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경제

이자보상비율

연간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
100% 미만이면 빚 갚기 힘든 부실상태
3년 연속 100% 밑돌면 '한계기업' 분류

코로나 이후 기업 성장성·건전성 악화
국내기업 매출 통계작성 이후 첫 감소
영업이익률 제자리, 부채비율은 늘어
한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생산을 마치고 출고를 앞둔 차량들. /한경DB
한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생산을 마치고 출고를 앞둔 차량들. /한경DB
코로나19 사태가 우리 기업들에 남긴 ‘깊은 상처’가 또 한번 수치로 확인됐다.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뒷걸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년 동안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기업의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급증한국은행이 최근 공개한 ‘2020년 기업경영분석’ 통계에 따르면 조사 대상 비금융 영리법인 79만9399개의 지난해 매출은 2019년보다 1.0% 감소했다. 기업의 ‘성장성’ 지표인 매출이 마이너스를 나타낸 것은 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처음이다. 매출이 가장 크게 쪼그라든 업종은 지난해 국제 유가 하락의 직격탄을 맞았던 석유정제업과 화학업으로 각각 34.1%, 8.0% 급감했다. ‘수익성’을 보여주는 영업이익률(매출 대비 영업이익의 비중)은 전년과 똑같은 4.2%에 머물렀다. 코로나 사태는 대다수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망가뜨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평균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율은 각각 118.3%, 30.4%로 조사됐다. 1년 전과 비교해 2.6%포인트, 0.9%포인트씩 상승한 수치다.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이자 갚을 만큼도 못 버는 기업, 사상 처음 40% 넘었다
지난해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은 조사 대상의 40.9%로 집계됐다. 이 또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치였다. 국내에서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밑도는 기업의 비중은 2017년 32.3%, 2018년 35.2%, 2019년 36.6% 등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이자보상비율이란 기업의 1년치 영업이익을 그해 상환해야 할 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이다. 이 값이 100% 아래라면 사업해서 남긴 이익으로 은행에서 빌린 채무의 이자조차 갚지 못했다는 뜻이다. ‘한계기업 늘어날라’ 우려 나와이런 상태가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면 기업의 경쟁력이 상당히 훼손됐다고 봐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을 기록하면 ‘한계기업’으로 분류한다. 한계기업이란 재무구조가 망가져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남을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있는 회사를 가리킨다. 공포영화 속 시체에 빗대 이른바 ‘좀비기업’으로 부르기도 한다.

원칙대로라면 한계기업은 자연스럽게 도태되는 것이 맞다. 냉정한 말로 들리겠지만, ‘망할 기업은 망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이 살아남는 것’이 시장의 원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자원은 한정된 상황에서 한계기업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기업들이 투자를 집행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하는 길까지 가로막게 된다. 한계기업에 빌려준 돈은 떼이기 쉽다는 점에서 금융권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1990년대 일본은 경제 거품이 꺼지면서 좀비기업이 속출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장의 파장을 우려해 과감히 정리하지 못했다. 결국 은행이 망가지고 경제가 장기 침체로 빠져드는 한 원인이 됐다.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이자 갚을 만큼도 못 버는 기업, 사상 처음 40% 넘었다
한은은 올초 내놓은 보고서에서 한계기업의 노동생산성이 일반 기업의 48% 수준에 그쳤다고 분석했다. 또 좀비기업 비중이 2010~2018년 늘지 않았다면 다른 기업들의 노동생산성이 1.01%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계기업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5~10년 동안 100%를 웃도는 정상기업으로 전환한 사례는 전체의 15.0~36.3%에 불과했다. 한 번 ‘좀비’가 되어버린 기업의 상당수는 부실을 벗지 못했다는 의미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