있다. 중앙정부가 기존의 통제 제도를 강화해 건전재정의 고삐를 바짝 좨야 한다. 지방재정이 부실해지면 모두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만큼 자치행정을 담당하는 행정안전부와 나라 살림을 총책임지는 기획재정부가 감시를 강화하면서 제도 보완에 적극적으로 나설 때다.[반대] 무원칙 재정지출 남용 정부가 더 문제…재정간섭으로 자치행정 흔들어선 곤란중앙정부가 지자체 재정을 나무랄 처지가 전혀 못 된다. 과도한 지출로 국가 재정을 위험 지경으로 몰아간 것은 중앙정부다. 문재인 정부 때는 정부 지출이 특히 늘어 5년간 연평균 재정 증가율이 8.7%에 달했다. 이 기간에 경제성장률이 2%대 중반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정부 지출이 얼마나 과도했는지 알 수 있다. 매년 정부 예산안이 나올 때마다 초(超)·슈퍼(super)·팽창 재정이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적자국채 발행도 서슴지 않았다. 지출은 현세대가, 빚 갚기는 다음 세대가 하라는 식이었다. 그 결과 중앙정부 채무가 1000조원을 넘어섰다. 후임 윤석열 정부가 건전재정, 긴축재정을 외치며 허리띠를 죈다고 하지만 늘어난 지출구조는 쉽게 기조를 바꾸지 못하고 있다.
이런 판에 지자체에만 긴축을 요구하고 지출을 줄이라고 강요할 수 있나. 정부가 모범을 보인 뒤에나 할 요구다. 더구나 올해 추경은 법에 따라 지방교부세가 지급되기에 이를 쓰기 위한 것이다. 지방교부세가 많다는 정책적 판단이 있다면 먼저 법을 바꿔야 한다. 진짜 문제가 되는 것은 시·도나 시·군·구에 가는 일반 교부금이 아니라 학생은 없는데도 무작정 늘어나는 교육교부금이다. 수십조원씩 쌓여 있는 이것부터 개혁해야 한다. 지방 재정자립도가 낮은 것도 지방 탓이 아니라 대부분의 주요 세금을 국세로, 즉 정부가 징수하는 한국의 세금 제도 요인이 크다. 재정자립도를 비판하려면 주요 세목을 지방세로 돌리는 입법이 선행돼야 한다.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위기다. 인구는 줄고 경제도 활력을 잃고 있다. 정부든 지자체든 지방에 재정을 더 쏟아야 한다. 추경 정도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지방 재원을 더 확대해야 할 시기다. 모처럼 자치행정이 뿌리내리는 판에 정부가 또 미주알고주알 간섭하려 해선 안 된다.√ 생각하기 - 넘쳐나는 교육교부금이 특히 문제…건전재정 정부가 솔선수범할 때
![[시사이슈 찬반토론] 추경예산 남발 지자체, 중앙정부가 더 통제해야 하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AA.30636779.1.jpg)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수석논설위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