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400년 전의 갑과 을
“(노비인) 송노 분개 복지 등에게 율무밭의 제초를 하게 하고 좁쌀 밭의 김매기도 시켰다. 그런데 도중에 소나기가 내려 좁쌀 밭의 제초를 다 하지 못했다. 그런데 율무밭 둑에 (다른 노비인) 한복을 시켜 찰수수 한 되의 종자를 심게 했는데, 겨우 한 두둑을 심었을 뿐이다. 그나마 그 싹도 듬성듬성 자랐다. 필시 한복이 그 종자를 훔쳐 자기 밭에 뿌렸을 것이다. 얼마나 가증스러운 일인가. 도대체 우리 집 전답은 모두 한복이 씨를 뿌렸는데, 싹이 나는 것을 보면 드문드문 파종을 했다. 생각건대 이 종자도 한복이 훔쳐 자기 밭에 뿌렸을 것이다. 분통이 난다.”임진왜란 당시 양반이었던 오희문이 전란 사실을 기록한 피란일기 ‘쇄미록’에는 당시 사회의 갑이라 할 수 있는 양반과 전형적인 을인 노비 간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구절이 적지 않다. 오희문이 남긴 1595년 5월 18일 일기의 한 구절도 그렇다. 노비는 인격적으론 자유가 없었지만 자기 토지를 소유하면서 주인의 곡식 종자를 몰래 빼내 자신의 밭에 심었다. 증거가 없는 주인은 발만 동동 구를 뿐 만년 을로 갖가지 궂은 일에 동원됐던 노비가 갑에게 소심하면서도 확실한 복수를 한 셈이다. 게으르고 부정한 노비 때문에 속 태우는 양반‘쇄미록’ 곳곳에는 노비들의 게으름과 부정에 대한 불만과 분노가 가득하다. 노비를 이용한 농사일은 효율이 낮았다. 또 직접 상거래에 나서지 못하는 양반들이 시장에서 노비를 거쳐 물건을 사고팔 때 중간에 새는 물건도 적지 않았고, 가격을 허위로 보고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조선 전기 양반들에게 중요한 경제적 원천은 노비와 토지에서 파생되는 수입이었다. 토지 경작에는 노비의 노동력이 필요했고, 집안일에도 노비는 필수 불가결한 존재였다. 양반의 생활에 필요한 물품은 거의 전적으로 하층민인 노비에 의해 조달됐다. 노비는 상류층의 ‘손과 발’이었으며, 그들의 수가 주인의 재산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였다. 노비는 세습재산의 가장 중요한 존재였다.
오희문 역시 노비를 이용한 장사로 생계를 유지했다. 노비를 시켜 쌀을 팔고, 면포를 사와 의복을 만들어 돈을 벌려고도 했다. 집에서 부리는 종에게 술을 빚게 해 장시에 내다 팔려고도 했다. 향비라는 여종이 여덟 항아리를 지고 가다가 그만 발을 헛디뎌 술항아리를 깬 것을 아쉬워하는 기록, 떡을 쪄서 장에 팔려다가 비가 오는 바람에 장이 서지 않아 떡을 아이들과 나눠 먹고서는 쌀을 허비한 안타까운 심정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노비의 태업과 기망은 양반가의 경제력 유지에 있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관료인 경우라면 녹봉이 지급되긴 했지만 이것이 양반 전체 경제생활에서는 부차적인 지위만 차지했던 점도 고려해야 한다. 노비의 도망은 서로에게 큰 타격 안겨노비 간에 업무가 분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때론 노비 간에 일을 두고 갈등이 빚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일은 되돌아보면 사소한 수준에 불과했다.
양반과 노비 간 갑을 관계가 가장 극단적으로 긴장 국면을 보인 것은 노비가 도망갔을 때였다. 이때는 을인 노비로선 목숨을 건 도박을 한 셈이고, 갑인 양반으로선 엄청난 경제적 타격을 감수해야 했다.
오희문의 속을 썩이던 노비 한복은 목숨을 걸고 탈주를 감행했다. ‘쇄미록’ 1597년 6월 26일 기록에 따르면 한복이 혼자서 도망친 게 아니라 오희문이 소유한 여종 한 명에다가 다른 사람의 말까지 훔쳐 도망쳤다.
오희문은 즉시 뒤쫓는 사람을 풀어서 한복 일행을 붙잡았다. 오희문은 한복에게 장 80대를 친 뒤 그를 관가에 넘겼다. 압송된 한복은 감옥에서 옥사했다. 갑에게 저항했던 을의 비참한 최후였다. 400년 전 갑을 간 투쟁과 마찰의 역사는 오늘날 못지않게 격렬했다. NIE 포인트 1. 양반과 노비가 갈등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2. 노비를 이용한 농사일이 효율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뭘까.
3. 계급사회에서 양반과 노비가 경제적으로 어떤 의존관계였는지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