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7회 테샛 수상자 발표
테샛관리위원회는 최근 성적 평가회의를 열고 제67회 테샛 부문별 성적 우수자를 확정해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응시자들은 개인별 자격 등급과 성적표를 테샛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김지수 씨 전체 수석이번 67회 테샛 대학생 부문 개인 대상은 단국대 3학년에 재학 중인 전승찬 씨에게 돌아갔다. 2등 최우수상은 남성한 씨(부산대 3년)가 수상했다. 3등 우수상은 이재웅(한국외국어대 3년), 김완, 손지완(한국외국어대 4년), 김민주(연세대 3년), 김상욱(고려대 2년), 김진훈(홍익대 3년) 씨 등 총 6명이 수상했다. 장려상은 서정우(고려대 3년), 김무현(연세대 2년), 황대원(한양대 4년), 김종현(동국대 4년), 변정훈(경희대 4년), 이준수(서울시립대 4년), 이성주(국민대 4년), 곽병조(경희대 4년), 최민우 씨 등 총 9명이 차지했다. 일반인 부문에서는 김지수 씨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김지수 씨는 이번 67회 테샛 전체 수석을 차지했다. 박지훈, 이서원 씨는 우수상을 받았다.자세한 수상자 명단은 테샛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별도의 시상식은 열리지 않으며 개인별 상장은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다. 상황판단 영역 평균 점수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아67회 테샛은 이전 시험에 비해 상황판단 영역의 난이도가 까다로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이론에서는 환율에 관한 문제의 정답률이 20%대로 낮았다. ‘환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였다. ‘이자율평가설은 국가 간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상황에서 이자율 격차에 의해 장기 균형환율이 결정된다는 견해이다.’가 정답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이 수익률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해 자산에 대한 투자 결정을 하고 이에 따라 자본이동이 나타난다. 이자율평가설은 국가 간 자본이동에 제약이 없는 상황에서 이자율의 차이(수익률)뿐만 아니라 예상환율 변화에 의해서도 단기 균형환율이 결정된다고 본다.
그 외에 총수요, 법정지급준비율, 절약의 역설, 생산가능곡선, 항구적 확장 재정정책에 관한 문항의 정답률이 20~30%대에 불과했다.
경제시사 영역에서 현재가치와 미래가치에 관한 잘못된 설명을 고르는 문제에선 ‘이자율이 높을수록 현재가치는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가 틀린 설명으로 해당 보기가 정답이다. 일반적으로 기간이 같다면 이자율이 높을수록 현재가치는 작아진다. △개별소비세 △국세와 지방세 구분 △주식회사 특징 △현금흐름표와 간접법 △긴축 통화정책과 관련한 동물인 매를 고르는 문제에 대한 정답률이 대체로 낮았다.
상황판단 영역에선 지대에 관한 문항의 정답률이 20%대였다. 문제에서 1865년 영국 의회의 ‘적기조례법(Red Flag Act)’으로 자동차가 마차보다 느리게 다니도록 규제해 마차 사업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상황을 표현했다. 이를 지대추구행위라 하는데 고정된 생산요소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지대를 얻거나 지키려고 하는 것이다. 이익집단들이 정부의 각종 인허가권을 얻기 위해 로비로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도 지대추구행위다. 기득권의 울타리 안에서 자기 이익을 지키면서 희소한 자원이 비생산적 활동에 사용되면 후생손실이 초래된다. 이는 자원 배분에 왜곡을 가져온다. 따라서 지대추구행위는 정부 실패의 한 요인이다. 이에 따라 ‘지대추구행위는 정부 실패의 요인은 아니다.’라는 보기 3번이 옳지 않은 설명으로 문제의 정답이다.
그 외 보완재,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 추론, 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 총액 계산, 위험 선호, 위안화 환율 변화에 따른 영향 추론, 정부가 추구하는 정책 방향을 고르는 문항의 정답률 또한 20~30% 정도로 낮아 응시생들이 어려워하는 주제로 나타났다.
정영동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원