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43)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어떻게 될까?
(43)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어떻게 될까?
금리가 오르면 주가가 내려가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서 은행 예금 금리가 연 10%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금리가 이같이 높으면 사람들은 앞다퉈 은행 예금에 돈을 보관하게 됩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돈을 모두 잃어버릴 위험성이 있는 주식과 달리 은행 예금에 돈을 넣어두면 안전하게 큰 수익률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사람들이 너도나도 안전한 은행 예·적금을 찾는다면 그만큼 주식시장에서는 돈이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주식시장에서 돈이 빠지는 만큼 개별 기업의 주가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기준금리가 높아진다는 것은 예금 금리뿐만 아니라 대출 금리도 높아진다는 걸 의미합니다. 당연히 기업들의 이자 부담도 증가합니다. 기업들이 사업을 하다 보면 여러 부채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금리가 너무 오르면 이자 부담을 이기지 못하는 기업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개인이나 기관도 투자를 망설이게 됩니다. 금리가 낮고 주식시장이 호황일 때 투자를 하던 이들이 하나둘 발을 빼다 보니 주가는 하락합니다. 초저금리와 주식 호황아까와는 반대로 은행의 예금 금리가 세전 연 1%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1년간 1000만원의 돈을 은행 통장에 넣어서 받는 이자가 세금을 떼고 나면 10만원도 안 된다면 사람들은 이 돈으로 더 큰 수익률을 낼 수 있는 투자에 눈을 돌리게 됩니다. 이 때문에 저금리 시대에는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워낙 많은 사람이 기존에 갖고 있던 예금과 적금 등의 안전자산에서 돈을 빼서 주식시장으로 오기 때문에 돈의 힘으로 주가는 오르게 됩니다.
이 때문에 한국은행은 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서둘러서 기준금리를 올립니다.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높으면 미국으로 외화가 빠져나가고, 외국인들의 국내 투자 부진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이 올라 수입물가까지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송영찬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1. 일반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주가 흐름은 어떻게 될까?
2. 금리가 떨어지면 주가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3.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주코노미 요즘것들의 주식투자] 주가수익비율·주가순자산비율 등을 통해 평가…금리·회사의 신사업 진출 등도 주가 변동 요인](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076862.3.jpg)
![[주코노미 요즘것들의 주식투자] 상장시 직원 몫 20% 정도 배정, 업무의욕 높아져…시장 좋을 땐 수익 크지만 하락 땐 손실 발생하기도](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1009420.3.jpg)
![[주코노미 요즘것들의 주식투자] 삼성전자 1975년 상장 후 3000배 올랐지만 예외적 사례…우량주 고르는 안목·산업 변화에 따라 투자 대상 바꿔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88496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