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 이야기
(19) 중세 이슬람 경제의 몰락
전반적으로 전근대 시기 이슬람권의 산업기술은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는 게 중론이지만 교역 측면에선 여건이 좋았다. 산업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것은 주변 환경의 영향이 컸다. 인력과 축력이 주로 이용됐다. 풍력과 수력을 이용한 풍차와 수차는 사용되긴 했지만 유럽보단 널리 퍼지지 못했다. 자동화기기는 간혹 만들어지긴 했지만 장난감 정도에 응용됐다. 에너지 관련 기술에서 중동이 뒤처진 것은 서유럽과 같은 목재, 석탄, 목탄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한계 탓이 컸다. 유럽에 비해 강의 수도 적었고 낙차가 크지 않아 수력을 활용하기도 쉽지 않았다. 석유가 물론 많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에너지원으로 적극 파낼 기술도 없었고, 석유를 채굴해도 바로 쓸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동서양 장거리 교역에 최적이었던 중동지역목재와 금속 산출이 적다 보니 바퀴가 달린 탈것의 숫자도 적었다. 이는 도로망 같은 교통시스템 개선을 더디게 했다. 14세기에 모로코 출신이었던 이븐 바투타가 중동을 지나 중앙아시아를 가는 도중 투르크인들이 바퀴 달린 수레를 이용하는 것을 보고선 “신기하다”고 묘사하기도 했다. 18세기 프랑스의 여행가 볼니는 “시리아 전체에서 마차를 볼 수 없다는 것은 특기할 만하다”고 했다. 교통은 대부분 낙타 같은 동물을 통해 이뤄지거나 수운을 통해 이뤄졌다. 기원전 2000년께부터 운송에 활용된 낙타는 하루에 1200파운드의 짐을 싣고 200마일을 갈 수 있었다. 17일간 물을 마시지 않고 다니는 것도 가능했다. 전근대 시기 기술로는 낙타보다 더 유용한 교통수단을 마련하는 게 불가능했고, 그 이유로 대체품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도 나타나지 않았다.(19) 중세 이슬람 경제의 몰락
대신 모로코부터 북아프리카, 중동을 거쳐 인도와 중국에 이르는 지역이 단일한 정치, 문화적 시스템에 편입되면서 장거리 교역에는 최적의 조건이 마련됐다. 아랍어는 이 지역의 공통언어로서 각종 지역 간 거래에서 사용됐다. 이슬람 세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아랍어는 여러 방언에도 불구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공통 언어였다. 일한국의 재상이었던 라시드 웃딘은 “기독교 세계는 25개 언어가 쓰이고 서로 상대방이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며 이슬람권과 비교하는 촌평을 하기도 했다. 무슬림들의 성지 메카 순례를 의무화한 점도 지역 내 교역을 활성화했다. 단일한 종교, 도덕, 사법적 기준이 확립된 것도 의미가 컸다. 이슬람교는 사막과 베드윈 문화를 기반으로 퍼져나갔지만 지중해와 홍해, 페르시아만을 연결하는 해상무역 네트워크는 여전히 이슬람 경제권의 중추 역할을 수행했다.
교역 거점은 알렉산드리아와 알레포가 중심이었다. 여기에 스미르나, 타브리즈, 헤라트 등의 도시도 장거리 교역에 참여했다. 시리아의 주요 항구인 안티오크와 라타키야, 트리폴리, 비블로스, 시돈, 티레 등도 그리스와 이탈리아 상인들로 북적였다. 교역 대상 도시는 유럽에선 바르셀로나, 마요르카, 피렌체, 리보르노, 피사, 제노바 등 다양했다. 가장 중요한 교역 상대는 베네치아였다. 인도양 방면으론 푸스타트, 지다, 아덴, 수하르, 시라프 등이 주요 교역항이었다. 이들 항구는 중국 등 인도양을 통한 동방무역의 주요 관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인도양 방면 무역과 달리 지중해를 통한 해상교역의 과실은 이슬람권이 아니라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이 챙겼다. 동로마제국과 특수 관계를 맺은 베네치아는 레반트 지역 교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노예 교역과 해적질, 성유물 약탈 등은 수익이 많이 남는 사업이었고 베네치아는 이런 알짜 사업을 놓치지 않았다.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은 지중해 재해권을 장악한 덕에 교역 주도권을 유지했다. 앞서 알렉산드리아에선 1215년에 이미 3000명의 유럽 상인이 활발하게 활동할 정도로 유럽인들이 더 적극적이었던 면도 있었다. 국가 독점과 늦어진 금융업 발달이슬람 종교·정치 지도층은 경제에 적극 개입하면서 결과적으로 경제를 위축시킨 측면도 있다. 예언자 무하마드의 언행인 ‘하디스’에 “오직 신만이 가격을 고정할 수 있다”고 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는 자주 가격을 고정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했다. 무슬림 집권층은 소위 ‘공정한 가격’에 시장가격을 고정하려고 노력했다. 정치권력의 욕심도 컸다. 이집트 마믈룩 왕조에서 지배층은 후추 교역에 세금을 부과해 수익을 얻느니 아예 후추 교역 사업을 통째로 가져와 그 이익을 모두 취하고자 했다. 마믈룩 왕조 술탄이었단 바르스베이는 이 같은 독점정책을 극단으로 몰고갔고, 이는 유럽에서 포르투갈이 새로운 후추 공급원을 찾아 아프리카 희망봉을 도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또《쿠란》에서 이자를 엄격하게 금지한 영향으로 금융과 신용 관련 발달이 늦어졌다. 이자가 금지되면서 자본축적도 더뎠다. 라마단 금식기간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노동력도 크게 줄었다. 이슬람권에선 ‘힐라 샤리아’라고 불린 처방을 통해 이슬람 율법을 지키면서도 신용을 창출하고 투자를 이루며 파트너십을 맺고 은행업까지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지만 효과는 부차적이었다.
이 같은 이유가 중첩되면서 교역 대상이었던 유럽인들은 신항로 개척에 나섰다. 그 결과, 중세 중동의 수출품들은 유럽인들이 아시아 항로를 개척하고 신대륙의 금·은이 들어오면서 점차 경쟁에서 밀려났다. 당장은 이들 교역 우회로가 금, 보석, 비단, 상아, 진주, 향신료, 커피, 차, 아편, 도자기, 태피스트리의 교역량을 크게 갉아먹지 않았다지만 근본적인 경제의 큰 흐름이 바뀌기 시작했다. 여기에 알레포를 비롯한 이슬람권 주요 도시들도 유럽 못지않게 흑사병의 피해를 입으면서 위축됐다.
무엇보다 상업에 무관심한 군사 집단이 장기간 중동 지역 정치를 지배하면서 교역을 쇠퇴시킨 면이 적지 않았다. 오스만제국이 이 지역 땅을 지배하고, 주요 해양도 잠시 장악했지만 결론적으로 교역 주도권은 이탈리아 도시국가들 몫이었다. 유럽의 상인들은 조용하고도 ‘평화롭게’ 시장을 장악해버렸다.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 ① 돈을 죄악시하던 중세시대까지의 종교적 윤리관과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때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세계는 발전하리라는 근세 이후 고전경제학은 정반대의 입장일까.
② 국가나 정치권의 경제에 대한 개입은 어느 정도까지 허용되어야 할까.
③ 문명 발전이 다소 뒤졌던 서양이 ‘대항해 시대’를 통해 동양보다 더 발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