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지난 시간에 안내했던 서강대 2021학년도 기출문제 한 세트의 해제를 시작하겠습니다. 각 논제의 이상적인 풀이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3학년도 논술길잡이] 늘 문제를 염두에 두고 효율적으로 제시문을 분석할 것
서강대는 900자 안팎의 장문형 글쓰기를 2문항 출제하고 있습니다(시험시간 100분). 또한 1, 2문항의 주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실상 두 번의 작문을 해야 합니다. 50분은 많아 보여도, 실제 흐름을 고려하면 정말 짧은 시간입니다. 그러므로 목적과 방향 없이 각 제시문에서 오랜 시간 머무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최대 1000자의 글에 평균 6000자가 넘어가는 제시문의 모든 내용을 활용할 수도 없습니다. 논제를 철저히 염두에 두고 요구사항 순서대로 제시문을 분석해보세요.

[가]의 현상은 지문에 명확히 기술돼 있듯이 대학생 사이에서 발생하는 입시 결과에 따른 서열화입니다. 서로를 무시하고 사람을 서열화하는 것 자체가 문제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논제는 [나], [다], [라]를 참조했을 때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밝히라는 것이므로, 각각의 지문을 활용해 다른 각도에서 문제를 분석해야 합니다. 즉 [가]에서 떠올랐던 ‘도덕적인 관점’에서 한발 물러나 봅시다.

[나]는 자연현상과 달리 사회현상은 필연적이지 않고 인간의 의지와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참조하면 [가] 현상은 판단이 부정확한 점에서 문제시됩니다. 예를 들어 학과를 선택한 이유가 자기 점수와 무관하게 전공에 대한 의지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시 결과가 좋은 학과의 학생이 입시 결과가 나쁜 학과의 학생보다 점수가 반드시 높다고 볼 수 없습니다. 혹은 입시 결과는 확률에 의한 우연적 결과일 수 있으므로, 단 한 번의 수능 점수로 능력의 우열관계를 판단하는 것도 섣부릅니다.

[다]는 통제할 수 없는 우연적이고 외부적인 요인이 개입해 결과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 이 내용을 참조했을 때 입시 결과에도 우연적 요소가 개입했을 여지가 충분합니다. 예를 들면 가정 환경과 소득 수준과 같은 기타 요소가 개입했을 수 있죠. 이런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각자의 출발선을 동일하게 보는 것은 타인의 평가 잣대로서 공정하지 않다는 생각을 해볼 수 있습니다.

한편 [라]는 복권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이 충분히 많은 시행이 없는 이상 우연이라고 말합니다. 이 내용에 근거하면 시험도 충분히 많이 치르지 않은 이상 우연의 결과일 뿐, 서열화하는 학생들은 복권에 당첨되고 자기 실력이 좋았다고 뽐내는 셈이 됩니다.

[나], [다], [라]에 근거한 [가] 현상의 문제점

· [나] : 인간의 의지와 판단

· [다] : 가정 환경이나 소득 수준과 같은 외부 요인의 개입

· [라] : 일회적 사건의 우연성

∴ [가]에서 나타나는 서열화 현상은 [나], [다], [라]를 간과한 판단이다.


답안을 쓸 때는 위의 내용을 그대로 나열해서는 안 됩니다. 지난 시간 서강대 논술 합격의 핵심에서 밝혔듯이 논술 문항에서 제시된 요구조건에 의지한 채 기계적으로 단락을 구성해 답안을 쓰면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나]~[라]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말할지 생각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습니다. [나]와 [라]는 사회 현상이나 입시에 대한 논리적 판단의 문제점을 지적했는데, [다]는 공정성의 문제를 거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답안의 흐름을 아래처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나], [다], [라]에 근거한 [가] 현상의 문제점

· [나], [라] : 사회 현상의 우연적 본질을 무시한 비논리적 판단

· [다] : 가정 환경과 같이 노력과 무관한 외적 요인을 무시한 불공정한 시각

∴ [가]에서 나타나는 서열화 현상은 비논리적 판단과 공정성의 무지에 기초한다.


이제 다음 요구사항으로 해결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마]는 사람에 대해 첫인상으로 결정적인 평가를 내리지 말고, 입체적이고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고 설득하는 신영복 선생님의 글입니다. 이 관점에서 해결책은 태도의 전환과 노력입니다. 다른 학생들에 대해 입시 결과라는 한 측면에서만 보지 말고, 여러 측면에서 그 학생이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를 살펴보면서 종합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에 따르면 눈에 보이지 않는 상황을 바라보려 노력해야 합니다. 이 관점도 노력이라는 점에서 [마]와 이질적이지 않습니다. 다른 학생들이 처해 있던 여러 상황을 고려하면서 보이지 않는 요소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면 서열화 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두 해결책은 비슷하므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면서 단계적인 해결책 제시를 시도하면 좋을 듯합니다.

이제 논의를 전부 종합해 하나의 완성된 글을 구성해봅시다. 첫 문단에서는 답안 전체의 주제의식과 본론의 내용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한 화제를 제시하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문단에서는 첫 문단에서 제시한 주제의식과 화제를 이어받아 주장과 함께 매듭문장을 만들어 글을 완결시켜주세요. 아래는 답안 사례입니다.

경쟁과 서열 나누기가 학생들에게까지 만연한 사회의 모습은 씁쓸하다. [가]에서 제시하는 입시 결과에 따른 서열화가 대표적이다. 이런 현상은 비단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비판 대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나], [다], [라]를 참조했을 때 올바르지 못한 판단이기 때문이다.

[나]는 자연현상과 달리 사회현상은 우연적일 수 있으며 인간의 의지와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입시 점수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반드시 능력이 뛰어나거나 노력을 많이 했다고 판단할 수 없다. 입시 결과는 확률에 의한 우연적 결과였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과에 들어온 것은 점수가 아니라 전공에 대한 의지와 판단 때문이었을 수 있다. 따라서 입시 결과가 좋은 학과의 학생이 입시 결과가 나쁜 학과의 학생보다 점수가 반드시 높다고 볼 수 없다. 게다가 지금부터의 의지와 판단이 역전적 결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라]의 내용을 참고할 때도 우연적 결과를 문제삼을 수 있다. [라]는 복권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은 충분히 많은 시행이 없는 이상 우연이라고 보는데, 이처럼 시험도 충분히 많이 치르지 않은 이상 우연의 결과일 뿐이다. 즉 서열화하는 학생들은 복권에 당첨되고 자기 실력이 좋았다고 뽐내는 셈이다.

한편 공정성의 문제도 있다. [다]는 하키 선수들의 사례를 들어 통제할 수 없는 우연적이고 외부적인 요인이 개입해 결과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입시 결과에도 가정 환경, 소득 수준 등의 우연적 요소가 개입했을 여지가 충분하다. 이런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각자의 출발선을 동일하게 보는 것은 타인의 평가 잣대로서 공정하지 않다.

프라임리더스 
인문계 대표강사
프라임리더스 인문계 대표강사
따라서 [마]와 [바]의 관점을 통해 서열화의 잘못된 판단과 비윤리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우선 [마]의 조언을 고려하여, 다른 학생들에 대해 입시 결과라는 한 측면에서만 보지 말고 여러 측면을 살펴보고 그 학생이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를 보면서 종합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바]의 말처럼 다른 학생들이 처해 있던 여러 상황을 고려하면서 보이지 않는 요소들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경쟁과 서열 나누기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생들의 잘못된 관계 맺음을 건강한 관계로 전환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