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風樹之歎 (풍수지탄)
▶한자풀이
風: 바람 풍
樹: 나무 수
之: 갈 지
歎: 탄식할 탄


바람이 그치지 않음을 나무가 탄식함
부모가 돌아가셔 효를 할 수 없음
-《한시외전(韓詩外傳)》

공자가 슬피 우는 고어(皐魚)에게 그 까닭을 물었다. 고어가 답했다.

“제게는 세 가지 한(恨)이 있습니다. 첫째는 집을 떠났다가 고향에 돌아와 보니 부모님이 이미 세상을 뜬 것이고, 둘째는 저를 알아줄 군주를 어디서도 만나지 못한 것이며, 셋째는 서로 속마음을 터놓던 친구와 사이가 멀어진 것입니다”라며 말을 이었다.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을 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주지를 않습니다(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시경(詩經)》의 해설서인 한시외전(韓詩外傳)에 나오는 구절로, 풍수지탄(風樹之歎)은 문구만으로는 ‘바람이 그치지 않음을 나무가 탄식한다’는 뜻이지만 돌아가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의미로 쓰이는 고사성어다. 효도하고자 하나 부모가 이미 돌아가셔 효양할 길이 없음을 안타까워하는 풍목지비(風木之悲)도 뜻이 같다. 풍수지비(風樹之悲), 풍수지감(風樹之感)으로도 쓴다.

“어버이 살아계실제 섬기기를 다하여라. 지나간 후에 애달프다 어이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조선 시대 문인으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지낸 송강 정철(鄭澈)의 시조는 풍수지탄의 심정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작가/시인
작가/시인
세상사에는 때가 있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에는 효를 할 수 없고, 세월이 너무 지나면 배움도 버겁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빠른 때’라는 말도 있지만 때를 놓치면 후회가 되고 적기에 하는 것보다 몇곱절 힘이 들 수도 있다. 후회와 깨달음은 늘 뒤에 온다고 했다. 청춘은 청춘의 권리와 의무가 있고, 중년·노년도 마찬가지다. 내일의 후회와 깨달음을 오늘 조금이라도 줄여가는 게 현명하게 세상을 사는 일이다. 혹시 지금 이 순간, 나중에 후회할 듯한 일이 있는가. 그럼 그 일을 오늘 줄여보자. 삶은, 그리고 때는 우리를 무한정 기다려주지 않는다.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風樹之歎 (풍수지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