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에 대한 저항의 아픔을 겪어본 국민으로서, 미얀마에 관심을 가지고 희생이 헛되지 않게 민주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난 2월 1일, 미얀마에서 세 번째 군사쿠데타가 일어났다. 작년 11월 치러진 총선에서 아웅산수치의 국민민주연맹이 압승(득표율 83.2%)을 거두며 대부분의 의석을 가져간 게 화근이다. 군부는 의회 의석의 25%를 가지는 유리한 제도에도 불구하고 참패를 당했다. 군부는 이런 상황을 ‘선거 조작’이라고 주장하며 쿠데타를 일으킨 것이다. 미얀마는 군부의 힘이 강해 겉으로는 민주주의를 외치고 있지만 실제로는 군부가 나라를 운영하고 있었다.군부 쿠데타에 반대하며 시민들이 항쟁한 사건은 우리나라에도 있다. 1980년 5월 18일, 광주시민들은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군부에 항거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항쟁을 시작했다. 미얀마 민주화 운동과 5·18 민주항쟁 모두 군부가 강경 진압하며 많은 사상자가 나왔다. 미얀마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1일부터 7월 초까지 군경에 의해 사망한 사람은 약 890명, 체포된 사람은 약 6000명이다. 5·18 때는 165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두 사건 모두 군부가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투입했다. 강경 진압이 시작되자 시민들은 무장했다. 대한민국은 5월 21일 시민군이 전남도청에 있는 계엄군을 몰아냈다. 미얀마도 시민들이 5월부터 무장을 하며 군부의 진압에 맞서 싸우고 있다.
미얀마와 5·18이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언론에 관한 것이다. 두 사건 모두 군부가 언론을 통제하며 사실을 은폐하려고 했다. 5·18은 군부가 광주를 고립시키고 언론을 통제했다. 당시 서울이나 다른 지역의 뉴스에서는 ‘시민 폭동’ ‘북한 간첩의 침입’ 등으로 보도됐다. 5·18이 제대로 알려지기까지는 8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미얀마도 군부가 언론을 통제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미얀마는 대부분의 사람이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얀마의 상황을 계속 알리고 있어 사건이 일어난 시점부터 세계가 이를 알게 되었다는 점이 다르다.
대한민국도 이런 아픔을 겪었지만, 현재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독재에 대한 저항의 아픔을 겪어본 국민으로서, 미얀마에 관심을 가지고 희생이 헛되지 않게 민주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지우 생글기자(을지중 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